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질소고정

검색결과 468건 처리시간 0.025초

대두근류균(大豆根瘤菌)의 질소고정(窒素固定)에 관(關)한 연구 -I. 대두(大豆) 근류균(根瘤菌)의 질소고정력(窒素固定力) 측정방법(測定方法) 및 질소고정량(窒素固定量) (Studies on Symbiotic Nitrogen Fixation in Soybean -I. Methods of Measurement and Amounts of Symbiotic N2 Fixation in Soybean Root Nodules)

  • 류진창;이상규;이혁호;홍종운;조무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77-283
    • /
    • 1982
  • 대두(大豆) 근류(根瘤)로부터의 질소고정능(窒素固定能)을 아세치렌 환원법(還元法)($C_2H_2-C_2H_4$)으로 측정(測定)할 경우(境遇)의 실험방법) 및 대두(大豆) 생육기간중(生育期間中) 근류(根瘤)로부터 고정(固定)되는 질소량(窒素量)을 파악하고져 pot 및 실내실험으로 수행(遂行)하였든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아세치렌 환원법(還元法)으로 근류(根瘤)의 질소고정능(室素固定能)을 측정(測定)할 경우(境遇), 근류(根瘤)를 뿌리에 붙은 상태(狀態)로 측정(測定)하면 아세치렌 충전후(充塡後) 항온(恒溫) 2시간(時間)에 측정(測定)하는것이 이상적(理想的)이었으며, 근류(根瘤)를 분산(分離)시키면 측정치(測定値)의 경시적 변동이 컸다. 2. 대두(大豆) 파종후(播種後) 근류형성량(根瘤形成量)은 55일(日), 질소고정량(室素固定量)은 40일(日)까지 직선적(直線的)으로 증가되었으나 그 이후(以後)부터는 감소(減少)되는 경향(傾向)이었다. 3. pot에서 대두(大豆) 1작기(作期) 생육기간중(生育期間中) 근류(根瘤)에 의(依)한 질소고정량(窒素固定量)은 반당(11,100본위모(本立毛)) 약(約) 8.0kg/10a로 추정(推定)되었다.

  • PDF

우량질소고정균(優良窒素固定菌)의 탐색분리(探索分離) 및 생리적(生理的) 특성(特性) (Isolation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Rhizobia with Good Nitrogen Fixation Ability)

  • 박우철;이광희;김진호;이인구;조진기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5권
    • /
    • pp.40-51
    • /
    • 1987
  • 광교(光敎)를 비롯한 12개품종(個品種)의 대두근류(大豆根瘤)로부터 탐색분리(探索分離)한 질소고정균(窒素固定菌)의 생리적(生理的) 특성(特性) 및 숙주작물(宿主作物)과의 접종친화성(接種親和性)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YMA배지(培地)에서 자란 질소고정균(窒素固定菌)의 색상(色相)은 백색상(白色相), 반투명색상(半透明色相), 투명색상(透明色相)이 각각(各各) 60%, 30%, 10%였으며 Litmus milk 반응(反應)은 alkali, acid serum, alkali serum, acid가 각각(各各) 51%, 29%, 9%, 11%로 나타났다. 2. 우량질소고정균(優良窒素固定菌)의 YM배지(培地)에서의 생육속도(生育速度) 및 pH의 변화(變化)는 S 022, S 096이 생육속도(生育速度)가 느리고, alkali를 생성(生成)하였으며 S 080, S 090, S 118은생육속도(生育速度)가 빠르고 산(酸)을 생성(生成)하였다. 3. YM배지(培地)의 초기(初期) pH가 6.0~7.0의 범위(範圍)에서 Rhizobia의 생육(生育)이 가장 좋았다. 4. 질소원(窒素源)으로서 glutamine, asparagine, allantion 등(等)은 Rhizobia의 생육(生育)을 촉진(促進)시켰다. 5. 분리(分離)한 균주(菌株) 전부(全部)가 대두(大豆)에 근류(根瘤)를 형성(形成)시켰으며, 우량질소고정균주(優良窒素固定菌株)는 그중 색상(色相)이 백색(白色)이고 colony가 소형(小型)이며 질산환원력(窒酸還元力)이 있고 아질산환원력(亞窒酸還元力)이 없으나 비교적(比較的) 높은 질소고정력(窒素固定力)을 나타냈다. 6. 동일균주(同一菌株)라도 숙주작물(宿主作物)의 친화성(親和性)에 따라서 질소고정능력(窒素固定能力)에 차이(差異)가 있었으며, 질소고정능력(窒素固定能力)이 없는 무효근류(無效根瘤)를 형성(形成)하는 균주(菌株)도 있었다.

