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집과 같은 환경

검색결과 355건 처리시간 0.04초

한국 동굴의 환경 파괴 분석

  • 김추윤
    • 한국동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굴학회 1993년도 제 5차 ASIA 동굴학 심포지움
    • /
    • pp.117-128
    • /
    • 1993
  • 동굴환경의 파괴는 여러가지 측면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우선 동굴이 관광화되기 이전에 동네주민들이 호기심에 들어갔다가 석주ㆍ석순과 같은 형상이 좋은 퇴적물을 파괴하여 집에 가져오는 경우도 있고, 관광지로 개발된후 동굴내의 조명등에 의해서 새로운 형태의 녹색공해 즉 하등식물등이 자라거나, 관광객의 빈번한 출입에 의해서 동굴내부의 온도가 올라가 표피가 박리현상을 일으켜 탈피되거나 관광시설을 설치할때에 파괴되거나, 자연적으로 홍수때 오염된 물이 지하에 유입되어 동굴생물을 파괴시키는 경우등 그 원인이 여러가지 있을 수 있겠다.(중략)

  • PDF

한국동굴의 환경파괴

  • 홍시환
    • 동굴
    • /
    • 제16권17호
    • /
    • pp.109-120
    • /
    • 1988
  • 동굴환경의 파괴는 여러 가지 측면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우선 동굴이 관광화되기 이전에 동네주민들이 호기심에 들어갔다가 석주ㆍ석순과 같은 형상이 좋은 퇴적물을 파괴하여 집에 가져오는 경우도 있고, 관광지도 개발된후 동굴내의 조명등에 의해서 새로운 형태의 녹색공해 즉 하등식물등이 자라거나, 관광객의 빈번한 출입에 의해서 동굴내부의 온도가 올라가 표피가 박리현상을 일으켜 탈피되거나 관광시설을 설치할때에 파괴되거나, 자연적으로 홍수때 오염된 물이 지하에 유입되어 동굴생물을 파괴시키는 경우등 그 원인이 여러 가지 있을 수 있겠다.(중략)

  • PDF

사례조사법을 이용한 보험회사 사장실 디자인의 인간공학적 접근 (A Case Study on Human Factors Approach to Designing the Executive Office in the Insurance Company)

  • 박희진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57-75
    • /
    • 1997
  • 사람들은 대부분의 시간을 집이나 직장에서 보내게 된다. 그러므로 집과 사무실은 삶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두 개의 공간인 것이다. 인간공학적으로 디자인된 사무실은 그곳에서 일하는 사람들의 신체적, 사회적 요구에 부합하게되어 작업능률과 만족감을 향상시키며, 스트레스를 조절하고, 건강과 안전을 위협하는 요소를 최소화한다. 특히 많은 책임과 권한을 가진 사장들에게 있어서 인간공학적으로 디자인된 환경은 필수적인 요건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사례조사법을 이용하여 미국 Lowa주 주도인 Des Moines에 사무실을 갖고있는 10개 보험회사 사장들을 대상으로 설문지와 관찰조사 및 실내공간 스케치를 이용하였다. 대부분의 사무실은 직접적으로 일과 관련된 디자인 부분만 강조되어 있었으며 그들의 많은 시간이 읽기와 쓰기등 시각적인 일에 쓰여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조명, 특히 국부조명은 거의 고려되어 있지 않았다. 상담이나 접견과 같은 활동을 위한 가구의 선택이나 실내공간계획이 제대로 되어 있지 않았다. 사용후 평가를 실시한 결과 대부분의 대상자들은 심리적, 생물학적 요구사항들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다. 디자이너는 좀더 사용자 위주의 공간계획을 해 나가야 할 것이며 각각 다른 사무실특성, 기능, 인간관계. 특히 종업원과의 관계, 사업종류 등을 명확히 이해해야 할 것이다.

