• Title/Summary/Keyword: 차세대 이동통신

Search Result 738, Processing Time 0.03 seconds

차세대 초저지연/고효율 이동통신 기술 연구 동향

  • Choe, Gyeong-Jun;Lee, Jin-Nyeong;Kim, Jong-Hyeon;Kim, Gwang-Su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2 no.9
    • /
    • pp.10-16
    • /
    • 2015
  • 본고에서는 최근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다양한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이동통신에서의 사물통신 요구조건을 알아보고, 이를 제공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에 대한 연구동향을 정리하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제시한다.

Provisioning of the End-to-End Quality of Services in the Next Generation Wireless IP Networks (차세대 무선 IP 네트워크에서의 종단간 서비스 품질(QoS) 제공)

  • Ryu, S.W.;Bae, J.S.;Coh, C.H.;Kim, S.H.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9 no.1 s.85
    • /
    • pp.9-21
    • /
    • 2004
  • 차세대 통신 시스템은 다양한 IP 멀티미디어 응용을 지원하고, 유비쿼터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다양한 유무선 통신 시스템들이 IP 기반의 멀티네트워크로 통합될 것이다. 이러한 차세대 통신 시스템에서 IP 기반 멀티미디어 응용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하여 종단간 QoS 제공이 중요한 문제가 된다. 본 고에서는 3세대 이동통신과 차세대 백본 네트워크(NGN)에서 연구되고 있는 QoS 제공 방안을 살펴본다. 그리고, 3세대 이후의 통신 시스템을 위하여 IP 네트워크에 기반을 두고 이질적인 무선 시스템들의 통합에 대해 연구하고 있는 프로젝트에서 All-IP화에 따른 종단간 QoS 제공 방안을 살펴본다. 그리고,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이 IP 기반의 백본 네트워크로 통합되어 All-IP화된 차세대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 구조를 제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종단간 QoS 제공을 위하여 연구되어야 할 주요 사항들을 살펴본다.

An Overview of Wireless Channel Model for B3G Mobile Communication (차세대 이동통신 무선 채널모델 연구동향)

  • Chung, H.K.;Lee, K.C.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1 no.3 s.99
    • /
    • pp.59-70
    • /
    • 2006
  • 차세대 이동통신 무선 채널모델이란 무선 인터페이스 구간 내에서의 신호 처리 모델로서 이동통신 시스템 개발에 필요한 알고리듬 구현 기술의 검증에 사용된다. 다중 안테나 사용의 중요성이 제기되기 이전에는 주로 전파 채널(propagation channel)에 관한 물리 현상의 분석이 무선 채널 모델의 주류를 이루었으나 전송속도의 증가 및 전송용량 증가를 위한 다중안테나 사용이 본격화되면서 안테나를 포함한 공간 채널(spatial channel)의 수학적 표현 및 전파 현상 분석이 이동통신 시스템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본 고에서는 개요에 이어 II장에서는 최근 WWRF에서 제시하는 B3G 시스템개발을 위한 채널 모델 과정을 소개하고, III장에서는 대표적인 다중안테나 무선 채널모델에 관한 내용을 소개한다. 또한 IV장에서는 차세대 이동통신을 위한 채널모델링의주요 연구 이슈와 함께 V장에서는 ETRI에서 추진중인 한국형 무선 채널모델 연구의 현황을 소개한다.

