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집진효율

검색결과 207건 처리시간 0.021초

나노/서브마이크론 에어로졸의 집진성능평가를 위한 이중모드 입자의 발생 (Generation of Bi-modal Particles for Performance Evaluation of Air Cleaning Devices for Submicron Aerosols)

  • 지준호;황정호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97-98
    • /
    • 2003
  • 나노/서브마이크론 크기의 입자는 최근 유해 입자상 물질 제거 및 오염 제어나 물질 제조 등의 분야에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보통 환경 입자상 물질로 불리는 0.1~l $\mu\textrm{m}$ 범위의 서브마이크론 입자는 자동차, 공장, 발전소, 소각로 등의 연소 과정에서 발생되어 상당량이 대기로 배출되는데, 인체에 유입되면 호흡기 장애나 암을 유발하는 등의 나쁜 영향을 미친다. 특히, 관성력과 확산력에 의한 영향이 적고 하전 입자의 전기적인 이동도도 낮기 때문에 집진장치나 공기청정장치에서 집진효율이 가장 낮은 크기 범위이다. (중략)

  • PDF

저밀도 세라믹 필터의 고온 장기 집진 특성 (Characteristics of Low Density Ceramic Filters for a Long Term Filtration)

  • 김규범;이동섭;홍민선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1999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44-245
    • /
    • 1999
  • 고온 집진을 위한 세라믹 필터의 개발은 1980년대 이후 유럽을 중심으로 활발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며 기존 대기오염 방지 시설로는 처리가 불가능한 고온 공정에 상용화 되어 있고 국내에도 비철금속, 탄화공정, 유리 용해로 등의 공정에 세라믹 필터을 이용한 고온 집진 공정이 설치되어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개발한 저밀도 세라믹 필터를 이용해 300~$600^{\circ}C$의 고온에서 장시간 실험을 수행 하였으며 장기 집진시 차압과 효율 그리고 세라믹 필터의 특성 변화를 관찰하였다.(중략)

  • PDF

집진기 미세먼지의 복합제진효율 평가방법 (How to Evaluate the Combined Dust Removal Efficiency of Fine Dust in the Dust Collector)

  • 강일서;이영수;김동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2호
    • /
    • pp.339-344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공장 및 대형 시설에서 사용되고 있는 전기집진장치에 대하여 미세분진이 효율적으로 얼마나 제거 될 수 있는지에 대한 내용이다. 미세분진 제거 효율을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0,000 V 에서는 Efficiency method I은 68.1 % 를 보였고, Efficiency method I는 58.6 %로 Efficiency method I의 효율 보다 낮은 효율을 보였다. 5,000 V 에서는 Efficiency method I은 57.6 %를 보였고, Efficiency method II는 51.6 %로 Efficiency method I보다 낮은 효율을 보였다. 2,500 V 에서는 Efficiency method I은 50.3 %를 보였고, Efficiency method II는 24.4 %로 Efficiency method I보다 낮은 효율을 보였다. Efficiency method I의 경우 전 분진농도와 필터 통과 후 분진농도을 활용하여 계산한 효율이다. Efficiency method II는 필터 후의 공기와 오염된 공기가 혼합되는 환경에서 조금 더 정확한 효율을 측정하기 위해 Efficiency method II를 계산하였다. Efficiency method II는 Efficiency method I보다 낮은 효율을 나타내었다. 전기집진장치 실험 결과 10,000 V에서 집진 성능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 5,000 V, 2,500 V의 순을 보였다.