  • PDF

전동싸리의 생장에 미치는 Al과 Co의 영향

  • 박태규;송승달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0년도 정기총회 및 봄 학술발표회
    • /
    • pp.245-246
    • /
    • 2000
  • 콩과식물인 전동싸리를 대상으로 통제된 조건하에서 Al과 Co처리에 따른 식물체의 생장반응과 식물체내 중금속의 축적정도 및 근류의 질소고정 활성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중금속은 Co가 Al보다 높게 축적되었고, 처리 초기에는 지하부를, 장기간 처리시는 광합성 기관의 생장을 억제했는데, Co 처리는 영향이 미약하였으나, Al처리구는 다소 심각한 영향을 주었으며, 생장에 비해 질소고정계의 피해가 현저하였다. 전동싸리는 흡수된 중금속을 뿌리수준에서 조절함으로써 광합성기관으로 이동을 억제하는 중금속에 대한 생장적응을 나타내었다. 결국 전동싸리는 30ppm의 중금속 처리시 뿌리 수준에서 조절함으로써 광합성기관으로 전이를 차단하여 금속에 대한 내성 나타내었고, Al이 Co보다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우리 나라 토착대두근류균(土着大豆根瘤菌)의 분포상태(分布狀態)와 생리(生理) 및 생태학적(生態學的) 특성(特性) -제(第)V보(報) 대두근류균(大豆根瘤菌)과 협생질소고정균(協生窒素固定菌)과의 상호접종효과(相互接種效果) (Physiologic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Indigenous Soybean Rhizobia Distributed in Korea -V. Effects of Co-inoculation of R. japonicum and A. lipoferum on the Effectiveness of Symbiotic Nitrogen Fixation with Soybean)

