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질소거동

Search Result 213, Processing Time 0.055 seconds

Simulation of Nitrogen Movement in the Rainfall Event at an Upland Agricultural Watershed (임야지에서 강우사상시 질소거동 모의에 관한 연구)

  • Kim, Sang-Hyeon;Kim, Geon-Mo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4 no.5
    • /
    • pp.521-532
    • /
    • 2001
  • The propagation patterns of nitrogen during rainfall events are unsteady and heterogeneou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generation and transport mechanisms. A simulation of non point source pollution was performed using GRASS-AGNPS to examine efficient management methods for diffusive pollution. Digital Elevation Model(DEM) was prepared to estimate the impact of topography on the transport pattern of diffusive pollutant Hanjaechon watershed on the Kyungbook province was selected as a study ares. Water quality sampl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the calibration of the model. A heuristic approach was employed to improve the model performance. The model could successfully produce spatial distributions of nitrogen. The constructed map-layers may help to decision makers to determine the best management practices.

  • PDF

Annealing behavior of the Pt films sputtered with $Ar/N_2$ gas mixture by real-time, in situ ellipsometry

  • 이동수;박동연;우현정;김승현;주한용;안응진;윤의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00.02a
    • /
    • pp.125-125
    • /
    • 2000
  • 백금 스퍼터 증착시 아르곤에 산소와 같은 첨가 가스를 사용할 경우 산화막에 대한 접착력이 좋아지며 백금 박막의 우선배향성을 조절할 수 있음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첨가 가스는 백금 박막에 상당량 포함되며 스퍼터링 후 열처리 과정에서 탈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후열처리 도중 첨가 가스의 탈착 거동이 백금 박막의 미세구조, 조성 및 전기 전도도 등과 같은 제반 물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추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백금의 스퍼터링 시 질소를 첨가하여 질소가 포함된 백금 박막을 증착한 후 질소 탈착 거동을 연구하기 위해 실시간 타원해석기(in situ ellipsometer)를 이용하여 진공열처리(15mTorr)하면서 온도변화에 따른 유효굴절율(n)과 소광계수(k) 값을 구하였다. 또한 산소를 첨가하여 얻은 백금 박막의 결과와 비교하여 백금 박막내에 포함된 산소와 질소의 탈착 거동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산소를 이용하여 우선배향성이 (200)으로 조절된 박막의 경우 n과 k의 급격한 변화가 관찰되었으며 이로부터 55$0^{\circ}C$ 온도에서 산소가 급격히 빠져나감을 추측할 수 있었으며 열처리 후에는 백금 bulk 값에 가까운 값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질소를 사용하여 (200)으로 우선배향성이 조절된 박막의 경우 n,k 값의 후열처리 도중의 변화 양상은 스퍼터링 압력에 크게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2mTorr에서 스퍼터링한 박막의 경우 23$0^{\circ}C$ 부근에서 굴절률과 미세구조의 변화가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으나, 10mTorr에서 스퍼터링한 시편의 경우 굴절률의 변화양상은 산소를 상요한 경우와 매우 유사한 거동을 나타내지만 열처리 후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n,k 값을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열처리 시편의 미세구조 변화에 대한 분석 결과 산소 사용의 경우는 측정온도 범위내에서는 후 열처리 후에도 박막내에 hole이나 hillock 등이 관찰되지 않아 bulk 값에 가까운 n, k 값을 가지지만, 질소 사용의 경우는 hole, 표면 거칠기, 혹은 스퍼터링 중에 인입된 질소의 탈착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못해 bulk 값과 다르게 나온 것으로 생각된다.

  • PDF

Electrochemical Reduction of Nitrate Ion in an Aqueous Solution (수용액에서 질산성 질소의 전기화학적 환원거동)

  • Park, J.K.;Jeon, C.J.;Lee, C.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Resources Recycling Conference
    • /
    • 2003.10a
    • /
    • pp.246-251
    • /
    • 2003
  • 전기분해법을 이용하여 수용액 중의 질산성 질소의 환원거동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수용액중의 질산 함량을 제어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촉매전극을 채택한 복극전해조에서 30분의 조업에 질산 100ppm 이하의 저농도 용액은 70%, 300ppm 이상의 고농도의 경우는 90%까지 질소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었다. 초기 질소농도가 증가하면서 한계전류밀도도 크게 증가하였으며, pH가 감소할수록 환원전류가 증가하였다. 그리고 수용액의 pH는 질소 환원반응기구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명되었으며, 산성에서는 질소형태로 중성 혹은 염기성에서는 암모니아 형태로 환원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 PDF

