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차세대이동통신시스템

Search Result 376,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Trend of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Standardization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 및 표준화 동향)

  • Oh, D.S.;Kim, M.T.;Hwang, S.K.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1 no.3 s.99
    • /
    • pp.1-10
    • /
    • 2006
  • 차세대 이동통신에 의한 새로운 정보통신 환경 실현은 21세기의 산업구조에도 막대한 영향을 주어서 대변혁을 가져올 것이다. 4세대 이동통신의 실현에 의한 정보통신환경의 Broadband화, Ubiquitous화, Mobile & Wireless화에 의해 주요한 산업으로 크게 확대되고, 융합.발전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IMT-Advanced 이동통신 기술은 고속이동 환경에서 최대 100Mbps, 고정 또는 저속이동 환경에서 최대 1Gbps의 데이터전송속도로 비대칭/대칭적 패킷 서비스와 방송 서비스를 포함한 다양한 서비스를 IP기반으로 통합 제공하는 기술을 의미하며, IMT-Advanced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양한 무선통신 시스템과 통합되는 형태로 실현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고에서는 차세대 이동통신기술 동향과 국내외 개발 동향, 표준화 동향 등을 간략히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은 셀룰러 이동통신, 차세대 WLAN, 차세대 WPAN, SDR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Researches on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차세대 이동통신 서비스 연구)

  • Yoon, S.I.;Shin, G.C.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1 no.3 s.99
    • /
    • pp.11-22
    • /
    • 2006
  • 이동통신 시스템은 현재의 3세대 IMT-2000 시스템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인 진화를 거듭하였고 이제 사용자의 다양한 이동통신 서비스 요구 및 기대치를 충족시키기 위한 4세대 이동통신 시스템 및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ITU-RWP8F에서는 "보다 빠른 데이터 전송속도의 지원"과 "서로 다른 유무선 접속 시스템과 융합(convergence)"을 목표로 시간과 장소 및 대상의 구속이 없이 언제 어디서나 누구와도 고속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것을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비전으로 설정하고 있다. 이러한 차세대 서비스 비전을 실현하기 위하여 현재 WWRF, WWI, FMS, mITF, FuTURE Forum 및 NGMC Forum과 같은 주요 연구 단체는 개인의 관심사, 환경, 일상 생활이 고려된 각 개인의 통신 공간에서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 개인의 요구사항이 반영된 차세대 서비스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앞서 언급한 각 연구 단체가 수행중인 주요 연구 내용을 살펴보고자 한다.`

차세대 이동통신 단말 기술

  • Sin, Jae-Uk;Park, Ae-Su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5 no.3
    • /
    • pp.53-59
    • /
    • 2008
  • 본고에서는 차세대 이동통신 단말 기술에 대해서 알아본다. 차세대 이동통신망은 새로운 4세대 이동통신뿐 만 아니라 기존의 3세대 셀룰라 이동통신, 와이브로, 무선랜 등의 다양한 무선 액세스 시스템이 공존하는 형태로 발전하며 서비스 또한 통신, 방송, 인터넷 접속 등이 다양하게 융합되는 형태로 전개될 것으로 예측된다. 이와 같은 차세대 이동통신망 환경에서의 단말은 다양한 무선 액세스 시스템에 접속이 가능하도록 멀티-모드/멀티-밴드를 지원하며 사용자에게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올-인-원 형태의 단말로 발전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를 위하여 차세대 이동통신 단말은 고속의 무선 전송 기술, 다양한 무선 액세스 기술을 수용할 수 있는 플랫폼 및 핸드오버 기술, 그리고 다양한 장치 기술 상의 발전을 필요로 한다.

차세대 이동통신과 IP 이동성

  • 이종찬;김원익;송평중
    • The Magazine of the IEIE
    • /
    • v.31 no.4
    • /
    • pp.82-90
    • /
    • 2004
  • 이동통신서비스가 급격히 발전함에 따라 이동통신을 통한 회선 (circuit) 이용률은 점차 포화상태에 다다르고 있으며, 대신 인터넷 접속과 같은 데이터 서비스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초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데이터 서비스의 경우 간단한 메시지 전달을 주로 하는 단문데이터 서비스 위주였으나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은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가능한 고속 데이터 서비스로 진화해 갈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은 [그림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무선 접속 시스템 및 단말기의 종류 관계없이 모든 종류의 서비스를 언제 어디서나 최적의 전송률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특히 단일한 새로운 망의 출현에 의한 서비스 제공보다는 IP 기반 이동성 지원에 의해 서로 상이한 기존 망간의 끊임없는 연동이 보다 현실적인 차세대 이동통신의 요구사항으로 떠오를 것이 전망된다.(중략)