  • 류진창;서장선;이상규;조무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07-315
    • /
    • 1988
  • 근류균(根瘤菌)과 두과식물(荳科植物)과의 상호공생관계(相互共生關係)에서 발현(發現)되는 생물학적(生物學的) 질소고정(窒素固定)의 효율(效率)을 증진(增進)하기 위한 연계연구(連繫硏究)로 전보(前報)에 이어 콩 품종(品種), 질소기종(窒素期種) 및 시용량(施用量)을 달리한 in situ 숙건에서 대두근류균(大豆根瘤菌)과 협생(協生) 질소고정균(窒素固定菌)와의 상호접종효과(相互接種效果)를 질소고정효율면(窒素固定效率面)에서 검토(檢討)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콩 건물수량(乾物收量)은 H-25 및 단엽(短葉)콩 모두 근류균(根瘤菌)과 무접종(無接種)보다 근류균(根瘤菌) 단독(單獨) 및 근류균(根瘤菌)과 협생균(協生菌)과의 혼합접종(混合接種)으로 유의(有意)한 증가효과(增加效果)를 보았으나, 각(各) 균주(菌株)의 접종매체간(接種媒體間)에는 유의(有意)한 차(差)가 없었다. 또한 질소비종(窒素肥種) 및 시용량간(施用量間) 콩 건물수량(乾物收量)은 유안(硫安)보다 질산가리시용(窒酸加里施用)이 유의(有意)한 증가(增加)를 보였으며 질소시용량(窒素施用量) 증가(增加)에 따라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이었다. 2. 접종(接種) 매체량간(媒體量間) 질소고정력(窒素固定力)은 H-25 품종(品種)에서는 현저(顯著)한 차이(差異)가 없었으나, 단엽(短葉)콩에서는 근류균(根瘤菌)과 협생질소고정균(協生窒素固定菌)과의 혼합접종(混合接種)보다 근류균(根瘤菌) 단독접종시(單獨接種時) 증가(增加)되는 경향(傾向)이었다. 3. 콩 건물수량(乾物收量)과 질소고정관련(窒素固定關聯) 각(各) 요인간(要因間) 상호관계(相互關係)에서 근류형성량(根瘤形成量) 및 TNA(total nitrogenase activity)는 고도(高度)의 유의(有意)한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보였다. 4. 공생(共生) 질소고정효과(窒素固定效果)를 보면, H-25 품종(品種)은 84 AS-1의 근류균(根瘤菌)을 단독접종(單獨接種)하고 유안(硫安)을 54mM시용시(施用時) 149 %로 제일 높았으나 단엽(短葉)콩은 84DY-1를 단독접종(單獨接種)하고 질소가리(窒素加里)를 18mM시용시(施用時) 질소고정효과(窒素固定效果)가 155%로 제일 높았다.

  • PDF

암모니아 및 아질산성 질소 산화세균의 분리 및 특성 (Microbial Immobilization, Characterization and Isolation of Nitrogen Oxidizing Bacteria)

  • 이용석;유주순;정수열;박춘수;최용락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6권1호
    • /
    • pp.1-6
    • /
    • 2003
  • 본 연구는 폐수 중의 질소 제거를 위한 생물학적 처리용 미생물 개발을 위한 목적으로 질소의 산화 능력이 뛰어난 균주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세균 중에서 질소 산화능과 생육 속도가 뛰어난 CH-N 균주를 선별하였으며, 생리, 생화학적 특성 조사에 의해 Bacillus sp로 추정되어 Bacillus sp. CH-N이라 명명하였다. 분리 균주는 0.5% glucose가 포함된 초기 pH가 7,0인 암모니아 및 아질산성 질소 함유 배지에서 30시간 배양 후 각각 85%와 90%의 암모니아성과 아질산성 질소의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폐수 및 생활하수에 분리 균주를 이용한 결과, 수질 속의 암모니아성 질소가 단시간에 크게 감소시키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균주를 고정시킨 담체의 질소산화 효과를 시험하고자 Bacillus sp. CH-N을 고정시킨 세라믹 담체를 이용한 결과, 배양 2일 후에는 암모니아성 질소가 전부 제거되었다.

대두근류균(大豆根瘤菌)의 질소고정(窒素固定)에 관(関)한 연구(硏究) -II. 상이(相異)한 토양(土壌)에서 대두품종별(大豆品種別) 근류(根瘤)의 발달양상(発達樣相) 및 질소고정(窒素固定)에 관(関)한 연구(硏究) (Studies on Symbiotic Nitrogen Fixation in Soybean -II. Seasonal Changes of Nodule Development and N2-Fixing activities of Rhizobium japonicum to the Different Varieties of Soybean under Different Soils)

