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집계자료

Search Result 199,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 Study on the Analysis of Spatial Characteristics with Respect to Regional Mobility Using Clustering Technique Based on Origin-Destination Mobility Data (기종점 모빌리티 데이터 기반 클러스터링 기법을 활용한 지역 모빌리티의 공간적 특성 분석 연구)

  • Donghoun Lee;Yongjun Ah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22 no.1
    • /
    • pp.219-232
    • /
    • 2023
  • Mobility services need to change according to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service area. Accordingly, analysis of mobility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based on Origin-Destination (OD) data that reflect travel behaviors in the target service area is required. However, since conventional methods construct the OD data obtained from the administrative district-based zone system, it is hard to ensure spatial homogeneity. Hence, there are limitations in analyzing the inherent travel patterns of each mobility service, particularly for new mobility service like Demand Responsive Transit (DRT). Unlike the conventional approach, this study applies a data-driven clustering technique to conduct spatial analyses on OD travel patterns of regional mobility services based on reconstructed OD data derived from re-aggregation for original OD distributions. Based on the reconstructed OD data that contains information on the inherent feature vectors of the original OD data, the proposed method enables analysis of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regional mobility services, including public transit bus, taxi and DRT.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web service for traffic acciden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development (교통사고정보관리를 위한 웹 서비스 구현에 관한 연구)

  • Jung, Sue-Jin;Park, Sung-Kyu;Go, Je-Ung;Cho, Gi-Sung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5a
    • /
    • pp.393-399
    • /
    • 2005
  • 본 논문은 현재 교통사고로 인한 피해가 심각한 상황에서 기존 교통사고 원인분석을 위한 많은 양의 자료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WebGIS 기반 교통사고 정보관리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더불어 교통정보를 어떻게 구성하고 어떤 방법으로 전달할 것인가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고, 교통사고 정보에 대한 비공간적인 속성뿐만 아니라 도형자료와 기본적인 수치지도 등을 통합 관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교통사고 자료가 일반인들에게 제공되기 위한 준비 기간이 길었던 종래 방식에 비해 데이터 입력이 완료되는 즉시 인터넷을 통해 해당 지역의 교통사고 정보를 제공하는 실시간 교통사고 현황 정보제공 기능을 구현하였다. 이전의 단순한 집계에 의한 비공간적인 데이터를 사용한 교통사고 분석보다는 교통사고의 자세한 내용 및 통계자료와 함께 사고위치를 시각적으로 도시하여 가시적으로 주변 환경을 파악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였으며 사고 담당 경찰관과 직접 연계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였다.

  • PDF

통계정보(1) 2011 국내 농약시장 어떠했나?(I) - 출하량 지속적 감소 완제품 수입.수출 증가 추세

  • 한국작물보호협회 기획홍보부
    • Life and Agrochemicals
    • /
    • s.278
    • /
    • pp.22-25
    • /
    • 2012
  • 2011년 우리나라 농약시장은 2010년 보다 생산은 물론 출하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작물보호협회가 최종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2011년도 농약 생산량은 1만7천9백91톤으로 전년도 2만1백66톤 보다 10.8%가 감소했으며 출하량은 1만9천1백60톤으로 전년도 2만4백31톤 보다 9.3%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08년 이후의 지속적인 감소 추세는 기후변화에 의한 영향과 재배면적의 감소에 의한 것으로 예측된다. 지난해 국내 농약 생산 출하 현황을 작물별, 약제별, 제형별로 자세히 알아본다.

  • PDF

올해 업종별 경기전망

  • Korean Printers Association
    • 프린팅코리아
    • /
    • s.20
    • /
    • pp.78-81
    • /
    • 2004
  • 올 1/4분기에도 기업들이 현장에서 느끼는 체감경기 위축이 지속될 것으로 나타나, 본격적인 경기 회복에는 다소 시일이 걸릴 것으로 전망됐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설문조사를 통해 집계,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1/4분기의 BSI 전망지수는 전분기(90)보다 낮은 '89'로 기준치를 밑돌아 기업들이 여전히 향후 경기를 어둡게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BSI 추이를 보면 작년 2/4분기에 정점(133)을 형성한 이후 3분기 연속 하락을 거쳐 올해 2/4분기(97)에는 상승세로 반전되었으나, 다시 3/4분기부터 3분기를 연속해 기준치를 크게 밑도는 횡보세(3분기 '89', 4분기 '90', 1분기 '89')를 보이고 있다.

