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질 평가 지표

검색결과 319건 처리시간 0.035초

학교도서관컨설팅 장학 모형 구안 및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Consulting Supervision Model and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in School Libraries)

  • 박주현;홍현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217-248
    • /
    • 2014
  • 이 연구는 학교도서관컨설팅 장학 모형을 구안하고 학교도서관 문제진단을 위한 평가지표를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학교도서관은 공교육 시설로서 단위학교의 교육목표로부터 국가수준의 교육목표 달성에 이바지해야 한다. 학교도서관이 학교도서관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고 학교교육을 개선해야 하는 책무성을 가지고 있다고 할 때, 학교도서관교육을 위한 컨설팅 장학과 평가가 필요하다. 이에 7개의 구성요소로 학교도서관컨설팅 장학 모형을 구안하였고, 시 도교육청 평가, 학교평가, 학교도서관평가 영역과 지표를 분석하고 종합하여 6개의 평가영역과 72개의 평가지표를 제시하였다. 평가기관은 자관 교육목표에 따라 제시된 평가지표를 취사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평가결과를 컨설팅 장학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논과 밭토양의 질 평가 방법 (Soil Quality Assessment Method of Paddy and Upland)

  • 윤정희;정병간;전희중;곽한강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357-364
    • /
    • 2004
  • 우리나라 논과 밭토양의 질의 현황에 대한 평가방법을 개발하고자 2000년부터 2003년까지 실시한 농업환경변동조사사업의 결과를 이용하여 세부지표 즉 토양의 주요특성의 선정, 선정된 각 지표의 점수화 또는 등급화와 정량화 방법과 각 세부지표를 종합하여 한개의 토양의 질 지표로 만드는 방법을 검토하였다 한편, 본 시안을 이용하여 전국수준에서 우리나라 논 밭 시설원예지 토양의 질 현황에 대한 평가를 시도한 결과 논토양은 매우 높음, 밭토양은 높음, 그리고 시설원예지 토양은 보통으로 나타났다.

연구성과의 질 제고를 위한 논문평가 모형개발 (Evaluation model for scientific research performance based on journal articles)

  • 이혁재;여운동;이상필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538-557
    • /
    • 2006
  • 최근 들어 연구개발 성과물의 평가에 대한 관심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연구개발성과물의 질을 측정하기 위한 많은 시도가 이루어져 왔으며, 이를 위한 정량적 지수에 대한 중요성 역시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연구개발 성과물의 평가를 위해 가장 널리 사용되는 지수로는 논문수, 피인용수, 영항지수 둥이 있다. 그러나 이들은 학문 분야에 대한 편차가 심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이들을 사용하는 데에는 많은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기존의 지표들이 가지는 한계를 실증분석을 통해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아울러 연구개발 성과물로서 논문의 질 평가에 활용될 수 있는 정량 지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

도서관의 교육적 가치 측정을 위한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for Measuring Educational Value of Libraries)

  • 노영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5-3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의 교육적 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지표를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1차적으로 도서관의 가치에 대해 연구한 60여 개의 국내 외 논문들을 총체적으로 분석하여 예비 평가지표를 도출하였다. 도출한 예비 평가지표를 토대로 10명의 전문가를 선정하여 3차에 걸친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여 최종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도서관의 교육적 가치의 최종평가지표는 크게 리터러시 개선, 학습 및 교육지원, 연구지원 및 정보자원제공, 교육환경 및 교육의 질 개선, 역량강화 등의 5가지 평가영역과, 13개 평가항목, 62개 평가지표로 구성된다. 향후에는 이를 기반으로 실제로 도서관의 교육적 가치를 측정하는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공공도서관의 사회적 가치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Development of Social Value Evaluation Indicators for Public Libraries)

  • 노영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81-21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의 사회적 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지표를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1차적으로 도서관의 가치에 대해 연구한 60여 개의 국내 외 논문들을 총체적으로 분석하여 예비 평가지표를 도출하였다. 도출한 예비 평가지표를 토대로 11명의 전문가를 선정하여 3차에 걸친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여 최종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최종평가지표는 공공도서관의 사회적 가치를 크게 지역 사회개발, 지역 사회의 연계, 지역 주민의 삶의 질 향상, 지역 주민의 평등화, 지역 사회에 필요한 정보제공서비스 등의 5가지 평가영역과, 13개 평가항목, 64개 평가지표로 구성된다. 향후에는 이를 기반으로 공공도서관의 사회적 가치를 측정하는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호스피스 임상 질 지표에 대한 보호자의 동의정도와 이와 관련된 인자 (Quality Indicators of End-of-Life Cancer Care from the Family Members' Perspective in Korea)