  • 류진창;이상규;이혁호;홍종운;조무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84-91
    • /
    • 1983
  • 대두근류균(大豆根瘤菌)(Rhizobium japonicum)의 유효(有効)한 활용(活用)을 위(為)하여 토양(土壌)이 상이(相異)한 조건(條件)에서 품종별(品種別) 근류(根瘤)의 발달양상(発達樣相)과 질소고정능(窒素固定能)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고져 pot 및 실내실험(室內実験)을 통(通)하여 몇 가지 얻어진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석회암토양(石灰岩土壌)에서는 콩파종후(播種後) 60일경(日頃)에 최대한(最大限) 유형성량(瘤形成量)을 보였으나, 신개간지토양(新開墾地土壌)은 파종후(播種後) 80일(日)까지도 근류형성량(根瘤形成量)이 증가(増加)되는 경향(傾向)이었다. 2. 대두품종별(大豆品種別) 근류착생량(根瘤着生量)은 육우(陸羽) 3호(号)와 H-25는 60일(日), 그리고 육우(陸羽)3호(号), Hill 및 광교(光敎)는 파종후(播種後) 70일(日)까지 직선적(直線的)으로 증가(増加)되었으며, 특(特)히 유효근류(有効根瘤)는 대두품종(大豆品種)에 관계(関係)없이 파종후(播種後) 20일경(日頃)부터 근류(根瘤)가 형성(形成)되어 60일(日)까지 지속(持続)되었음. 3. 토양별(土壌別) 근류(根瘤)에 의(依)한 질소고정량(窒素固定量)은 파종후(播種後) 20일(日)에는 신개간지(新開墾地) 0.012mg/본(本)에 비(比)해 석회암토양(石灰岩土壌)에서는 0.112mg/본(本)으로 높았다. 그러나 생육일수(生育日数)가 경과(経過)됨에 석회암토양(石灰岩土壌)보다 신개간지토양(新開墾地土壌)에서 질소고정량(窒素固定量)이 많았으며, 제일(第一) 높은 질소고정량(窒素固定量)을 보인 시기(時期)는 파종후(播種後) 50~60일경(日頃)이었다. 4. 대두품종별(大豆品種別) 질소고정량(窒素固定量)은 H-25 > 수원(水原) 63호(号) > Hill=육우(陸羽)3호(号) > 광교(光敎) 순(順)이었으며 대두(大豆) 1작기간중(作期間中) 질소고정량(窒素固定量)을 반당(反当) (11,000본립모(本立毛))으로 환산(換算)하면 8.2~13.3kg/10a정도(程度)였다. 5. 순수분리배양(純粹分離培養)한 각균주(各菌株)의 질소고정량(窒素固定量)은 (in vitro) A62-1 > 수원(水原)63호(号) > Hill > 광교(光敎) > 육우(陸羽) 3호(号)의 순위(順位)였으며 분리균주(分離菌株)의 아세치렌환원력(還元力)이 높았던 품종(品種)에서 근류(根瘤)에 의(依)해 질소고정량(窒素固定量)도 많았다.

  • PDF

볏짚시용(施用)이 논토양(土壤)의 미생물상(微生物相)에 미치는 영향(影響) -III. 질소고정(窒素固定)에 관여(關與)하는 미생물상(微生物相)과 질소고정능(窒素固定能) (Effects of Rice Straw on the Microflora in Submerged Soil -III. Microflora in Relation to Nitrogen Fixation and Acetylene Reducing Activity)

  • 김용웅;김광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99-405
    • /
    • 1984
  • 논토양(土壤)에 볏짚을 시용(施用)하고 투수조건하(透水條件下)에서 수도재배중(水稻栽培中), 토양중(土壤中) 질소고정(窒素固定)에 관여(關與)하는 미생물(微生物)의 소장(消長)과 질소고정능(窒素固定能)을 조사분석(調査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Azotobacter는 경시적(經時的)으로 약간 증가(增加)하고 볏짚시용(施用)으로 균수(菌數)가 낮아지는 경향(傾向)이었다. Clostridia 는 경시적(經時的)으로 크게 증감(增減)되지 않았다. Blue green algae는 출수기(出穗期)까지 증가(增加)하다 감소(減少)했으며 볏짚시용(施用)으로 균수(菌數)가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이다. 질소무황세균(窒素無黃細菌)은 재배기간중(栽培其間中) 거의 검출(檢出)되지 않았고 Yeast는 경시적(經時的)으로 약간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이었다. 질소고정미생물(窒素固定微生物)의 균수(菌數)가 증가(增加)되면 acetylene환원력(還元力)도 증대(增大)되었으며 수도재배기간중(水稻栽培其間中) 질소고정력(窒素固定力)은 0.2~0.4kg/10a이었다. 수도무재배구(水稻無栽培區)에서 질소(窒素)의 고정력(固定力)은 볏짚시용(施用)으로 약간 증가(增加)되었으나 투수(透水)의 효과(效果)는 뚜렷하지 않다.