  • PDF

말 못할 고민 치질

  • Kim, Je-Uk
    • 건강소식
    • /
    • v.32 no.3 s.352
    • /
    • pp.14-15
    • /
    • 2008
  • 치질은 전형적인 한국인의 질병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등 정부기관이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입원환자수가 가장 많은 질병이 다름 아닌 치질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증명하듯 건강보험 통계연보를 살펴보면 최근 6년 사이 치질 입원 환자 수는 12만 명에서 22만 명으로 2배 정도 급증했다. 그만큼 치질은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대표적 질환인데 가끔씩 배변 후 명미한 출혈까지 포함한다면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치질 증상을 경험해 봤다고 하겠다.

  • PDF

Development of Heavy rain damage Prediction functions in Gyeonggi Province (경기도 지역 호우피해 예측함수개발)

  • Kim, Jongsung;Choi, Changhyun;Oh, Seunghyun;Han, Daegun;Kim, H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11a
    • /
    • pp.203-204
    • /
    • 2016
  • 최근 자연재난으로 인한 인명피해는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으나, 기후변화 및 도시화 등으로 인해 재산피해는 점차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기존의 연구는 재난이 일어난 후 사후복구차원에서 피해액을 집계하거나 복구비를 추정하는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재난이 발생하기 전에 피해액을 추정하는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거 통계자료를 기반으로 인공신경망과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전체 자연재난 피해액의 약 95%를 차지하는 호우피해액을 예측하기 위한 피해함수 개발하고자 한다. 대상지역으로는 경기도 지역으로 선정하였고, 1994년부터 2015년까지의 수문기상자료와 시군구별 재해통계자료를 수집하여 분석을 위한 함수개발을 위한 자료로 재구축하였다. 또한 시간별 최대 강우량과 피해액에 대한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지속시간별(1~24시간) 최대강우 자료와 재해기간별 선행강우(1~5일)자료, 그리고 재해기간의 총강우량 자료가 상관성이 높다는 것을 파악했다. 이를 독립변수로 활용하고, 재해기간별 피해액을 종속변수로 사용하여 지역별 호우피해 예측함수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재해예방을 위한 방재체계를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되며, 사전대비 차원의 재난관리를 통해 정책결정권자들의 의사결정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판단된다.

  • PDF

확률회귀모형을 이용한 고속도로의 사고요인 분석

  • Lee, Gi-Yeong;Lee, Yong-Taek
    • 도로교통
    • /
    • s.94
    • /
    • pp.51-64
    • /
    • 2003
  • 본 연구는 사고요인과 사고모형의 문헌고찰을 통해 고속도로를 주행하는 버스와 화물차의 사고모형을 개발하고 그 적용방안에 대해 고찰하고자 수행되었다. 고속도로 사고 중 대형차로 인한 차량당 사고율은 승용차보다 월등히 높아 사고의 심각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따라서 이에 대한 별도의 검토가 필요한 시점에 와 있다. 특히 본 연구에 활용된 자료는 비집계된 사상자수로 구간자료를 집합화함으로써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모형의 분석기법으로 국내의 경우, 대부분 단순회귀식으로 사고모형을 개발, 적용하여 왔으나 사고수와 사상자수의 특성상 이산적 확률변수로 해석하여 포아송분포와 음이항분포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버스와 화물차의 사고유형별로 적합한 사고 모형을 개발하여 이로 인한 인사사고 요인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고 그 적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도로설계, 운영, 교통법규, 교통행정 등의 분야에서 거시적인 정책적 방향성을 제시하리라 판단된다. 특히 본 연구는 고속도로 운영주체인 한국도로공사의 고속도로사고조서를 바탕으로 사고유형별 사고모형을 개발, 적용한 것으로 고속도로의 안정성 향상을 위한 제반 정책 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Data Mining Technology for Application in Humanistic Computing (인문전산학 활용을 위한 데이터마이닝기법)

