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집모양토기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1초

집모양토기를 통한 가야 건축 연구 (A Study about Gaya Architecture with House-Shaped Earthenware)

  • 한욱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4권1호
    • /
    • pp.32-51
    • /
    • 2021
  • 가야 건축과 관련한 건축적 증거는 그 어떤 지역보다도 미미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가야 건축을 연구하는 데에는 가형토기라고도 불리는 집모양토기가 특히 도움이 된다. 집모양토기는 사용 목적이 건축적이지는 않지만 그 모습이 건축물을 모방하였기 때문에 당시 건축의 모습을 보다 사실적으로 보여주는 자료이다. 그러나 집모양토기가 건축물을 모방하였다고는 하지만 본래 건축과는 상관없는 특별한 기능을 갖는 기물이므로 건축물에 대한 정확한 묘사보다는 본래의 기능에 맞는 형태로 변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그 형태를 살펴 건축적인 부분과 아닌 부분을 구분해내고 건축적인 부분을 통해 건축물의 모습을 규명해내지 않으면 안 된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현존하는 집모양토기의 건축적 고찰을 통하여 가야의 건축적 특성을 추정하는 것을 시도해보았다. 여기에는 역사기록과 함께 특히 최근 발굴조사를 통해 드러난 고고학적 결과를 기초자료로 활용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모양토기는 그 형태에 따라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각 유형은 각각 구별되는 건축 구조적 특성을 갖고 있다. 둘째, 한국을 비롯한 동양 건축의 특징 중 하나인 지붕면을 정면으로 하는 것과 비교할 때, 집모양토기에 나타나는 맞배지붕의 박공면을 정면으로 하는 건축 의장적 특성은 가야 건축이 갖는 매우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일부 고고학적 증거가 부족하기는 하지만 가야 건축에서는 기능에 따른 다양한 유형의 건축물이 존재하였으며, 집모양토기는 이들 가운데 풍요의 상징성을 갖는 고상 창고, 축사, 주택의 형태를 모방하여 제작된 것이다.

광주(光州) 신창동(新昌洞) 저습지출토(低濕地出土) 나무문짝(비문(扉門))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Door Discovered at the Shinchang-dong Wetland Site)

  • 천득염;신상효
    • 건축역사연구
    • /
    • 제15권5호
    • /
    • pp.7-18
    • /
    • 2006
  • A lot of relics were unearthed in the Shinchang-dong wetland site, which can help restore prehistoric life style, including construction tools such as wood doors, wood hammers, ax handgrips, sickle handgrips, wedges, awls, wood pillars and connection members, food vessels made of earth or wood and fish, shell fish, seeds and remains of weapons. In particular, a door was found in the site, which was measured at 110cm long and 37cm wide. If restored it will be 75cm wide. The door seems to date back as far as the 1st century B. C., which would be the oldest one ever discovered in Korea. This paper is intended to explore the implications of the door by investigating the environment of the Shinchang-dong wetland site bearing the relics intact,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times of manufacturing of the door as well as attributes of doors presented in the literature related to old time architecture such as Goguryeo tomb paintings and house-shaped vessels. It also intends to provide basic data for study of residential architecture in prehistoric tim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