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집수조

Search Result 29,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Development of Water Supply Technology Using Smart Rainwater Storage (스마트 빗물저류조 활용 용수공급 기술 개발)

  • Maeng, Seung Jin;Kim, Da Ye;Park, In Sung;Park, Hyung Keun;Seo, Sung 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36-336
    • /
    • 2022
  • 빗물자원의 대부분은 바다로 유입되어 소모되거나, 하수로 유입되어 불필요한 고도처리 공정이 진행되고, 하수처리장 용량에 과부하를 발생시키는 등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갈수기시 농가에서 용수를 확보하기 위한 용수 운반장치 등 기반구축이 쉽지 않으며, 인력 부족으로 정상적인 용수공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빗물자원을 용수로서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빗물저류조에 스마트 관수제어 시스템을 적용한 것으로 지중에 설치된 토양수분 센서와 저류조 내부의 수위 센서에서 관측된 데이터를 토대로 자동으로 지중에 수분을 공급하는 시설이다. 지중에 수분이 부족할 경우 밸브를 열어 자동으로 펌프를 가동시켜 저류조 내부의 물을 지중으로 공급시키며 지중의 수분이 충분하거나 저류조 내부의 물이 부족해질 경우 밸브를 닫아 공급을 중단하도록 한다. 또한 저류조의 수위와 토양의 수분량, 펌프의 작동여부 등은 앱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확인이 가능하며, 스마트폰 앱을 이용한 수동조작 또한 가능하다. 본 기술은 집수, 저류, 공급, 통신, 제어, 센서 총 6종의 모듈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환경 및 예산의 따라 집수, 저류, 공급 모듈 등 맞춤형 제품 구성이 가능하도록 개발하였다. 저류조의 물공급을 관리, 제어하는 시스템으로 센서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기준으로 펌프를 작동시켜 수분공급을 제어할 수 있으며 해당 기록을 서버에 저장하여 데이터의 통계를 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사용자가 앱을 통하여 직접적인 제어 및 가동환경에 대한 설정을 할 수 있어 사용자가 직접 현장에 오지 않아도 토지의 현황과 저류조의 수위, 수분 공급상황 등을 직접 제어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Rainwater Quality Monitoring and the Improvement, Collection and Storage System (빗물 집수 및 저장 시스템 개선과 수질 분석 모니터링)

  • Kim, Chul-Kyung
    • Clean Technology
    • /
    • v.17 no.4
    • /
    • pp.353-362
    • /
    • 2011
  • In our nature, the utilization of rainwater is essential for healthy water recirculation. This is one of the solutions of the increment of impermeability surface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new cities; this study of the improvement of rainwater quality has been carried on through the improvement of collecting and restoring system of rainwater. The southwestern region of Daejeon City, the rainwater coefficient of run off was 0.40 and this number had computed to 0.59 after the development. After filtration of rainwater, the heavy metal (Cu, As, Cr, Fe, Mn) contents level were lower than underground water. Moreover, collected rainwater showed better quality than underground water in following criteria; hardness, permanganate consumption quality, chloride, evaporation residue, sulfates and nitrate nitrogen. This water quality met the gray water quality standards. The rainwater quality was still suitable to use as bathroom flushing and gardening after 100 days of storage. This study proved that modification (installation of cover with gutter to existing rainwater collection system, proper filtering, and installation of underground storage tank) of collection system could improve quality of water and maintain this approximately 100 days.

A Study on the Two Phase Flow in the Floor of Containment Building after a Loss of Coolant Accident (냉각재 상실사고 후 격납건물내의 이상유동 연구)

  • Bae, Jin-Hyo;Park, Man Heung;Koh, Chul-Kyun;Lee, Jae-Heo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23 no.10
    • /
    • pp.1274-1284
    • /
    • 1999
  • The Regulatory Guide 1.82 recommends an analysis of hydraulic performance for sump of ECCS (Emergency Core Cooing System) when LOCA(Loss of Coolant Accident) occurs in a nuclear power plant. The present study deals with 3-dimensional, unsteady, turbulent and two-phase flow simulation to examine the behavior of mixture of reactor coolant and debris near the floor of containment building in conjunction with appropriate assumptions. The dispersed solid model has been adjusted to the interfacial momentum transfer between reactor coolant and debri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counterclockwiserecirculation zone had been formed in the region between sump and connection aisle about 376 second after LOCA occurs. The debris thickness accumulated on a sump screen periodically increases or decreases up to 2000 second, afterwards its peak decreases.

