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차량진동

검색결과 1,003건 처리시간 0.029초

중형승용차의 진동, 소음 및 충격 시험평가

  • 고병식
    • 소음진동
    • /
    • 제8권1호
    • /
    • pp.8-12
    • /
    • 1998
  • 차량을 개발함에 있어 인간의 감성적인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분야의 하나가 진동 소음 및 충격 분야라 할 수 있겠다. 소비자들이 차량에 탑승하였을때 가장 민감하게 느끼기 때문이다. 이러한 소비자들의 감성지수를 만족하기 위한 노력이 각 자동차의 기술연구소, 학계및 국가연구소에서 심도있게 연구되고 있다. 최근에 많이 연구되는 active noise control 및 active suspension control등도 이 분야에 속하는 것들이다. 그러나 아직 이러한 신기술들이 실용화되기 위해서는 많은 상용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는 관계로 산업계에서는 현재의 진동소음저감기술을 좀더 단시간에 차량개발 프로그램에 적용하는데 더욱 큰 노력을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현재 자동차업체에서 수행하는 진동, 소음및 충격시험평가에 대해서만 국한하여 기술하고자한다.urce)을 찾아 직접 그 원인을 차단 및 치유하는 적극적이고 공격적인 방법을 이용하고있다. 본 글에서는 이러한 진동소음 문제를 차량의 개발 단계에서 해결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 및 여러가지 개선기법에 대해서 살펴보고 그를 통한 진동소음 문제 해결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지게차의 출발감각 평가지수 개발 (Development of Start Feel Index of a Forklift Truck)

  • 장한기;국두윤;이종규;최준호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094-1099
    • /
    • 2001
  • 차량이 정지상태에서 출발하는 과정에서 클러치는 엔진의 동력을 구동축에 전달하는데, 이 순간 차량이 울컥거리는(clunking) 현상이 자주 나타난다. 이와 같이 발생한 충격과 진동은 작업자에게 불편함을 줄뿐만 아니라 차량의 상품가치를 떨어뜨리는 요인이 된다. (중략)

  • PDF

승용차의 실내 소음 저감을 위한 능동소음제어 연구 (A study on the Active Noise Control for the Reducing the in-cabin noise of a passenger car)

  • 이원구;박성기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1995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전남대학교, 19 May 1995
    • /
    • pp.171-177
    • /
    • 1995
  • 환경 보호와 연비 향상을 목표로 한 고출력 엔진과 초경량 차체의 차량을 설계하려는 최근의 차량 개발 추세는 진동과 소음의 문제를 더욱 악화시키느 요인이 되었다. 이에 반해 차량을 구입하는 고객은 보다 정숙한 주행 성능을 요구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커다란 설계의 변경이나 차체의 중량 증가없이도 ㅈ거용가능한 능동 제어 기술(Active Control Technique)은 차량의 진동, 소음문제에서 훌륭한 해결책의 하나로 등장하였다. 최근까지 능동 소음제어와 관련한 연구는 여러 분야에서 수행되었으며, 실제로 시작차량뿐만 아니라 양산차에 적용된 사례가 있다. P.A.Nelson등은 음향 공동내의 음향 에너지를 최소화시키는 소음 제어에 관한 이론, 컴퓨터 시뮬레이션 및 실험에 대하여 발표하였다. 또한 최근의 디지탈 신호 처리기(DSP, Digital Signal Processor)의 개발에 힘입어 해석의 검즈외에도 실제 차량에 적용한 사례도 있다. 로터스(LOTUS,영)는 다양한 시작차를 제작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으며, 닛산(Nissan, 일)은 양산차에 적용하여 판매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능동 소음 제어 장치를 개발하여 승용차에 적용한 결과를 보이도록 한다.

  • PDF

상용차량 소음진동 시험평가 현황

  • 오양섭
    • 소음진동
    • /
    • 제8권1호
    • /
    • pp.45-46
    • /
    • 1998
  • 상용차는 대부분 디젤엔진을 사용하고 있고 비교적 강건한 샤시 프레임 구조로 되어있기 때문에 소음 진동특성이 승용차와 상당히 다르며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도 차이가 있다. 이런 차이에도 불구하고 소음 진동 시험항목은 승용차와 별반 차이가 없으므로 본고에서는 상용차량에서 중요한 몇가지 평가항목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언급하고자 한다.

  • PDF

차량 탑재용 CD 플레이어의 방진 설계

  • 손진승;김규출;오상경
    • 소음진동
    • /
    • 제7권6호
    • /
    • pp.894-898
    • /
    • 1997
  • 본 글에서는 차량 탑재형 CD 체인저를 중심으로 차량 탑재형 디스크 플레이어의 방진 설계 절차및 CD 체인저의 방진장치로 가장 적합한 오일 댐퍼의 특성과 그 설계법에 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 PDF

습식 철도차량 바닥구조의 차음성능 연구 (A study on the transmission loss of floor part in the train)