  • Kwak, Ho-Hyung;Bang, Hye-Ja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593-596
    • /
    • 2005
  • 데이터마이닝은 대량의 실제 데이터로부터 이전에 잘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묵시적이고 잠재적으로 유용한 정보를 추출하는 작업으로, 본 논문은 최근 인문학 정보 자료가 전산화되고 있는 가운데 대량의 정보와 특정 체계를 갖춘 ‘조선왕조실록’ 전산자료를 분석하고 기존의 단순한 정보 검색이 아닌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적용한 상세하고 예측가능 한 정보자료 추출법을 제시한다. 먼저 텍스트화 되어 있는 컨텐츠를 형태소분석기법을 사용하여 색인어를 추출하고 집계를 낸다. 질의어와 유관한 색인어의 군집정도와 출현시점을 분석하는데, 사용된 마이닝 기법은 연관규칙분석과 클러스터링 분석기법이다. 최종 결과치는 기존의 인문학연구 결과물과 비교하여 그 정확도를 분석해 보인다.

  • PDF

Features of Stream-water Usage in Nakdong River Basin (낙동강유역의 하천수 사용 특성)

  • Choe, Gyu-Hyeon;Hong, Seong-Hun
    • Water for future
    • /
    • v.45 no.4
    • /
    • pp.59-63
    • /
    • 2012
  • 낙동강홍수통제소는 1987년 3월 개소 이후, 하천유량관리 업무를 체계적으로 하기 위해 1999년 8월 국가하천의 하천수 사용허가 업무가 우리 소로 이관되었고 2008년 4월 지방하천으로 확대되었다. 이로 인해 수문조사, 홍수예보 이외에도 하천유량 관리 업무의 제도적 개선을 통해 국기 물관리 전문기관으로서의 기틀이 마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유역 중심의 합리적인 물사용과 물이용의 형평성을 위해 기존 국가하천 및 지방하천의 하천수 사용허가 자료를 현행하고 그 특성을 파악하려 한다. 조사 결과 낙동강유역 총 허가수리권 현황은 총 550건이고 허가량은 21.68백만$m^3$/일로 집계되었다. 그 중 농업용수가 전체 허가건수 중 약 70%, 전체 허가량 중 약 50%로 가장 높았다. 또한 하천법 상 하천수 사용 보고 대상자 건수는 전체 52%이나 허가량은 약 97%로 파악되었다. 요컨대 이번 연구를 통해 제고된 하천수 사용허가 자료는 실시간 낙동강 유역 물관리에 필요한 다양한 정책 의사 결정에 있어 기초자료로 적극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A Method of Detailed Urban Land Use Classification Using a Statistical Unit (통계단위를 활용한 도시지역 상세 토지이용 분류기법)

  • Min, Sook-Joo;Kim, Kye-Hyun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10a
    • /
    • pp.103-106
    • /
    • 2004
  • 토지이용정보는 토지이용계획, 도시계획, 환경관리 등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인구가 밀집된 도시지역에서 환경문제를 고려한 정책 수립을 위하여 상세한 토지이용정보를 필요로 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작은 공간단위로 토지이용을 구분하기 위하여 통계단위자료와 기 제작된 수치지형도를 활용하여 도시지역의 토지이용 분류기법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분류기법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서울시 일부지역을 대상으로 실험분석 하였으며, 그 결과 산림지역을 제외하고 전체적으로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향후 산림지역에 대한 토지이용정보 취득 방법을 보완할 경우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은 도시지역 토지이용정보 취득에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통계단위와 토지이용정보 구분단위가 일치하므로 다양한 통계집계자료와 함께 분석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