Numerical Evaluation of Debris Transport During LOCA Blow-Down Phase of OPR1000 Nuclear Power Plant (CFD 를 이용한 OPR1000 원자력발전소 파단방출이동에 대한 수치해석적 평가)

  • Choi, Kyung-Sik;Park, Jong-Pil;Jeong, Ji-Hwan;Kim, Won-Tae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35 no.3
    • /
    • pp.255-262
    • /
    • 2011
  • In a loss-of-coolantaccident, considerable debris may be generated and transported to the recirculation sump. The accumulation of debris will reduce the netpositivesuctionhead and threaten the safety of thenuclear power plant. Both NEI 04-07 and USNRC SER suggesteda CFD methodology. However, additional investigation is needed to consider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nuclear power plants. The transport of the generated debris is strongly influenced by the break location and the plant characteristics, including the configuration.In this paper, a CFD methodology for blow-down transport evaluation is proposed and applied to an OPR1000 nuclear power plant. The results show that the percentage of small debris transported to the upper containment is 32%, which is 7% larger than the valuegiven in the NEI 04-07 baseline analysis. This result may be used as a point of reference in future analytical studies.

A plan on construction of irrigation facilities for agroforestry in DPRK (북한의 임농복합경영을 위한 관개시설 구축방안)

  • JI, Dallim;Kim, Kwanho;Choi, Ka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176-176
    • /
    • 2020
  • 본 연구는 북한의 식량난과 산림복구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는 임농복합경영의 현주소를 파악하고 북한의 임농복합경영이 가지는 대표적인 문제점이자 한국농어촌공사에서 접근할 수 있는 기술분야인 관개시설의 구축방안에 초점을 두어 해결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특히 임농복합경영 대상지의 경우, 산지를 개간하여 경사도 30° 이하의 경사지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 경우 토성이 사질 혹은 식질이 많아 보수력이 평지에 비해 크게 떨어지고 유효수분이 있는 토심도 낮기 때문에 가뭄 및 한발피해에 취약하다. 한발 시 관개를 위해 필요한 저수규모를 설정하기 위해서 강릉 안반데기와 영월 조전지구에서 산정한 단위용수량을 근거로 저수규모를 결정하였다. 계곡물이나 빗물은 자연흐름식 등의 방법으로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도 집수할 수 있지만 하천이나 지하수를 퍼올려야 할 경우는 동력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기 때문에 대체에너지 활용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임농복합경영을 위한 관개분야에 대한 대책으로 복합 취수원에 따라 하천, 지하수, 계곡, 빗물 등으로 구분하고 그에 따른 주요시설과 사업비를 산출하였다. 북한에서는 임농복합경영을 위한 경제성이 있는 규모로 50ha를 제안하고 있어 50ha규모의 임농복합경영 관수시설 부분에 대한 제안과 북한이 추진하고 있는 임농복합경영은 대부분 외부 지원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지원의 용이성 및 가능성을 고려하여 10ha의 규모 역시 제안하였다. 50ha의 규모일 때 주요시설은 취수보, 양수장, 암반관정, 저수조, 물탱크, 송수관로, 급수관로, 급수대, 팜폰드, 둠벙, 배수로, 농로 등이며 수원공은 하천, 계곡, 지하수, 빗물이다. 동력은 태양광, 풍력으로 저수규모는 저수조에 2,000톤(40%여유수량), 팜폰드 및 둠벙에 800톤(60%여유수량)을 확보하였다. 10ha의 규모일 때 주요시설은 저수조, 물탱크, 급수관로, 팜폰드, 둠벙, 배수로, 농도 등이며 수원공은 빗물이다. 동력은 경사차를 이용한 자연흐름식 집수 방식으로 무동력이다. 본 연구는 향후 남북관계 개선시 우선 지원사업의 하나로 활용이 가능하다는데 의의가 있다. 50ha의 규모에 제시된 동인 태양광 및 풍력의 경우도 지속적인 유지관리 비용이 들지 않지만 초기 설치비가 높기 때문에 경제성이 있는 관개시스템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 PDF