차세대 이동통신용 무선공간 채널모델 연구

  • Park, Jae-Jun;Jeong, Hyeon-Gyu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4 no.9
    • /
    • pp.67-76
    • /
    • 2007
  • 차세대 이동통신 무선 채널모델이란 무선 인터페이스 구간 내에서의 신호 처리 모델로서 이동통신 시스템 개발에 필요한 알고리듬 구현 기술의 검증에 사용된다. 다중 안테나 사용의 중요성이 제기되기 이전에는 주로 전파 채널(propagation channel)에 관한 물리 현상의 분석이 무선 채널 모델의 주류를 이루었으나 전송속도의 증가 및 전송용량 증가를 위한 다중안테나사용이 본격화 되면서 안테나를 포함한 공간 채널(spatial channel)의 수학적 표현 및 전파현상 분석이 이동통신 시스템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본 고에서는 최근 WINNER 등에서 제시하는 B3G(Beyond 3G) 시스템 개발을 위한 채널 모델링 과정과 대표적인 다중 안테나 무선공간 채널모델 연구의 현황을 소개하며, 또한 차세대 이동통신을 위한 채널 모델링의 주요 연구 이슈를 소개한다.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

  • 김선영;박재홍
    • Broadcasting and Media Magazine
    • /
    • v.3 no.1
    • /
    • pp.39-44
    • /
    • 1998
  • 디지털기술이 컴퓨터와 통신의 융합을 가능케하고 있으며, 이어서 최근 방송과 통신기술의 융합이 언급될 정도로 방송과 통신과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 통신과 방송은 CATV, 위성방송, 디지털 방송 시스템 등에서 이미 기술적으로 많은 공통부분이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각 가정의 가입자 선로에 광가입자선 또는 광대역 무선이 도입되면 B-ISDN, ATM 등의 기술을 이용하여 넓어진 대역으로 종래의 방송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전화, 인터넷 등 통신서비스가 함께 지원되는 통신방송종합망의 형태가 실현될 것으로 예견되고 있다[1]. 본 고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인 IMT-200 기술에 대해 언급하였다. 이동통신의 원리, IMT-2000 시스템 구성 및 필요성을 다루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신기술에 대한 소개 및 문제점을 검토하고, 향후 방송과의 연관관계에 대해 논한다.

  • PDF

차세대 이동통신에서의 스마트 안테나 기술

  • 홍준표;염재흥;이효진
    • The Proceeding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13 no.4
    • /
    • pp.3-12
    • /
    • 2002
  • 차세대 이동 통신은 기존의 음성 서비스뿐만 아니라 훨씬 높은 용량을 필요로 하는 고품질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하므로 기지국의 용량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키는 스마트 안테나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스마트 안테나에 대한 논의가 IMT-2000 표준화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실시간 적응 알고리즘을 장착한 스마트 안테나 제품들이 상용화되어 출시되고 있는 시점이다. 본고에서는 차세대 이동 통신 기술로 각광 받고 있는 스마트 안테나 기술의 개념, 스마트 안테나의 종류, 적응 신호 처리 알고리즘, 스마트 안테나의 IMT-2000 표준화 동향 그리고 적용 사례들을 기술하고자 한다.

The Scheme for Implementing Number Portability using Advanced Intelligent Network (차세대 지능망을 이용한 번호이동성 구현방안)

  • Jo, Min-Su;Kim, Tae-Il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5 no.12
    • /
    • pp.3214-3220
    • /
    • 1998
  • 국내 차세대 지능망은 ITU-T IN CS-1 권고안을 근간으로 개발 중에 있으며, 한국통신은 1999년부터 UPT, VOT서비스를 상용화할 예정이다. 다양한 통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국내에서는 많은 통신 사업자들이 등장하였고 사용자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사업자간 경쟁하고 있다. 번호 이동성 문제는 통신시장의 경쟁 구도를 지향하고 있는 국내 통신 환경에서도 앞으로 중요한 문제로 대두될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차세대 지능망을 이용하여 번호이동성을 제공하는 방식을 살펴보고, 개발 중인 차세대 지능망 시스템을 이용하여 각 통신사업자마다 번호이동성을 구현하는 효율적인 방안을 제안한다.