  • PDF

4세대 이동통신 핵심기술 WiBro-Advanced 시스템 개발

  • Park, Yun-Ok;Hong, Eon-Yeong;Gwon, Dong-Seung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8 no.6
    • /
    • pp.84-90
    • /
    • 2011
  • 본 논문은 2011년 4월 IEEE SA에서 차세대 이동통신 규격으로 승인된 IEEE 802.16m의 구현에 관한 것이다. 승인된 규격은 ITU-R에서 4세대 이동통신 표준인 IMT-Advanced 표준 기술로 확정될 예정이며, 국내에서는 WiBro-Advanced, 해외에서는 Wireless MAN-Advanced 또는 WiMAX-2로 불린다. 이 규격을 기반으로 2009년부터 규격의 표준화 활동과 함께 시스템 개발을 시작하여, 2010년 12월 1차 개발을 완료하였다. 개발된 WiBro-Advanced 시스템은 ITU-R이 요구하는 4세대 이동통신의 요구사항을 만족하고 있다. 본 논문은 구현된 시스템의 핵심 기술에 대해 기술하고, 기술적인 특징들을 살펴본다.

일본의 차세대 이동통신 연구개발현황

  • 연철흠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14 no.11
    • /
    • pp.79-95
    • /
    • 1997
  • 본 고에서는 현재 IMT-2000/FPLMTS의 표준화에 대해 가장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일본의 차세대 이동통신 연구개발 현황 및 표준화 연구활동에 대해 조사 분석하였다. 일본 이동통신가입자 폭증에 대한 표준화 기관 TTCouncil의 대응책과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조사연구회의 활동 결과를 우선소개하고, 표준화 관련 두 기관인 망분야의 TTC와 무선분야의 ARIB에서 추진중인 IMT-2000 표준화 연구조직, 내용 등에 대해서 조사 분석하였다.

  • PDF

모바일 최강국 달성을 위한 2013년 차세대이동통신 국가연구개발 전략

  • Lee, Hyeon-U;Kim, Geun-Dae;Park, In-Seong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9 no.11
    • /
    • pp.68-74
    • /
    • 2012
  • 국내 차세대 이동통신 산업은 1994년 세계 최초 CDMA 상용화에 이은 CDMA2000 및 W-CDMA 구축, 세계 최초 최고의 무선 인터넷 기술인 WiBro기술의 개발 및 보급, 꿈의 통신으로 여겨지는 3.9세대 LTE시스템 구축과 보급으로 세계 최고의 뛰어나 기술력을 가진 산업으로 발전하였다. 이러한 우수한 국내 이동 통신 인프라는 기존의 조선 및 선박과 같은 전통산업과 바이오 및 의료기기와 같은 신산업과의 융합을 통하여 국가 경쟁력 한층 더 향상 시키는데 기여하였다. 또한 휴대폰분야에서도 국내 기업이 세계 최고의 경쟁력을 가진 기업으로 성장하는 등, 차세대이동통신 산업은 타 산업과 달리 기술의 빠른 추종자 (Fast Follower)에서 기술 선도자 (First Mover)로서의 지위를 가지게 되었다. 그러나, 이동통신 시스템 분야에서는 이미 중국 업체가 세계적으로 약진하고 있으며, 휴대폰 분야에서는 선도 기업과의 경쟁 및 견제, 후발 주자인 중국 및 대만 기업의 추격에 직면하고 있다. 한편 국내 휴대폰관련 중소 중견기업은 급격한 단말 환경변화에 따라 많은 어려움에 처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 선도자로서 지속적인 경쟁력 확보 및 대-중소기업 동반성장 생태계 조성을 통한 모바일 최강국 달성을 위한 이동통신 분야 국가 연구 개발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제I장에서는 차세대이동통신의 개념 및 분류 기준에 대하여 알아보고, 제II장에서는 차세대이동통신에 대한 국내외 현황과 국내 기술 수준 및 기술 경쟁력을 고찰한다. 제III장에서는 기술 선도자로서의 차세대이동통신 분야의 비젼을 제시하고, 이러한 비젼을 실현시키기 위한 국가연구개발 추진 전략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제IV장에서는 우리나라 이동통신 미래상과 함께 국가연구개발 전략에 대한 결론을 맺는다.