Analysis of EQ pH Condition and Fission Product Removal Capability for Nuclear Power Plant (원전의 내환경기기검증 화학환경 및 핵분열생성물 제거능력 평가)

  • Song, Dong Soo;Ha, Sang Jun;Seong, Je Joong;Jeon, Hwang Yong;Huh, Seong Cheol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23 no.3
    • /
    • pp.186-190
    • /
    • 2014
  • Nuclear Power Plants require the control ability of chemical condition (pH) because pH control during transient accident such as LOCA makes an able the fission product removal capability to be maintained, stress corrosion cracking of stainless steel equipment to be prevented and the production of hydrogen by aluminum and zinc to be minimized. An NPP is designed to control the pH of containment spray and sump coolant using the spray additives 30% NaOH in the event of loss of coolant accident. In this paper, the pH of sump coolant of an NPP during LOCA was analyzed and the fission products removal constant and decontamination factor were calculated according to Standard Review Plan 6.5.2 related to spray chemical conditions of pH. The calculated pH value of recirculation mode using the computer code corresponds to 8.09~9.67, which meets the chemical environment regulation requirements. The fission product removal capability caused by containment spray system is performed to provide input to radiation analysis.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Heat Pump System for Heat Recovery in Dyeing Wastewater (염색폐수 열회수를 위한 열펌프시스템 적용 연구)

  • 장기창;박성룡;이영수;이상남;라호상;박준택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2002.05a
    • /
    • pp.57-67
    • /
    • 2002
  • 염색산업은 공정특성상 다량의 증기와 고온수가 필요한 에너지 다소비 산업으로 원가절감에 의한 경쟁력 향상을 위해서는 에너지사용량 절감을 위한 노력이 절실히 요구되는 산업이다. 염색가공공정은 정련, 감량 등 처리공정을 통해 조업, 생산하고 있는데, 이 공정과정에서 다량의 폐수가 발생되고 있으며, 배출된 폐수는 각 공장의 저류조에 집수 되어 공동폐수처리장으로 방류된다.(중략)

  • PDF

Model Development of Decision Support System for Rainwater Management in Building Complexes (공동주택 빗물관리 의사결정지원 모형 개발)

  • Kim, Ree-Ho;Kim, Young-Min;Lee, Sang-Ho;Kwon, Ky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319-323
    • /
    • 2009
  • 최근 대체수자원 개발, 도시 비점오염과 물순환 체계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분산식 빗물관리기술에 대한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이수 목적의 빗물이용시설, 치수목적의 우수유출 저감시설, 택지개발사업의 재해저감시설 등 다양한 목적으로 시설들이 도입되고 있다. 그러나 치수용 시설에 있어 설계강우에 따른 홍수량 산정방법을 제외하고는 이수 및 물순환 건전화를 위한 계획, 설계기술은 현재까지도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이수목적의 경우 집수면의 토지이용 특성, 용도별 사용수량 및 경제성에 대한 검토 없이 집수면적이나 대지면적의 일정비율 이상을 설계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의 빗물관리시설 계획 설계를 지원하기 위해 공동주택 빗물관리 의사결정지원 모형(RainCity v1.5 Beta)을 개발하였다. 강우자료는 5분 간격의 설계강우, 시우량 및 일 강우자료를 DB나 사용자 파일로부터 호출하도록 하였으며, 토지이용 특성에 따라 유출계수를 고려한 수문학적 집수면적을 산정하여 적용하였다. 현재 버전은 이수 및 치수용 저류조, 침투통, 침투트렌치, 침투블럭 등 장치형 침투시설과 투수성포장 등 지표면 침투시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각 시설조합의 설치에 따른 유입/유출량, 침투량 및 사용수량 등 물순환 과정을 모의할 수 있다. 특히 선택된 시설조합은 규모 시나리오에 따라 목표 기능에 맞는 시설규모들을 선정하고, 비용-편익분석을 통해 경제적인 시설규모를 결정할 수 있다. 향후 지속적으로 GUI를 개선하여 사용자 편의도를 높이고, 식생형 침투도랑, 생태연못, 중수이용시설과의 연계 등 기능을 확대할 계획이므로 국내에서의 빗물관리시설의 계획 설계 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Method for Optimal Operation of Irrigation Supply using Multi Water Resources (다중수원을 활용한 관수공급 최적 운영에 관한 방법)

