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집중 모니터링

Search Result 360,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Development of the Concentrated State Monitoring System Using Real-time EEG Analysis (실시간 뇌파분석을 이용한 집중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구현)

  • Kim, Kang-Hyeon;Noh, Yun-Hong;Jeong, Do-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7.05a
    • /
    • pp.625-626
    • /
    • 2017
  • 장시간 앉아 생활을 하는 직장인이나 학생들은 시간 경과에 따른 집중력 저하는 필수적으로 동반되며, 이를 모니터링하여 집중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간편하게 착용이 가능한 무선뇌파계측 시스템기반이 실시간 집중력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블루투스기반의 무선뇌파 측정시스템과 스마트폰 기반의 뇌파분석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다.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실시간 스펙트럼분석을 통해 집중력 파라미터를 추출하고 집중력의 저하를 인지하면 자동으로 피드백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구현된 시스템의 평가를 위해 집중상태를 유발하고 각각의 상태별 뇌파스펙트럼 파라미터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실험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기법을 통해 실시간 집중상태 모니터링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the Attention Monitoring of Drivers During Driving Tasks (주행 시 운전자의 운전작업 중 주의집중 모니터링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 Han, Gaeul;Kim, Jongb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1.11a
    • /
    • pp.383-386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주행 중 운전자의 운전작업 중 전방 주의집중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연구 방안들을 조사하고 최신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으며, 자율주행자동차에서 운전자의 주의집중이 필요한 상황들에 대해 사전에 안내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동향을 조사한 결과 대부분의 방법은 시각 자료 기반과 생체신호 기반으로 진행하고 있다. 연구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두 가지 방법 중 본 연구에서는 시각 자료 기반 연구 방법에 초점을 맞추어, 자동차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수집된 영상에서 운전자의 운전작업 주의 여부를 식별하는 방법들에 대해서 분석을 진행하였다. 주행 영상에서 HoG(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s) 특징과 딥러닝 학습을 통해 운전자의 주의집중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이 효과적임을 제시한다. 본 연구조사를 통해 분석된 운전자 모니터링 방안들을 자율주행 자동차에 적용하기 위한 운전자 주의 태만 경고시스템에 적용이 가능함을 제시한다.

Analysis of Two-Dimensional Numerical Simulation using UAV (UAV를 이용한 2차원 수치모의 분석)

  • Shin, JiHye;Felix, Micah;Choi, Mikyoung;Jung, Kwansu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87-87
    • /
    • 2020
  • 최근 기후변화에 의한 이상기후에 따라 집중호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집중호우로 인해 내수, 외수 침수 등 수재해 발생 빈도 및 피해 규모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홍수범람 상황 및 피해양상을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분석하는 기술은 부족하다. 현재 여러 분야에서 UAV를 활용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므로 홍수 모니터링에 UAV를 활용함으로써 홍수 모니터링의 적시성 및 정확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최근까지도 홍수로 인한 침수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홍수로 인한 배수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UAV 촬영을 통해 취득한 포인트 클라우드 자료를 기반으로 한 경사도 기법을 활용하여 DSM을 하천 측량에 활용 가능한 DEM으로 변환하여 지형자료를 구축하였다. 2차원 수치모형인 FLUMEN을 사용하여 홍수로 인한 침수와 배수를 고려한 모의를 수행 중이며 모의 결과를 UAV 홍수 모니터링 영상과 비교, 검증할 것이다. 또한, 침수와 배수의 소요시간 등을 분석하고 검토할 것이다.

