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차량시뮬레이터

Search Result 273,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Driving simulator : a vehicle development tool (차량시스템 개발도구로서의 운전시뮬레이터)

  • 이운성;김상섭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16 no.1
    • /
    • pp.2-9
    • /
    • 1994
  • 본 해설에서는 필자가 참여한 여러해에 걸쳐 수행된 실시간 차량시뮬레이션 및 운전시뮬레이터 연구프로젝트를 토대로 운전시뮬레이터의 역사적 배경, 구성 및 기술현황을 알아보고, 이의 응용분야를 소개하고자 한다. 차량의 새부품 개발에서부터 위급한 상황에서의 운전자 반응연구까지 폭 넓은 분야의 시험을 효과적이고 경제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운전시뮬레이터는 신차의 개발비용 및 시간절감 효과를 가져오는 차량시스템 개발의 종합적인 도구로써 그 위치를 공고히 해가고 있어, 우리나라에서도 그 중요성 및 필요성이 어느 때보다도 크다. 운전시뮬레이터는 재현하는 큐의 현실감 정도에 따라 제작비용의 차이가 매우 크기 때문에, 적용분야에 따른 필요한 큐를 상세히 검토하여야 한다.

  • PDF

A Study of Interworking between Network Simulator and Traffic Simulator through Middle Ware (Middle Ware 를 이용한 네트워크 시뮬레이터와 교통 시뮬레이터의 연동에 관한 연구)

  • Kang, Seong-Jae;Kim, Tae-Won;Bae, Song-Nan;Jung, Jae-I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04a
    • /
    • pp.182-184
    • /
    • 2014
  • 최근 차량 네트워크를 통한 각종 서비스가 주목 받고 있으며 그 중 안전 서비스나 안전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등의 테스트와 테스트를 위한 테스트베드에 대한 필요성이 생기고 있다. 본 논문은 네트워크 시뮬레이터와 교통 시뮬레이터 간의 연동을 통하여 실제 차량 통신 환경과 유사한 시나리오를 시뮬레이션 할 수 있도록 구현 하였다. 네트워크 시뮬레이터에서는 실제 차량의 이동성을 충분히 반영하기가 어렵고 대단위의 시나리오를 생성하기 어렵기 때문에 네트워크 시뮬레이터에 차량 이동성 정보 생성을 위하여 교통 시뮬레이터에서 생성 된 정보를 사용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서로 다른 시뮬레이터간의 연동은 동기화의 문제가 존재하게 되는데 본 논문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각기 다른 세 가지의 동기화 방식을 연구 하였다.

An Application of Satellite Image for The Development of a Vehicle Driving Simulator (자동차 운전 시뮬레이터 개발을 위한 위성영상의 적용)

  • Choi, Hyun;Kang, In-Joon;Lee, Jun-Seok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2.03a
    • /
    • pp.99-105
    • /
    • 2002
  • 컴퓨터의 성능향상으로 인하여 가상현실 및 시뮬레이션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본 연구는 차량의 실시간 운전시뮬레이터 개발을 위한 인공위성영상의 적용에 관한 연구이다. 차량의 효율적인 성능테스트나 주행테스트를 위해서는 자동차공학과 토목공학의 접목이 필요하며, 그래픽 처리 분야에서는 가상 그래픽 주행 시뮬레이터 프로그램(Virtual Driving Simulator ; VDS) 개발, 실시간 그래픽 처리를 위한 알고리즘 개발, 효율적인 환경 및 차량 모델링 생성 및 관리 방법 개발, 인체 모델 시뮬레이션 및 설계 검증 기능부여, 가상현실 기법을 도입한 인간-컴퓨터 인터페이스를 구성 및 평가 등을 실시해야한다. 차량의 주행감각 등 가상 실험을 수행할 수 있는 독자적인 차량의 실시간 주행 시뮬레이터개발과 현실감을 부여할 수 있는 제어 알고리즘 개발, 주행 시뮬레이터의 개발을 위한 각종 인터페이스 구축에 이용되는 위성영상의 활용방안과 효용성에 관한 연구와 워크스테이션과 개인용PC에서의 실시간 시뮬레이션 구축에서의 렌더링의 상관관계 등을 분석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Road Safety Estimation Method using Driving Simulator and Eye Camera (차량시뮬레이터 및 아이카메라를 이용한 도로안전성 평가기법 개발)

  • Doh, Tcheol-Woong;Kim, Won-Keun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 /
    • v.7 no.4 s.26
    • /
    • pp.185-202
    • /
    • 2005
  • In this research, to get over restrictions of a field expreiment, we modeled a planning road through the 3D Virtual Reality and achieved data about dynamic response related to sector fluctuation and about driver's visual behavior on testers' driving the Driving Simulator Car with Eye Camera. We made constant efforts to reduce the non-reality and side effect of Driving Simulator on maximizing the accord between motion reproduction and virtual reality based on data Driving Simulator's graphic module achieved by dynamic analysis module. Moreover, we achieved data of driver's natural visual behavior using Eye Camera(FaceLAB) that is able to make an expriment without such attaching equipments such as a helmet and lense. In this paper, to evaluate the level of road's safety, we grasp the meaning of the fluctuation of safety that drivers feel according to change of road geometric structure with methods of Driving Simulator and Eye Camera and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oad geometric structure and safety level. Through this process, we suggest the method to evaluate the road making drivers comfortable and pleasant from planning schemes.