  • PDF

대구, 구미, 김천 시역의 팔공산, 금완, 황악산에 분포하는 참나무류 삼림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Phytosociology of the Quercus spp. Forests on Mts, Palgong, Kumo and Hwangak in the City Areas of Taegu Kumi and Kimchon Kyungpook Province Korea)

  • 송종석;노광수;정화숙;송승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20-233
    • /
    • 1999
  • 본 연구는 서열법(교호평균법)과 ZM학파의 식물사회학적 연구방법에 의해 대구, 구미, 김천 근처의 팔공산, 금오산, 황악산 일대의 참나무류 삼림을 분류하고 그 환경조건을 해석할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교호평균법에서 추출된 stand의 제 1축상의 종의 배열은 식물사회학적 군락분류의 표징종이나 식별종의 후보 종군을 추출하는데 매우 효과적이었다. 이결과와 타지역과 본 연구지역의 낙엽수림의 조성을 비교 검토한 결과 이하의 2군집, 1군락, 2아군집을 식별하였다. 너도밤나무군강(Fagetea crenatae Miyawaki et al. 1968) ; 당단풍-신갈나무목(Acero-Quercetalia mongolicae Song 1988); 조록싸리-졸참나무군단(Lespedezo-Quercion ser-1-1 때죽나무아군집(Styracetosum japonicae subassoc. nov) 1-2 전형아군집(typicum subassoc. ) (Ainsliaeo-Quercetum mongolicae assoc. nov.) 3. 신갈나무-시닥나무군락(Quercus mongolica-Acer teschonoskii var, rubripes community) 본연구에서 식별된 군단은 우리나라의 냉온대 낙엽활엽수림의 북부형과 남부형에 대응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서열법에 의해 계산된 제 1축과 제2축상에의 stand의 배열은 인위와 해발과 같은 환경경도상의 계열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와 함께 본 연구와 관련되는 사항으로 우리나라의 냉온대림의 군락분류학적 문제점을 종조성론의 입장에서 논하였다.

  • PDF

한 층의 지오텍스타일로 보강된 모래지반의 지지력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Bearing Capacity in Sandy Ground Reinforced by a Layer of Geotextile)

  • 박용부;주인곤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7권5호
    • /
    • pp.67-77
    • /
    • 2006
  • 성토지반의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지반개량이나 다짐과 같은 일반적인 방법들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내구성이 크고 강한 합성수지와 같은 재료들이 개발되어 실용화됨으로서, 보강토공법이 널리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층의 지오텍스타일로 보강된 모래지반상의 대상기초에 대한 모형실험을 평면변형률 상태에서 실시하여, 지오텍스타일의 설치위치와 길이, 강도의 변화에 따른 지지력의 증대효과와 지반의 거동을 관찰하였다.

  • PDF

주변건물군의 변화가 건물 자연환기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 of the Changes in Neighboring Building Layout onto Natural Ventilation Force in Buildings)

  • 김미정;이희관
    • 환경영향평가
    • /
    • 제20권2호
    • /
    • pp.97-105
    • /
    • 2011
  • 도시의 일상생활에서는 시가지의 바람이 나무, 집 등 낮은 건축물 군에 의해 방해되어 보통은 전원의 바람보다 풍속이 저감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기존의 바람 흐름이 있는 곳에 건축물이 세워지게 되면 기존의 풍환경은 크게 변화되어 풍속이 약한 곳과 강한 곳이 조성되어 이와 같은 바람이 지표부근의 구조물에 의해 받는 영향은 도시지역에서 강하게 나타나게 된다. 이는 교외나 시골지역은 상대적으로 도시지역에 비해 영향을 적게 받게 된다. 임의의 지역, 특히 도시지역의 경우 기존의 건물이 증축되거나 혹은 새로운 건물이 신축되면 이로 인하여 기존의 바람흐름이 달라지며 이는 인접건물들의 확보하고 있던 자연 환기력의 변화를 야기 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현상은 건축물에 의해 자연 환기력이 바뀌게 되는 일종의 기존 환경으로 부터의 변화를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해석을 이용하여 이와 같이 건물의 주변 환경변화, 즉 신축, 증축 등과 같은 변화를 고려하여 그 영향을 예측/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건물의 자연환기력을 전면에서 바람에 의한 압력증가와 후면에서 바람의 흡입에 의한 압력감소로 인해 전면의 풍속에 의해 발생하는 동압보다 큰 압력차가 발생하고, 그로 인해 환기량이 발생하는 것을 알수 있다. 주변 변화에 의해서는 동일한 규모의 건물이 추가되는 경우에 기존의 경우에 비해 35~45%의 자연환기격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울릉도의 하부층 현무암질 집괴암 층내 염기성 암맥에서 산출되는 타킬라이트의 광물학적 특성과 화산학적 의미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of Tachylite occurring in Basic Dike, Basaltic Agglomerate Formation, Ulleung Island and Its Implications of Volcanic Activity)