  • PDF

Hydrologic Monitoring and Complement for Urban Sub-drainages (도시하천 소배수구역 수문 모니터링 및 운영보완)

  • Han, Myoung-Sun;Kim, Chung-Soo;Kim, Hyoung-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714-718
    • /
    • 2008
  • 최근 다양한 기상 이변과 해수 온도 상승으로 인해 더욱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국지성 집중 호우 및 돌발홍수는 각 유역 특성별 수문 기초자료의 축적 및 분석을 더욱 요구하고 있다. 또한, 수문현상은 시간과 공간에 따른 큰 변동성을 가지고 있어 규명하기 복잡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산악지역이 많은 우리나라의 지형학적 특성과 최근의 집중 호우 특성 등으로 인하여 이러한 변동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집중 호우시 인명과 재산의 피해가 더 가중되는 도시 지역은 더욱더 중요하다. 도시지역의 수문 모니터링이 부족한 실정을 고려한다면 도시하천별, 소배수구역별 수문 관측 및 자료 분석이 절실하다. 우리나라 주거지역의 토지이용 형태를 반영하는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도시하천 수문 모니터링시스템 운영 및 자료 축적, 제공이 필요하다. "도시홍수재해관리기술연구사업단"에서는 도시하천 유역의 수문현상 규명을 위한 기초 정보 축적을 위해 중랑천 유역에 시험배수구역(신내1 배수구역, 군자 배수구역, 어린이대공원 배수구역)을 운영하여 수문 관측 및 자료 분석을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하천 시험유역의 운영 결과와 미흡한 부분을 개선하기 위해 보완한 내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또한, 도시하천 시험유역 운영시 인식해야할 중요한 사항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도시하천 시험유역 선정 및 운영, 수문자료 분석에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velopment of Monitoring System for Urban Flooding Management (도시침수 상황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 Kang, Hoseon;Choi, Changwon;Bae, Chang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3
    • /
    • 2018
  • 최근 기후변화에 의한 강우패턴 변화로 국지성 집중호우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서울 강남('12), 부산('13), 울산('16), 인천, 부산('17) 등 대도시 지역에서 침수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도시침수는 하천홍수 피해와는 달리 매우 짧은 시간에 피해가 발생하며, 시설물 파괴보다는 주택, 차량, 상가 침수로 인한 재산 및 인명 피해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도시침수는 다양하고 복합적인 원인에 의해 발생되므로, 상황관리에 어려움이 있다. 현재 도시침수 피해저감을 위한 대책으로 구조적인 대책과 복구사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짧은 시간, 높은 강도의 호우에 의해 발생하는 도시침수는 이와 같은 대책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사전 대비 대응을 위해서는 예 경보 시스템 등 비구조적인 대책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도시침수의 실시간 분석 및 모니터링 등 상황관리지원을 위한 도시침수 통합 관리 시스템의 도입이 필요하다. 따라서 국립재난안전연구원에서는 도시침수 상황관리를 위한 "도시침수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연구를 2014~2016년에 걸쳐 수행하였다. 도시침수 모니터링 시스템은 실시간 AWS 및 RADAR 예측강우 기반의 예 경보, 침수예상도 및 침수위험지역 정보제공, 실시간 강우빈도분석, 다양한 기상정보 제공, SNS알림 서비스 등을 제공하여 담당자의 의사결정 지원이 가능하며, 2017년부터는 시범운영을 통한 고도화를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범운영 결과를 통해 시스템의 적용성을 검증하고, 개선사항을 도출하였으며, 향후 도시침수 모니터링 시스템의 전국화 운영을 위해 전국 읍면동단위의 위험기준 추정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Land use Survey and Monitoring Forcused on the Subway Station Areas in Taejeon (도시철도 역세권의 공간이용 모니터링을 위한 기초연구)

  • Cho, Byung-Ho;Choi, Bong-Mo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1 no.2
    • /
    • pp.457-465
    • /
    • 2011
  • This research, which was started with a need for constant monitoring to find out urban societies and spacial effects by urban railway after the opening, was intended to empirically explore urban and social changes by the opening of Daejeon City metro line 1st which would greatly affect the spacial structure of the city. For this goal, we expected the effect of urban subway on the city with academic consideration and precedent study. Monitoring results of the subway station areas of Daejeon City metro line 1st showed the opening of urban railway had an influence on the flow of urban plan and urban space structure through population, land use, total-developing areas, and land price change. In other words, as urban railway opens the number of population and population activities centered on the subway station areas, and these movements led to the expansion of the commercial areas. Finally, they caused the average land prices to rise. Likewise, urban monitering is significantly useful comprehending the generally time-periodic changes of cities and even conceiving the present cities.