  • Gwon, Yong Hyeon;Jung, Seung Kwon;Lee, Su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25-225
    • /
    • 2017
  • 농촌지역 관수공급의 대부분은 지하수, 하천, 저수지 등 주변의 다중수원을 활용하고 있지만, 지속적인 가뭄 발생시 농업용수의 부족현상을 일으키며, 농작물의 생산량과 품질에 많은 영향을 주는 원인이 된다. 밭작물의 경우, 재배작물별로 적절한 재배환경조성은 작물의 생산성에 매우 큰 영향을 주므로 생육에 필요한 알맞은 토양수분을 유지를 위해 적절한 관수공급이 중요하다. 이러한 농촌지역의 물부족 현상을 대비하여 효율적인 관수공급으로 인한 물관리와 대체 수자원의 확보 및 활용방안이 요구되며, 대체 수자원을 저류하여 관수공급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방법들이 다각적으로 검토되고 있다. 특히, 빗물을 집수하여 재사용 하여 작물을 재배하는 방법이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수자원을 재활용하기 때문에 비용적인 측면에서 가장 효율적이므로 이러한 빗물을 저류조에 집수하여 효과적으로 재사용 하여 관수공급하는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농촌지역에서 작물재배를 하기 위해 관수공급시 관정의 수량이 충분한 평상시는 관정펌프로부터 물을 길러 관수를 하도록 하였고, 관정의 수량이 부족한 비상시(가뭄)와 강우 예측시에는 저류조로부터 관수를 하도록 가뭄시나리오와 강우시나리오를 구축하였다. 효율적인 관수공급 운영을 위해 기상청의 7일 기상예보 자료를 획득하고 강우분석을 통해 저류량 예측을 하고 작물별 일관수공급량을 계산하여 물부족이 일어나지 않도록 최적의 운영방법론을 구축하였다. 이를 통해, 다중수원으로부터 확보된 수원을 저류조에 저장하여 가뭄과 같은 비상 상황에서 농업용수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비상 상황에서 농작물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Comparison of rainwater utilization rate according to actual capacity-standard capacity of storage tank of rainwater harvesting system (빗물이용시설 저류조 실제용량-기준용량에 따른 빗물이용률 비교)

  • Sim, Inkyeong;Park, Yoonkyung;Kim, Reeho;Park, Jongpy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18-418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수문학적 물수지 분석을 통한 물수요-공급 시계열 분석을 수행하여 빗물이용률을 산정하였다. 물수지 분석 도구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통해 빗물이용시설 공급충족률(필요수량 대비 빗물이용량), 빗물보장률(전체일수 대비 빗물이용일수), 빗물이용률(빗물이용시서용량 대비 빗물이용가능량)에 대해 분석을 수행하였다. 업무시설, 학교, 체육시설(공원), 공동주택에 대해 수요처별 수요 시나리오를 작성하였으며, 고수요 75%, 중수요 50%, 저수요 25%를 적용하였다. 시나리오별 실제 용량과 기준용량에 따른 빗물이용률을 비교함으로써 현재 설치된 빗물이용시설이 잘 계획되었는지, 과소 계획되었는지 파악할 수 있다. 빗물이용률 분석을 위해 빗물이용시설 유형별 2개소씩 선정하였으며, 빗물이용시설 실제용량 및 기준용량(집수면적(m2)×0.05 적용)에 따른 수요 시나리오별 빗물이용률을 비교하였다. 이와 같이 물수지 분석 도구를 이용하면 다양한 시나리오 적용에 따른 운영 결과를 향후 설치될 빗물이용시설의 설치 이전에 확인하여 최적 운영방안 도출 및 저류조 용량 계획에 참고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