  • PDF

Verification of autonomous driving simulator with analyzed vehicle dynamics (차량 동역학이 구현된 자율주행 시뮬레이터 검증)

  • H. S. Jeon;K. H. Jeong;S. B. Kim;J. H. Ahn;M. G. 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11a
    • /
    • pp.880-881
    • /
    • 2023
  • 본 연구는 차량 동역학이 적용된 자율주행 시뮬레이터에서 구현된 차량의 거동이 실제 차량과 유사한지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실제 차량모델에 외력을 가할 수 있는 기구를 개발하여 데이터를 획득하고 분석하고자 한다. 시뮬레이터에서 구현된 차량과 유사한 서스펜션 구조를 가진 차량 모델을 만들고 센서를 달아 차량의 운동 모델을 모사했으며, 캠과 감속기어를 활용해 외력을 모사하기 위한 기구를 제작하였다.

Study on the Remote Controllability of Vision Based Unmanned Vehicle Using Virtual Unmanned Vehicle Driving Simulator (가상 무인 차량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영상 기반 무인 차량의 원격 조종성 연구)

  • Kim, Sunwoo;Han, Jong-Boo;Kim, Sung-Soo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40 no.5
    • /
    • pp.525-530
    • /
    • 2016
  • In this paper, we proposed an image shaking index to evaluate the remote controllability of vision based unmanned vehicles. To analyze the usefulness of the proposed image-shaking index, we perform subjective tests using a virtual unmanned vehicle driving simulator. The developed driving simulator consists of a real-time multibody dynamic software of the unmanned vehicle, a motion simulator, and a driver console. We perform dynamic simulations to obtain the motion of the unmanned vehicle running on the various road surfaces such as ISO roughness level A~E roads. The motion of the vehicle body is reflected in the motion simulator. Then, to enable remote control operation, we offer to operators the image data that was measured using the camera sensor on the simulator. We verify the usefulness of the proposed image-shaking index compared with subjective index provided by operators.

Control Loading System (시뮬레이터의 조종감 제시기)

  • 윤석준
    • ICROS
    • /
    • v.7 no.6
    • /
    • pp.10-17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훈련용과 연구용 시뮬레이터들에서 차량조종 및 자동조종(autopilot) 시스템들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하여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기술들을 소개한다. 여기서 언급하는 차량 조종 시스템들은 고정익기와 회전익기의 비행제어시스템은 물론 지상차량의 조종 시스템들을 모두 포함한다. 본 논문은 다양한 유형의 비행 및 지상차량 조종 시스템들에 대한 검토로 시작된다. 다음으로 차량조종 및 자동조종 시스템들의 시뮬레이션과 모델링, 조정 부하(control loading)라 통상 일컫는 조종감(control feel)의 시뮬레이션, 조종계통 모델링툴 시스템 통함 및 시스템 성능 비준 등의 주요 주제들이 이어진다.

  • PDF

Development of efficient vehicle simulation program for construction of driving simulator (운전시뮬레이터의 구성을 위한 효율적인 차량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의 개발)

  • 이광표;윤용산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16 no.3
    • /
    • pp.12-18
    • /
    • 1994
  • 본 연구에서는 운전 시뮬레이터의 구성에 이용될 효율적인 차량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세가지 방법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우선 효율적인 운동방정식의 구성을 위해 부호계산용 상용프로그램 MACSYMA를 이용하여 다물체게의 운동방정식을 부호적으로 유도하는 운동방정식 유도 프로그램을 구성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15자유도의 다물체 차량모델에 대해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차량모델을 개선하여 가면서 계산시간을 줄였으며, 차량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서 이용될 효율적인 수치해법을 결정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Dynamic Simulator for Light Rail Transit Depot (경량전철 차량기지 동적 시뮬레이터 개발)

  • Yang, Won-Mo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 /
    • v.20 no.1
    • /
    • pp.9-18
    • /
    • 2011
  • Recently, in the era of low carbon and green growth, the importance of railway transportation is being emphasized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simulation for railway depot. This paper presents the development of the dynamic simulator for LRT(Light Rail Transit) depot. This study presents explanations of requirement analysis, architecture, database design, simulation algorithm, and design and development of the simulation tool. The dynamic LRT depot simulation tool consists of four modules; a Network Editor to create and modify information regarding railroad, train, signal, turnout, job and station, a Simulator to calculate train movement algorithm, a Reporter to show simulation results in table and graphs, and an Animator to animate simulation results dynamicall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on general details of structure, design and development of LRT depot dynamic simulator will perform as a good reference to future development of new simulation tools.

Test of Vision Stabilizer for Unmanned Vehicle Using Virtual Environment and 6 Axis Motion Simulator (가상 환경 및 6축 모션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무인차량 영상 안정화 장치 시험)

  • Kim, Sunwoo;Ki, Sun-Ock;Kim, Sung-Soo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9 no.2
    • /
    • pp.227-233
    • /
    • 2015
  • In this study, an indoor test environment was developed for studying the vision stabilizer of an unmanned vehicle, using a virtual environment and a 6-axis motion simulator. The real driving environment was replaced by a virtual environment based on the Aberdeen Proving Ground bump test course for military tank testing. The vehicle motion was reproduced by a 6-axis motion simulator. Virtual reality driving courses were displayed in front of the vision stabilizer, which was located on the top of the motion simulator. The performance of the stabilizer was investigated by checking the image of the camera, and the pitch and roll angles of the stabilizer captured by the IMU sensor of the came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