임팩션 효과에 편극전하 방식을 부가한 다층 다단 다공성 플레이트 시스템의 집진특성 (Dust Collection Characteristics of Multi-layer Multi-stage Porous Plate System with Polarization Charge to Impaction Effect)

  • 김보배;김일규;여석준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3권8호
    • /
    • pp.598-605
    • /
    • 2011
  • 본 연구의 주 목적은 다층 다단 다공성 시스템에 편극전하 방식을 부가하여 본 시스템의 집진특성을 실험적으로 해석하는데 있다. 본 시스템의 압력손실 및 집진효율 특성 해석을 위해 실험은 인가전압, 시스템 유입유속, 유입농도 및 stage 수 등의 실험적 변수들에 의해 수행된다. 실험결과, 기류유입 시 유입유속 $v_{in}$ = 3.11 m/s에서 단(stage) 수 변화($1{\rightarrow}5$단)에 따라 압력손실은 $18{\sim}134mmH_2O$를 나타낸다. 인가전압 0 kV 및 기류유입이 없을 때, 시스템 유입유속 $v_{in}$ = 2.58 m/s인 경우 5 stage에서 집진효율은 92.5% 인 데 비해, 동일 유속에서 플레이트 별 편극전하(alternating polarization charge-applied voltage 2.5 kV) 및 기류유입 시스템인 경우 5 stage 효율은 98.5%로 전자에 비해 6% 정도 매우 높은 효율 상승을 보인다.

수평형 집진기의 3차원 유동해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ree-Dimensional Flow Analysis of Horizontal type Dust Collector)

  • 원종운;김용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519-524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대풍량 곡물건조기에 사용되는 수평형 집진기의 집진효율 향상과 최적화를 위한 연구의 선행과정으로 Computational Fluid Dynamics(CFD)를 이용하여 집진기 내부의 유동 특성 분석과 원뿔형 허브의 각 변화가 집진기의 집진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해석하였다. 최근 집진기 입구에 원뿔형 허브와 고정 베인을 설치하여 선회유동(Swirl Flow)을 발생시켜 이물질을 공기와 분리시키는 수평형 사이클론 집진기(Horizontal type Cyclone Dust collector)가 개발되었다. 이 집진기는 크기가 비교적 작고 설치가 용이하고 비교적 배압이 낮아 추가 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베인의 선회력을 이용하기 때문에 대풍량 배습용 송풍기에도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수평형 집진기 형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집진기 내부의 배압 문제와 분진 퇴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3차원 유동해석을 이용하여 집진기 내부 형상 변화에 따른 유동 특성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제 곡물건조기에 적용 가능한 수평형 집진기 설계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으며, 향후 연구 예정인 고정 베인 설계, 주분리관 및 중간분리관의 설계에 적용하고자 한다.

고온여과의 고온 집진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igh Temperature Filtration Performance of Hot Gas Filtration Medium)

  • 홍민선;이동섭;이재춘;나진균
    • 에너지공학
    • /
    • 제3권2호
    • /
    • pp.172-178
    • /
    • 1994
  • 고온, 고압하에서 효율적으로 분진을 제거하는 고온 여과재는 IGCC의 Hot Gas Cleaning, 화학공정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전세계적으로 pilot 또는 semicommercial scale로 연구개발 중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디스크형(50 $\times$10t) 섬유형 여과재를 제조하여 $600^{\circ}C$에서 제철, 유리, 제지 및 석탄화력발전소 배출분진을 이용한 성능시험을 수행하였다. 개발된 여과재의 저항계수는 1010―5$\times$1011의 범위에 존재하였고 총집진효율은 99.7%이상의 높은 효율은 나타내었다. 또한 분진의 표면여과 속도는 10cm/sec로 기존여과 집진기의 5배이상으로 유지하였고 탈진강도 2기압, 탈진시간 0.1초에서 효율적인 집진 및 탈진이 되었다.