  • 배수경;추창오;장윤득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63-76
    • /
    • 2012
  • 타킬라이트는 현무암질 용암의 급랭에 의해 형성된 흑색의 현무암질 유리질암로서 울릉도 최 하부층 현무암질 집괴암 내에서 드물게 산출된다. 본 논문의 목적은 타킬라이트의 산출특징과 미세조직의 광물학적 특징을 규명하고, 울릉도 초기 화산활동의 의미를 밝히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타킬라이트의 산상을 조사하고 편광현미경, XRD, EPMA, SEM을 이용하여 광물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타킬라이트는 내수전, 도동 및 저동 해안산책로, 거북바위, 예림원 지역 현무암질 집괴암 내 염기성 암맥 주변부에서 산출된다. 타킬라이트의 폭은 수 cm 내지 10 cm까지 다양하다. 타킬라이트의 겉 표면은 치밀하고 매끈하나, 내부는 패각상 깨짐이 특징적이다. 타킬라이트의 기질부는 유리질과 같은 비정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미립질의 반정광물로는 흑운모, 아노소클레이즈, 새니딘, 사장석, 각섬석, 및 티탄철석 등이 소량으로 포함된다. 타킬라이트에서 특징적으로 발달하는 균열은 아원형, 타원형이 우세하며, 간혹 여러 다면체를 보이는데, 경계부가 구획되어 일종의 구상체나 덩어리를 이룬다. 조직과 광물조성의 특징으로 볼 때, 타킬라이트는 가수분해작용과 같은 후속 저온성 변질작용을 거의 받지 않았다. 타킬라이트의 산출특징은 울릉도 하부층인 현무암집괴암층의 대부분이 수중환경에 있었거나, 최소한 해수에 포화되어 있었음을 지시한다.

트랜드리포트 / 주거 개념의 변화 홈네트워킹이 제2의 디지털 혁명을 주도한다.

  • 정진영
    • 디지털콘텐츠
    • /
    • 1호통권92호
    • /
    • pp.34-40
    • /
    • 2001
  • 인터넷 기반의 산업들이 발전하고, 이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점점늘어나고, 네트워크상에서 전송되는 정보가 일반문자 데이터에서 영상이나 음성과 같은 멀티미디어 데이터까지 확장되면서 점점 더 많은 정보를 요구하게 되고, 네트워크의 대역폭에 대한 부족함을 느끼게 되었다. 따라서, 점점 더 많은 대역폭을, 여러 사람들이 공유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환경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었으며, 그 결과의 하나로 국내에서는 전 국가적인 사업으로 초고속 정보 통신망을 구축하기에 이르렀다. 전문가들은 네트워크와는 별도로 정보통신 및 정보 가전기기 분야에서,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상호호환성을 가지면서, 쉽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집안에서의 네크워크, 소위 홈 네트워킹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가까운 시일내에 가정내의 모든 기기 들과, 집 외부의 네트워크간에 연결이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 PDF

예술.문화 - 남도 한식의 진수, 순창 고추장장아찌

  • 김순경
    • 식품문화 한맛한얼
    • /
    • 제1권3호
    • /
    • pp.110-113
    • /
    • 2008
  • 고추장의 고장 전북 순창(淳昌)에는 고추장보다 몇 배 더 값진 진품이 있다. 다름 아닌 순창 고추장장아찌를 두고 하는 말이다. 순창시내를 지나다 보면 가는 곳마다 원조 고추장집들이 줄지어 있고 고추장과 함께 다양한 장아찌들이 진열되어 있는 모습을 쉽게 만나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순창의 장 문화는 내륙 깊숙이 들어앉은 알맞은 높이의 지리적 환경과 오염 없이 맑은 공기, 뛰어난 수질 때문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래서 어떤 농작물이든 맛이 확실하고 그 효능이 뛰어나 사람이나 가축이 모두 건강하고 장수한다. 고추장장아찌는 진귀한 만큼 순창의 일반적인 고추장처럼 널리 알려져 있지는 않다. 더욱이 급격한 식생활의 변화속에서 자칫 잊혀갈 염려도 없지 않다. 보다 깊은 과학적 접근과 탐색이 이뤄져야 할 일이다.