도시 및 농촌지역 지하수내 질소화합물의 거동 예측 및 질소오염 관리모델 개발

  • Lee, Mi-Seon;Lee, Seong-Su
    • Bulletin of Korea Environmental Preservation Association
    • /
    • v.26 no.5_6
    • /
    • pp.51-58
    • /
    • 2004
  • 모의 지역은 서부 호주에서 남쪽인 Busselton의 Vasse Research Station이다. 이 지역은 도살을 위해 소를 사육하는 가축사육장으로 이때문에 지하수가 질산성 질소를 비롯한 질소 화합물에 의해 심각하게 오염되었다.<중략>

  • PDF

An Assessment on the Behavior of Nitrogenous Materials during the First High-rate Phase in Composting Process (퇴비화 공정의 1차 발효단계에서 질소성 물질의 거동 평가)

  • Jeong, Yeon-Koo;Kim, Jin-Soo
    • Journal of the Korea Organic Resources Recycling Association
    • /
    • v.8 no.3
    • /
    • pp.81-88
    • /
    • 2000
  • Composting of N-rich wastes such as food waste and wastewater sludges can be associated loss of with substantial gaseous N, which means loss of an essential plant nutrient but may also lead to environmental pollution. We investigated the behavior of nitrogenous materials during the first high-rate phase in composting of food waste. Air dried food waste was mixed with shredded waste paper or wood chip and reacted in a bench scale composting reactor. Samples were analyzed for pH, ammonia, oxidized nitrogen and organic nitrogen. The volatilized ammonia nitrogen was also analyzed using sulfuric acid as an absorbent solution. Initial progress of composting reaction greatly influenced the ammonification of organic nitrogen. A well-balanced composting reaction with an addition of active compost as an inoculum resulted in the promoted mineralization of organic nitrogen and volatilization of ammonia. The prolongation of initial low pH period delayed the production of ammonia. It was also found that nitrogen loss was highly dependent on the air flow supplied. With an increase in input air flow, the loss of nitrogen as an ammonia also increased, resulted in substantial reduction of ammonia content in compost. The conversion ratio of initial nitrogen into ammonia was in the range of 28 to 38% and about 77~94% of the ammonia produced was escaped as a gas. Material balance on the nitrogenous materials was demonstrated to provide an information of importance on the behavior of nitrogen in composting reaction.

  • PDF

질소첨가 316L 스테인레스 강에서 고온 저주기피로시 발생하는 경화거동

  • 김대환;류우석;김영철;홍준화;최시경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11b
    • /
    • pp.463-468
    • /
    • 1996
  • 질소의 함량을 0.04%~0.15% 까지 변화시킨 316L 스테인레스 강으로 공기 중에서 저주기 피로시험을 수행하였다. 전체변형범위 1%, 변형속도 2$\times$$10^3$/sec, 삼각파로 상온 ~$600^{\circ}C$ 온도범위에서 시험을 수행하였다. 상온에서는 사이클이 진행됨에 따라서 연화가 계속해서 발생하지만 온도가 증가하면 초기에 경화가 발생한다. 피로시험 초기에 경화되는 정도와 saturation 응력은 온도가 증가하면 증가한다. 이러한 경화현상은 동적변형시효에 의해서 발생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질소를 첨가하면 강도는 증가하지만 경화는 감소되었다. 질소에 의한 경화의 감소는 질소가 동적변형시효를 억제하기 때문이다.

  • PDF

Environmental Fate Tracking of Manure-borne NH3-N in Paddy Field Based on a Fugacity Model (Fugacity 모델에 기초한 논토양에서의 액비살포에 따른 암모니아성 질소 거동추적)