Oxygen Real-time Monitoring System using RGB Sensor toward PCB Manufacturing (PCB 제조공정을 위한 RGB 센서의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 Anh, Jong-Hwan;Lee, Seok-Soon;Kim, Yi-Cheol;Hong, Sang-Jin;Soh, Dea-Wha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79
    • /
    • pp.73-75
    • /
    • 2007
  • 과거 PCB 제조의 주된 화제는 다양한 산업분야의 발전을 위해 한정된 시간 안에 좀 더 많은 PCB를 양산하는 기술 개발에 집중되어 있었지만, 현재는 비정상적인 공정 상태를 파악함으로써 제조 공정 환경에서의 오류를 줄여 전체 수율을 높이는 방법에 시선을 돌리고 있다. PCB 에칭의 경우 에칭 용액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애칭용액의 상태를 판단할 때 사용되는 ORP센서 대신, RGB센서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용액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기존 ORP시스템과의 비교 분석을 및 RGB 센서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이 ORP센서를 이용한 방법 보다 좀 더 쉽고 정확하게 에칭 액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Mountainous River Basin Monitoring System (격자기반의 산지하천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및 운영)

  • Kim, Kyung-Tak;Park, Jung-Sool;Won, Yo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15-215
    • /
    • 2011
  • 우리나라 하천의 대부분은 산지에서 발원하며 전 국토의 약 67%가 산지하천 유역에 포함된다.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여름철 집중호우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강우의 예측이 어렵고 경사가 급한 산지하천 유역의 피해가 가중되고 있으며 돌발홍수나 산사태와 같은 산지재해 예방을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산지하천유역에서 발생하는 재해를 예방하고 피해를 저감하기 위해서는 재해위험지역에 대한 선정 및 상시 모니터링 체계의 구축이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는 격자기반의 산지하천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여 강우상황과 예측정보, 이동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산지하천 모니터링 시스템은 기상청 레이더 강우를 활용한 실시간 강우자료 및 강우예측자료(MAPLE) 표출, 분포형 수문모형과 연계한 유출분석 결과의 제공, AWS를 이용한 지점강우량 표출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지점자료 혹은 격자자료로 이원화되어 있는 기존 하천유역 모니터링 체계를 통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유역에 대한 기상자료의 모니터링과 위험지역에 설치된 지점관측정보를 연계 운영할 수 있도록 구현된 특징이 있다. 본 시스템은 현재 강원도 인제 내린천 유역을 대상으로 시험운영 중이며 격자기반의 강우모니터링과 토석류 현장모니터링 결과를 연계한 위험지 관리에 활용되고 있다.

  • PDF

Web-based Postal Logistics Monitoring Systems (웹기반 우편물류 모니터링 시스템)

  • Kim, Dong-Ho;Kim, Jin-Suk;Kim, Hae-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0.10a
    • /
    • pp.445-448
    • /
    • 2000
  • 웹기반 우편물류 모니터링 시스템은 우편물류처리의 효율적인 인프라를 제공하는 통합 우편물류 실시간 관제시스템의 핵심 구성요소로서, 우편집중국-운송교환센터 중심의 체제에서 우편물량 정보와 우송경로 및 차량추적 정보를 실시간으로 웹을 통하여 제공한다. 이 논문에서는 웹기반 우편물류 모니터링 시스템의 세부기능과 구조 및 환경에 대하여 설명한다.

  • PDF

A Development of Realtime Postal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실시간 우편처리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 김동호;진병운;김혜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c
    • /
    • pp.176-178
    • /
    • 1999
  • 우편 처리상황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은 우폄 물류처리의 효율적인 인프라를 제공하는 통합 우편물류 실시간 관제 시스템의 구성요소로서, 우편 집중국 및 운송교환센터를 대상으로 우편물량 정보와 운송경로 및 차량추적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이 논문에서는 우편 처리상황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의 세부 기능과 구조 및 성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