  • PDF

미생물 다당류의 구조와 세포생리학적 기능 (Structures and functions of microbial extracellular or wall polysaccharides in the physiology of producer organisms)

  • 박용일
    • 미생물과산업
    • /
    • 제26권1호
    • /
    • pp.18-30
    • /
    • 2000
  • 질소 고정능이 있는 Nostoc pruniforme를 재료로, 3종의 유기물, glucose, oxalic, 및 ethanol을 N-free medium과 NO$^{[-993]}$ riched medium에 처리해 주었을 때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었다. 1)N-free medium과 NO$^{[-993]}$ riched medium에서 위의 유기물 모두가 질소 고정과정의 energy원으로서 또는 substrate로서의 유효한 결과를 얻었다. 3)oxalic acid를 처리한 실험에서는NO$^{[-993]}$ richedmedium의 경우 고농도 처리구에서 질소고정량이 많았고 N-free medium은 그 반대의 결과였다. 4)비교구인 control의 질소 고정량은 일예를 제회하고는 전반적으로 고농도 처리구와 저농도 처리구의 중간에 위치했다.

  • PDF

콩의 생육, 근류형성, 질소고정에 있어서 품종간 차이 III. 등숙기간중 식물체 각 기관 질소함량의 경시적 변동과 질소고정활성과의 관계 (Studies on Varietal Differences in Growth, Nodulation and Nitrogen Fixation in Soybeans, Glycine max (L.) Merrill. III. Relationships between Nitrogen Fixation Activity and Nitrogen Content of Plant Organs during Grain Filling Period)

  • 김석동;석총윤이;박래경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61-168
    • /
    • 1988
  • 본 연구는 생태적 생리적 특성이 다른 5가지 콩품종, 즉 조숙성의 예계7003, SS79168 및 만숙성의 동북7006, 백운콩, 장백콩을 공시하여 등숙기간중 체내성분의 변동 즉 식물체 각 기관 전 질소의 경시적 변동과 품종간 차이가 등숙중기 이후의 질소 고정활성의 급속한 감퇴와 어떤 관련성이 있는가를 구명하기 위하여 지상부 및 지하부 각 기관 전질소 농도를 경시적으로 조사함과 아울러 Acetylene 환원능(ARA) 등 조사를 실시하였다. 특히 공시품종중 예계 7003는 노화가 지연되는 특성(delayed leaf senescence, DLS)을 갖는 품종이다. 조사는 Fehr et al.(1977)의 콩생육단계의 구분에 따라서 협신장기(R4), 입비대기(R6), 성숙시기(R7) 등과 일부 품종은 착협시(R3) 및 R4.5, R6.5, R7.5와 같은 중간적 생육단계에도 보족적인 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각기관 질소량과 p-ARA간에는 정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어 질소고정활성이 높을수록 질소량은 많았다. 2. 각기관 질소농도와 s-ARA간의 상관은 R4에서 정, R6에서 부의 상관을 보였다. 3. s-ARA와 숙주의 Age나 질소 이외의 영양조건 등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많아서, R4에서는 고질소농도가 엽신의 광합성 activity를 높여서 s-ARA에 촉진적으로 작용하였고, R6에서는 엽신의 광합성 activity가 저하하고 질소화합물의 분해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부의 관계가 인정된 것이라고 판단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