  • PDF

이동체통신의 현황과 전망

  • 대한전기협회
    • JOURNAL OF ELECTRICAL WORLD
    • /
    • s.255
    • /
    • pp.62-69
    • /
    • 1998
  • 이동체통신시스템은 디지털방식에의 전환이 진전되어 음성통신에서 멀티미디어 통신으로의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또 공중이동체통신에서는 앞으로도 큰 수요가 예상되고 있는데 이를 배경으로 생활공간의 확대, 경제활동의 다양화에 따라 이동체통신의 즉시성$\cdot$간편성 등이 평가를 받아 여러 세대층에서 이용이 확대되는 등, 정보통신의 역할과 중요성이 증대된 것을 들 수 있다. 1996년말 현재 1억 3630만명이 100개국 이상의 국가에서 휴대전화를 이용하고 있다. 한편 일본의 PHS를 포함하는 휴대전화 가입자수는 ''97년 6월에 3000만을 초과, 보급률로는 구미각국의 수준에 근접하고 있다. 현재 실용화 되고있는 CDMA 등의 휴대전화방식에 비하여 가입자 수의 증가에 대처할 수 있도록 G율적이면서 대용량의 통신을 할 수 있는 방식에 대한 검토$\cdot$연구가 각국에서 행해지고 있다. 그 중 하나가 INT-2000(FPLMTS)방식의 차세대통신시스템으로, 2000년의 실용화를 목표로 일본, 구주, 미국이 각각 차차세대의 고속무선액세스시스템, 차세대 LEO를 이용한 이동체위성통신시스템 등과 함께 상호의 연대를 포함한 검토$\cdot$연구가 추진되고 있다. 이 차세대 통신시스템에서는 세계 각국의 통신방식을 통일하여 하나의 휴대단말을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고 아울러 멀티미디어통시네의 적용이 가능한 방식이 되도록 검토하고 있다. 한편 일본에서는 업무용 이동체통신시스템에서도 디지털화가 진전되어 음석중심의 서비스에서 멀티미디어통신으로 옮겨가고 있다.

  • PDF

Beyond-IMT-2000 부호화 기법

  • 신민호;임은정;송홍엽;김동구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18 no.6
    • /
    • pp.74-91
    • /
    • 2001
  • 본 고에서는 통신 시스템에 응용되고 있는 블록부호에 대한 소개와, IMT-2000 시스템의 표준화에서 채널 부호화 기법으로 규격에 반영된 길쌈부호(Convolutional code) 및 터보부호(Turbo code)에 대하여 소개하고, 현재 3세대 이동통신 표준화에서 논의중인 Hybrid ARQ(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AMC(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기술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고속의 데이터 전송을 요하는 4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채널 부호화 기술로 현재 활발히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Space-Time Code 및 LDPC(Low Density Parity Check Code)에 대해 소개하고,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채널 부호화 기술 전반에 대하여 전망한다.

  • PDF

IMT-2000 무선접속 분야의 표준화 동향 및 관련 지적재산권 분석

  • 안재민;이하영;이동찬;김병철;김대영;류동현
    • TTA Journal
    • /
    • s.72
    • /
    • pp.17-26
    • /
    • 2000
  • 이동통신의 요구사항이 종래의 음성위주에서 보다 발전된 형태인 무선멀티미디어 쪽으로 옮겨지면서 기존의 이동통신방식으로서는 지원에 한계가 생기게 되었다. 이러한 새로운 요구사항에 부응하면서 보다 고품질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방식에 대한 연구개발 노력이 ITU에서의 차세대 이동통신 표준인 IMT-2000 표준의 제정 움직임과 맞물려 차세대이동통신의 단일 국제표준을 제정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표준화 활동이 진행되었다. 그러나 표준의 진행과정에서 유럽과 북미를 중심으로 한 양대 표준으로 IMT-2000 표준의 축이 굳어지고 있는 형편이다. 이러한 표준화 움직임에 맞추어 본 고에서는 IMT-2000 무선접속 분야의 표준화 동향, 표준의 주요 기술 및 관련기술의 지적재산권 출원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