이동체통신의 현황과 전망

  • 대한전기협회
    • JOURNAL OF ELECTRICAL WORLD
    • /
    • s.255
    • /
    • pp.62-69
    • /
    • 1998
  • 이동체통신시스템은 디지털방식에의 전환이 진전되어 음성통신에서 멀티미디어 통신으로의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또 공중이동체통신에서는 앞으로도 큰 수요가 예상되고 있는데 이를 배경으로 생활공간의 확대, 경제활동의 다양화에 따라 이동체통신의 즉시성$\cdot$간편성 등이 평가를 받아 여러 세대층에서 이용이 확대되는 등, 정보통신의 역할과 중요성이 증대된 것을 들 수 있다. 1996년말 현재 1억 3630만명이 100개국 이상의 국가에서 휴대전화를 이용하고 있다. 한편 일본의 PHS를 포함하는 휴대전화 가입자수는 ''97년 6월에 3000만을 초과, 보급률로는 구미각국의 수준에 근접하고 있다. 현재 실용화 되고있는 CDMA 등의 휴대전화방식에 비하여 가입자 수의 증가에 대처할 수 있도록 G율적이면서 대용량의 통신을 할 수 있는 방식에 대한 검토$\cdot$연구가 각국에서 행해지고 있다. 그 중 하나가 INT-2000(FPLMTS)방식의 차세대통신시스템으로, 2000년의 실용화를 목표로 일본, 구주, 미국이 각각 차차세대의 고속무선액세스시스템, 차세대 LEO를 이용한 이동체위성통신시스템 등과 함께 상호의 연대를 포함한 검토$\cdot$연구가 추진되고 있다. 이 차세대 통신시스템에서는 세계 각국의 통신방식을 통일하여 하나의 휴대단말을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고 아울러 멀티미디어통시네의 적용이 가능한 방식이 되도록 검토하고 있다. 한편 일본에서는 업무용 이동체통신시스템에서도 디지털화가 진전되어 음석중심의 서비스에서 멀티미디어통신으로 옮겨가고 있다.

  • PDF

A Study on the PAPR Reduction and In-Band Distortion Compensation Schemes for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을 위한 PAPR 감소와 대역 내 왜곡보정 기법에 대한 연구)

  • Roh, Jae-Sung;Kim, Wan-Tae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 /
    • v.16 no.2
    • /
    • pp.234-239
    • /
    • 2012
  •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have been studied and applied to support various services. In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the most interested research is the integration of various communication systems and the offer of various services by using high-speed data transmission. The integration of communication systems has been researched by using multi standard modem, while the high-speed data transmission for the offer of various services has been applied by using OFDM. This paper has proposed the method to reduce PAPR by using multi standard modem. with EVM, this paper has also suggested the method to compensate in-band distortion while reducing PAPR. By using the proposed methods, this paper has analyzed and simulated the decrease efficiency of PAPR, the performance of CCDF, and the performance of BER in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The simulation results improved the performance of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an be seen that.

Context-Aware Services in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차세대 이동통신망에서 상황인식 서비스)

  • Kim, J.H.;Bae, J.S.;Kim, S.H.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9 no.3 s.87
    • /
    • pp.32-40
    • /
    • 2004
  • 상황정보(context information)는 사용자의 요구와 주변 상황이 수시로 변화하는 이동통신 환경에서 더욱 중요하게 활용된다. 따라서,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서비스는 음성, 텍스트,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고도화에 이어 일상 곳곳에 편재된 센서 및 컴퓨터들이 수집한 각종 환경정보를 효과적으로 상호 공유하여 사용자 및 주변 환경의 상황(context)을 알아내고 그에 맞는 다양한 정보에 근거하여 자발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황인식(context-aware) 특징을 가지게 될 것이다. 이러한 상황인식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및 사물 등의 객체를 인식하고, 이들의 현 상태에 따른 상황정보를 수집하여 서비스에 적응하는 기술 등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IMT-2000 이후의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진화방향을 상황인식 서비스 제공 관점에서 살펴보고, 상황인식 서비스를 위한 관련 기술과 차세대 이동통신 환경에서 상황인식 서비스가 어떻게 제공될 수 있을지를 살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