  • Kim, Mi-Sug;Kwak, Dong-Heui
    •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 /
    • v.35 no.3
    • /
    • pp.224-233
    • /
    • 2019
  • Nitrogen components in liquid manure can reduce safety and quality of environment harmfully. To minimize the environmental risks of manure, understanding fate of manure in environment is necessary. This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applicability of a simplified Level III fugacity model for simulating $NH_3-N$ component to analyze environmental fate and transport of $NH_3-N$ in liquid manure and to provide basis for improving management of N in the liquid manure system and for minimizing the environmental impacts of N. The model simulation conducted for four environmental compartments (air, water, soil, and rice plants) during rice-cropping to trace $NH_3-N$ component and provided applicability of the Level III fugacity model in studying the environmental fate of $NH_3-N$ in manure. Most of $NH_3-N$ was found in water body and in rice plants depending up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proper removal processes. For more precise model results, the model is needed to modify with the detailed removal processes in each compartment and to collect proper and accurate information for input parameters. Further study should be about simulations of various N-typed fertilizers to compare with the liquid manure based on a modified and relatively simplified Level III fugacity model.

Model Development for Analysis of Nitrate Leaching and Its Field Application in a Rural Area (농촌지역의 질산성질소 거동 해석을 위한 모델 개발 및 현장 적용)

  • Suk, Hee-Jun;Chon, Chul-Min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42 no.6
    • /
    • pp.561-574
    • /
    • 2009
  • Unsaturated/saturated groundwater flow and solute transport model, VSFRT2D(Variable Saturated Flow and Reactive Transport model) was developed considering effects of pumping, irrigation, and denitrification. VSFRT2D employed Richards equation as governing equation for groundwater flow and previously existing unsaturated models modified by including computational procedure of evapotranspiration at surface using Thornthwaite method when precipitation doesn't occur. Bioremediation processes based on monod kinetics are described using four nonlinear contaminant transport equations and three nonlinear microbes transport equations. The developed model was applied to field data in Hongsung area contaminated with nitrate. In order to identify the effect of precipitation, pumping, evapotranspiration, irrigation, fertilizer application, and various bioremediations on groundwater flow and contaminant transport, individual processes were separated and simulated. Then all results obtained from the individual processes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bioremediation had a negligible effect on nitrate concentration change. However, pumping for irrigation, precipitation, and nitrogen fertilizer application showed profound influences on nitrate concentration change.

탄소와 질소 함량 변화에 따른 type 347 스테인리스강의 피로균열거동 연구

  • Min, Gi-Deuk;Kim, Dae-Hwan;Lee, Bong-Sang;Kim, Seon-Jin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9.05a
    • /
    • pp.42.1-42.1
    • /
    • 2009
  •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은 우수한 내식성 및 기계적 특성으로 인해 구조용 재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표준원전 경수로의 경우 가압기 밀림관소재로 Nb 안정화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인 type 347 스테인리스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원전배관에서는 운전중 배관내 온도편차에 의한 열응역과 하중변화에 의한 기계적하중에 의해 피로손상을 받는다. 일반적으로 범용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AISI 304, 316)의 피로균열 성장거동에 대한 연구결과는 국내외적으로 다수 축적되어 있으나 type 347 탄소, 질소 함량에 따른 기계적 특성 및 피로균열성장 연구는 매우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탄소와 질소의 함량에 따른 기계적거동을 평가하고, 이에 따른 피로균열전파속도를 관찰하여 스테인리스강의 정확한 피로균열전파속도 곡선을 제시하고자 한다. 실험에 사용된 시편은 두께 5mm, 폭 25.4mm CT시편을 사용하였으며, 1mm의 예비균열을 주었다. 그리고 실험온도는 상온과 원전가동온도인 $316^{\circ}C$에서 실시하였으며, 주파수는 10Hz를 주었다. 실험결과 각 함량에 따른 type 347의 미세조직 관찰결과 기지내에 압연방향을 따라 조대한 석출물의 흐름이 관찰되었으며, 크기나 분포가 큰 차이를 보였다. C+N 함량이 낮은 시편은 주로 $0.1\;{\mu}m$ 이하의 미세한 입자들이 오스테나이트 기지조직의 입내와 입계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었다. 그러나 C+N 함량이 높은 시편의 경우에는 $0.1\;{\mu}m$ 이하의 미세한 입자들과 함께 국부적으로 $1\sim10\;{\mu}m$의 조대한 입자들이 분포하고 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그리고 질소의 함량이 높아짐에 따라 인장강도는 증가하였으며, 피로시험결과 고온에서 실험한 피로균열성장률 곡선이 상온보다 높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질소가 적게 첨가되고 탄소의 함량이 많을수록 피로균열성장률은 ASME 곡선보다 낮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