  • PDF

배리어 유전체 방전을 이용한 전기 집진부에서의 나노 입자 집진 효율 (Collection Efficiency of Nano Particles by Electrostatic Precipitator using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 강석훈;지준호;변정훈;황정호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7권11호
    • /
    • pp.1542-1547
    • /
    • 2003
  • Although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DBD) in air has been applied to a wider range of aftertreatment processes for HAPs (Hazardous Air Pollutants), due to its high electron density and energy, its potential use as precharging dust particles is not well known. In this work, we measured size distributions of bimodal aerosol particles and estimated collection efficiency of the particles by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ESP) using DBD as particle charger. To examine the particle collection with DBD charger, nano size particles of NaCl(20∼100nm) and DOS (50∼500nm) were generated by a tube furnace and an atomizer, respectively. For experimental conditions of 60㎐, 11㎸ and 60 lpm, the particle collection efficiency for the hybrid system was over 85%, based on the number of particles captured.

배리어 유전체 방전을 이용한 전기 집진부에서의 나노 입자 집진 효율 (Collection Efficiency of Nano Particles by Electrostatic Precipitator using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 강석훈;변정훈;지준호;황정호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435-1440
    • /
    • 2003
  • Although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DBD) in air has been applied to a wider range of aftertreatment processes for HAPs(Hazardous Air Pollutants), due to its high electron density and energy, its potential use as precharging dust particles is not well known. In this work, we measured size distributions of bimodal aerosol particles and estimated collection efficiency of the particles by electrostatic precipitator(ESP) using DBD as particle charger. To examine the particle collection with DBD charger, nano size particles of NaCl($20{\sim}100$ nm) and DOS($50{\sim}800$ nm) were generated by tube furnace and atomizer, respectively. For experimental conditions of 60 Hz, 11 kV, and 60 lpm, the particle collection efficiency for the hybrid system comprising DBD charger and ESP was over 85 %, based on the number of particles captured.

  • PDF

집진효율 향상을 위한 미세 에어로졸 입자의 응축에 의한 성장 연구 (Condensational Growth of Fine Aerosol Particles to Increase Precipitation Efficiency)

  • 한상우;황정호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4권8호
    • /
    • pp.1069-1076
    • /
    • 2000
  • As the environmental problems grow, the regulation of the pollutants emitted from power plants increases. Most of the pollutants in particle phase are removed by particle removal facilities, but fine particles between 0.1 micron and I micron in diameter have a low removal efficiency compared to particles in other size ranges. Therefore the present concern has concentrated on the removal of those fine partic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ow fine particles by condensation to the range larger than I micron. Theoretically the general dynamic equation is solved with an assumption that the particle size follows a log-normal distribution to calculate the temporal behavior of the size distribution. Experiments have been carried out to compare the results with the theoretical predictions. Particles grown by condensation are sampled by impactors and observed with SEM photographs.

산업용 여과포집진장치의 운전 및 성능

  • 박영옥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1995년도 심포지움시리즈 Jan-95 산업용 여과집진막 제조 및 신응용
    • /
    • pp.47-67
    • /
    • 1995
  • 현재 국내 산업공정 및 먼지발생공정에서는 발생된 먼지를 포집 제거하기 위해 머지 발생원의 특성에 따라 각종 집진기술을 적용하고 있는데, 여과포집진장치의 경우 년간 고체연료 사용량이 1,000톤 이상인 사업장을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에 의하면 1985년에는 1,374기 였고, 1989년에는 2,100기, 1991년에는 5,710기로 년 평균 110% 이상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냈다. 이와 같은 증가 추세는 여과포집진 기술이 다른 집진기술에 비해 여러가지 장점을 갖고 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앞으로 산업체에서는 먼지배출 허용농도의 강화 대응 뿐만 아니라 대기오염 방지 측면과 인간의 호흡기에 유입되어 폐에 침착되는 미세한 입자까지 포집, 제거하기 위해서는 먼지제거 설비에는 고효율 집진기술을 적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글에서는 선진국에서 고효율 집진기술로 판명되고 있는 여과포집진기술에 대해 먼지포집 특성과 장치의 구성을 먼저 살펴보고 최근에 산업체 및 발전소에 적용하고 있는 여과포집진기술의 운전현황을 고찰하여 미래에 한국형 종합배가스 처리용 여과포집진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