  • 김효민;윤창호;고혜진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4권2호
    • /
    • pp.101-109
    • /
    • 2011
  • 목적: ACOVE project에서는 말기 치료의 질 평가를 위한 임상질지표를 개발하였다. 그러나 말기 치료에 대하여 의료전문가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만든 임상질지표와 보호자들의 의견은 실제로 다를 수 있다. 따라서 호스피스 치료 질에 대한 보호자들의 인식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2009년 7월부터 10월까지 총 4개월간 경북대학교 병원과 대구 보훈병원의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해 있는 환자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익명의 횡단면 질문지 조사(cross-sectional anonymous questionnaire)를 시행하였다. 총 120명을 선정하고 이 중 모든 질문에 성실히 답한 69명을 최종대상자로 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WIN ver. 14.0을 이용하여 independent t-test와 Pearson's chi-square test를 시행하였다. 결과: 좋은 임상질지표 중 가장 동의율이 높은 항목은 '완화의학 팀이나 완화의학 전문가에 의한 의학적 진찰'과 '가족들이 지켜보는 앞에서의 임종' 이었으며 이 항목들은 88.4%의 보호자가 동의하였다. 반면에 낮은 동의율을 보인 항목은 '환자와 심폐소생술에 대해 논하는 것' 으로 15.9%가 동의하였다. 나쁜 임상질지표 중 동의율이 높은 항목은 '낙상이나 욕창이 발생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라는 항목이었으며 94.2%의 보호자가 동의하였고 가장 낮은 동의율을 보인 것으로는 '병원에서 임종하시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라는 항목으로 11.6%가 동의하였다. 그리고 동의를 많이 한 그룹일수록 여자의 비율, 환자가 자신의 예후를 인지한 비율, 경제 수준이 높은 사람의 비율이 높았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이전 여러 연구에서 임상질지표로 권유되어진 항목들에 대한 보호자들의 동의율이 낮은 항목들이 있었으며 일부 항목들의 동의율과 보호자들의 특성이 관련이 있었다.

톱밥을 공극개량제로 사용한 음식쓰레기 퇴비화시 숙성도 지표의 적합성 평가 (Evaluation of Maturity Index for Garbage Composting Using the Sawdust as Bulking Agent)

  • 남궁완;박상후;인병훈;박준석;이노섭
    • 유기물자원화
    • /
    • 제8권3호
    • /
    • pp.73-80
    • /
    • 2000
  • 본 연구의 목적은 톱밥을 공극개량제로 사용한 음식쓰레기 퇴비화시 숙성도 지표의 적합성을 평가하는 것이었다. 실험에 사용된 재료는 평균조성의 음식쓰레기(G20)였으며 여기에 톱밥을 첨가하여 초기 C/N비를 각각 30(GS30)과 50(GS50)으로 조절하였다. 또한 톱밥과 과량의 곡류를 첨가하여 초기 C/N비를 30(GSC30)으로 조절한 실험도 병행하였다. 숙성도 평가에 이용된 항목은 유기물 감소율, 물용출액 TOC, 수용성 당함량, 부식도 지표, 부식질 흡광도비 등이었다. 실험결과 유기물 감소율은 과량의 톱밥이 첨가된 GS50을 제외한 나머지 음식 쓰레기에서 적합한 퇴비숙성도 판단지표였다. 물용출액 TOC는 퇴비화기간 동안 뚜렷이 감소한 후 숙성단계에서 완만히 감소하여 적합한 퇴비숙성도 판단지표였다. 수용성 당함량은 톱밥과 과량의 곡류가 첨가된 음식쓰레기의 경우 숙성도 지표로 고려할 수 있었다. 부식도 지표와 부식질 흡광도비의 경우 일부 음식물쓰레기에 적용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나 모든 대상 음식쓰레기에 적용하기에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과량의 곡류가 포함되고 공극개량제로 톱밥이 첨가되어 C/N비가 30정도로 제어된 음식쓰레기의 숙성도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지표로는 유기물 감소율, 물용출액 TOC, 수용성 당함량 그리고 부식질 흡광도비 등이 추천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