  • 이근희;조태승;정인호;이용주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1998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용평리조트 타워콘도, 21-22 May 1998
    • /
    • pp.753-758
    • /
    • 1998
  • 이 글에서 살펴본 바의 내용에 의하면 철도차량 습식 바닥구조의 차음성능은 기존의 35 mm를 47 mm로 하는 경우 약 4dB 정도의 차음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제진층을 추가로 도입하는 경우 1~2dB의 추가적인 차음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고 결론된다. 바닥충격음에 대한 차단성능은 경량충격음의 경우 두께 증가 및 제진층 적용에 의하여 각각 3dB 및 7dB의 차음개선이 예상된다. 그러나 중량충격음의 경우에는 차음개선 효과가 거의 없으며 오히려 감소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보다 구체적인 검토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산업계에서는 현재의 진동소음저감기술을 좀더 단시간에 차량개발 프로그램에 적용하는데 더욱 큰 노력을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현재 자동차업체에서 수행하는 진동, 소음및 충격시험평가에 대해서만 국한하여 기술하고자한다.urce)을 찾아 직접 그 원인을 차단 및 치유하는 적극적이고 공격적인 방법을 이용하고있다. 본 글에서는 이러한 진동소음 문제를 차량의 개발 단계에서 해결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 및 여러가지 개선기법에 대해서 살펴보고 그를 통한 진동소음 문제 해결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수도권 통근용 전기동차 주행진동성능 실차실험 (A Practical Testing on Running Vibration Performance of the Metro Electric Rolling Stock)

  • 최경진;이동형;문경호;이현석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한국과학기술회관; 6 Nov. 1997
    • /
    • pp.295-301
    • /
    • 1997
  • 본 연구의 목적은 수도권 전동차량의 주행성능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진동성능을 비교검토하기 위하여 실차측정하고 분석한 것이다. 전동차량의 제작년도별로 측정대상차량을 샘플링하여 다양한 조건에서 진동을 측정하고 실측데이타를 시간영역의 통계적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제작년도에 따른 영향도 약간 나타났으며 전동차량의 2차 현가장치의 종류에 따른 영향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측정선로구간의 특성에 따른 영향도 비교적 잘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고속철도 교량의 진동저감 (Diminution of birdge vibration for high-speed trains)

  • 최은석;진원종;이정우;곽종원;강재윤;김병석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9권1호
    • /
    • pp.125-130
    • /
    • 2006
  • 고속철도 교량구간에 차량(KTS)이 주행할 경우 교량 바닥판에서는 큰 가속도 응답이 계측된다. 이러한 가속도의 원인으로는 큰 단면의 국부 진동, 일정한 간격의 침목의 충격 그리고 차량 자체의 진동 등 여러 가지 원인이 있다. BRDM(Bridge Design manual)에서는 이러한 동적 특성치들에 대한 제한치를 규정하고 있는데, 가속도인 경우는 0.35G이하고 규정하고 있다. 실교량 실험에 의해 계측된 가속도 응답은 규정한 제한치인 0.35G 보다는 작지만, 이러한 가속도 응답치들은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할 경우 안전성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큰 단면에서 과도한 국부 진동을 지배하는 가속도 응답을 줄이기 위해서 진동저감 방법을 연구하였다. 비록 휨이나 비틀림 같은 전체 진동모드에는 효과가 작지만 일반적으로 매우 큰 단면을 가진 고속철도 프리스트레스트 상자형 교량의 국부진동인 날개짓 모드를 감소시키는데 진동저감 장치는 효과적이라고 판단된다. 실교량에서 진동저감장치의 실험은 추후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NVH 개발 프로세스 (Vehicle NVH Development Process)

  • Leuridan, Jan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48-348
    • /
    • 2010
  • 신 차종의 개발 시, 기존 차량 모델을 사용하여 재 설계하는 방식에 의해 전례 없이 빠르게 차량 개발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이들 후속 차량은 공통 플렛폼 상에 설계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충격, 구조 건전성, 생산 타당성 검토 등의 컴퓨터 시뮬레이션은 개발 프로세서 초기 단계에서 행하여 지고 있으나. NVH 엔지니어링은 차량 개발 프로세스의 매우 중요한 과정으로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내 소음, 진동 승차감, 피로 수명 예측 등은 사용되는 해석 모델의 크기 및 복잡성으로 인하여 이들 성능 특성 평가 및 최적화는 아직 도전 과제이며, 본 논문에서는 몇몇 선진 OEM에서 수행되고 있는 NVH 개발 프로세스와 이를 가능케 하는 기법을 소개한다.

  • PDF

ISO TC108/SC2(기계. 차량. 구조물에 발생되는 기계진동과 충격의 측정/평가) 소개

  • 정균양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1998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용평리조트 타워콘도, 21-22 May 1998
    • /
    • pp.284-285
    • /
    • 1998
  • ISO TC108/SC2에서 취급하는 기계, 차량 및 구조물에 발생되는 기계진동과 충격의 측정 및 평가 기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SC2내에는 현재 7개의 Working Group(WG)이 23개 기준에 대하여 보완 및 개정작업을 지속하고 있다. 이들 기준의 적용대상은 회전기계, 선박, 철도차량, 자동차 및 건물로서 본문에서는 기준 내용을 요약하고 개정과정도 일부 소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