  • PDF

본용언과 보조용언의 의미 처리에 관한 연구 : 일반인과 실어증 환자를 대상으로 (Lexical Status of Main and Supportive Verbs in Mental Lexicon)

  • 문영선;김동휘;편성범;황유미;정재범;남기춘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1999년도 제11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447-454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국어의 본용언과 보조용언이 어떠한 방식으로 처리되는지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영어와 달리 국어는 보조용언이 조동사의 역할을 담당하여 화자의 심리적인 상태나 상(想)을 나타내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같은 어휘가 본용언으로 쓰일 때와 보조용언으로 쓰일 때 그 의미적 차이는 뚜렷하다. 특히 보조용언으로 쓰일 때는 어휘적 의미가 대부분 사라지고 추상적 의미만 남기 때문에 본용언과의 관련성을 따져보는 것도 중요한 연구과제이다. 또한 우리의 심성어휘집(mental lexicon)에서 본용언과 보조용언이 동일한 영역에서 처리되는지도 알아볼 필요가 있다. 만일 동일한 심성어휘집을 사용한다면 보조용언으로 쓰인 환경에서도 본용언의 어휘적 의미가 활성화될 것이다. 이에 대해 본 연구에서는 정상인 피험자와 실어증환자를 대상으로 실험을 하였다. 정상인 피험자를 대상으로는 SOA가 짧은 조건과 긴 조건에서 각각 보조용언을 어떻게 처리하는 지 살펴보았고, 실어증환자를 대상으로는 정상인 피험자와 비교해서 어떤 양상으로 보조용언을 처리하는 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정상인 피험자는 SOA가 짧은 조건에서는 본용언과 보조용언을 모두 동일한 방식으로 의미처리하였다. 즉 보조용언의 어휘적 의미가 본용언과 마찬가지로 SOA가 짧을 때는 활성화되었다. 그러나 SOA가 길어지면 보조용언은 문맥 정보로 인해 어휘적 의미가 억제되어 본용언과 다른 의미로 해석된다는 결론을 얻었다. 이런 정상인 피험자와 비교해 보았을 때, 실어증 환자는 두 가지 양상이 나타났다. 명칭성 실어증환자의 경우, 정상인과 비슷한 결과가 나왔으나 보조용언으로 쓰일 때, 본용언보다 어휘적 의미가 다소 불안정하게 활성화됨을 보였다. 그러나 이해성 실어증환자의 경우, 보조용언으로 쓰일 때 어휘적 의미가 전혀 활성화되지 않아 정상인과는 다른 언어처리를 하고 있음이 밝혀졌다.류의 의미가 모두 활성화되는 것을 보여 주었다. 즉, "먹은"과 간은 어절 이해는 구성 형태소로의 분석과 구성 형태소 어휘 접근을 통해 어절 이해가 이루어진다는 가설을 지지하고 있다. 실험 2에서는 실험 1과 다르게 한 뜻으로만 안일 수밖에 없는 "쥐어"와 같은 어절을 사용하여 이런 경우에도(즉, 어절의 문맥이 특정 뜻으로 한정하는 경우) 구성 형태소로의 분석 과정이 일어나는지를 조사하였다. 실험 2의 결과는 실험 1의 결과와는 다르게 어간의 한가지 의미와 관련된 조건만 촉진적 점화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보여주었다. 특히, 실험 2에서 SOA가 1000msec일 경우, 두 의미의 활성화가 나타나는 것을 보여주었는데, 이 같은 결과는 어절 문맥이 특정한 의미로 한정시킬 경우는 심성어휘집에 활용형태로 들어있다는 것이다. 또한 명칭성 실어증 환자의 경우에는 즉시적 점화과제에서는 일반인과 같은 형태소 처리과정을 보였으나, 그이후의 처리과정이 일반인과 다른 형태를 보였다. 실험 1과 실험 2의 결과는 한국어 어절 분석이 구문분석 또는 활용형태를 통해 어휘 접근되는 가설을 지지하고 있다. 또 명칭성 실어증 환자의 경우에는 지연된 점화과제에서 형태소 처리가 일반인과 다르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 결과가 옳다면 한국의 심성 어휘집은 어절 문맥에 따라서 어간이나 어근 또는 활용형 그 자체로 이루어져 있을 것이다.으며, 레드 클로버 + 혼파 초지가 건물수량과 사료가치를 높이는데 효과적이었다.\ell}$ 이었으며 , yeast extract 첨가(添加)하여 배양시(培養時)는 yeast extract 농도(濃度)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단백질(蛋白質) 함량(含量)도 증가(增加)하였다. 7. CHS-13 균주(菌株)의 RNA 함량(含量)은 $4.92{\times}10^{-2 }\;mg/m{\ell}$이었으며 yeast ex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