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질산이온

검색결과 344건 처리시간 0.019초

정밀주조용 쉘 몰드에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 졸의 응용에 관한 연구 ( I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Aluminosilicate Sols in Shell Mold for Investment Casting ( I ))

  • 김재원;김두현;서성문;조창용;최승주;김재철;박영규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9권12호
    • /
    • pp.1188-1195
    • /
    • 1999
  • 알루미노실리케이트 계 졸이 지르콘 쉘 몰드의 뮬라이트 층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졸은 콜로이달 실리카와 수용성 질산알루미늄을 혼합하여 제조하였으며 50$^{\circ}C$에서 48시간 조건에서 겔화 하였다. 이러한 겔은 깁사이트 및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복합 겔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Si 이온과 결합하는 모든 Al 이온의 배위수가 4임을 확인하였다. 뮬라이트 상은 1300$^{\circ}C$ 이상에서 소결하였을 때 관찰되었으며 뮬라이트의 XRD 피크는 소결 온도와 질산알루미늄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노실리케이트 졸 슬러리를 2차 층에 코팅하였다. 그 결과 1차 및 3차 층의 분리가 일어났으며, 이는 소결시 졸의 1차 및 3차 층으로 침윤 발생과 잔류 실리카와 뮬라이트 간의 열팽창계수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중금속의 분리 및 검출을 위한 분석화학적 연구 (제 1 보). 새로운 분리방법의 개발 (New Analytical Method for Separation and Identification of Heavy Metals (I))

  • 김연두;배준현;신영국
    • 대한화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31-235
    • /
    • 1987
  • 니켈중 미량의 코발트를 분리하는데 액상음이온교환수지인 Amberlite LA-2를 이용하였다. 10M 염소이온 (4M HCl + 6M LiCl) 용액중에서 코발트는 ${CoCl_3}^-$를 형성하여 Amberlite LA-2 1ml에 2.175meq 추출되었다. 그러나 같은 조건의 염소이온용액에서 니켈은 착음이온을 형성하지 않으므로 전연 추출되지 않았다. 수지층에 추출된 코발트는 0.4M 질산용액에 의해 정량적으로 용리되었다. 코발트 50mg과 니켈 500mg을 녹인 합성시료용액중에 본 분리 방법을 적용시킨 결과 99.6%의 코발트를 분리회수 하였다.

  • PDF

요오드화은막전극 (AgI / PVC${\cdot}$THF) 에 관한 연구 (제2보). 할로겐화 이온혼합물의 전위차법 적정오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ilver Iodide Membrane Electrode (AgI / PVC${\cdot}$THF) (Ⅱ). Potentiometric Titration Error of Halide Mixture)

  • 박기채;권영순
    • 대한화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53-262
    • /
    • 1981
  • AgI/PVC${\cdot}$THF막전극은 단일할로겐화이온과 할로겐화이온 혼합물을 질산은표준용액으로 전위차법적정할 때 지시전극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할로겐화이온혼합물을 단계적정할 때 오차가 매우 큼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적정용액에 $NaNO_3$$Ba(NO_3)_2$같은 뭉침제를 가하면 오차가 매우 감소한다. 또한 젤라틴과 거름종이의 효과 그리고 온도의 영향도 조사하였다.

  • PDF

제주해협을 통과하는 화학물질 플럭스 (Biogeochemical Fluxes Through the Cheju Strait)

  • 정창수;홍기훈;김석현;박준건;김영일;문덕수;장경일;남수용;박용철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5권3호
    • /
    • pp.208-215
    • /
    • 2000
  • 한국 남해대륙붕에서의 물질순환을 이해하기 위해 남해연안의 보길도와 제주도를 잇는 제주해협에서 1997년부터 1999년까지 3년간 화학물질 플럭스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제주해협의 입자성부유물질, 용존무기영양염류, 입자성유기탄소 및 질소는 전계절에 걸쳐 90% 이상이 동향류에 의해 황해 및 동중국해로부터 제주해협을 통해 남해로 유입된다. 제주해협을 통해 남해로 유입되는 화학물질들의 연간 플럭스는 부유물질이 22.9${\times}$10$^6$ ton yr$^{-1}$, 암모니움 이온은 0.52${\times}$10$^{10}$ mol yr$^{-1}$, 질산이온은 6.05${\times}$10$^{10}$ mol yr$^{-1}$, 인산이온은 0.36${\times}$10$^{10}$ mol yr$^{-1}$, 규산은 10.27${\times}$10$^{10}$ mol yr$^{-1}$이다. 해수수송량(Sv)당 입자성부유물질 연간 플럭스는 제주해협(44.48${\times}$10$^6$ ton yr$^{-1}$ Sv$^{-1}$)이 대한해협 (26.08${\times}$10$^6$ ton yr$^{-1}$ Sv$^{-1}$)보다 약 1.7배 크다. 또한 제주해협 통과 질산이온 연간 플럭스(11.60${\times}$10$^{10}$ mol yr$^{-1}$ Sv$^{-1}$)는 대한해협 (9.72${\times}$10$^{10}$ mol yr$^{-1}$ Sv$^{-1}$)보다 약 1.2배, 동중국해에서 쿠로시오에 의한 수송량(18.55${\times}$10$^{10}$ ton yr$^{-1}$ Sv$^{-1}$)에 비해서는 2/3 수준으로 높다. 결론적으로 풍부한 화학물질들을 함유한 제주해류는 남해 및 동해의 생지화학적 과정들에 있어 상당히 중요함을 시사한다.

  • PDF

반도체(半導體) 제조공정(製造工程)에서 발생하는 혼산폐액(混酸廢液)으로부터 고순도(高純度) 인산회수(燐酸回收) (Recovery of high-purity phosphoric acid from the waste acids i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

  • 박성국;노유미;이상길;김주엽;신창훈;김준영;안재우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5권5호
    • /
    • pp.26-32
    • /
    • 2006
  • LCD와 반도체 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인산, 질산, 초산, Al, Mo 등이 혼재하고 있는 인산계 혼산폐액을 액정제조공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고순도 에칭액으로 재활용하기 위해서 용매추출법, 진공증발법, 확산투석법 및 이온교환법의 각각의 기술적 특성을 살린 혼합 처리공정을 이용하여 고순도 인산회수 기술을 확립하고 상용화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시험 결과 진공증발에 의해 질산과 초산을 100% 제거할 수 있었고, TOP를 이용한 용매추출에서도 추출 4단, 탈거 6단으로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었다. 이온교환의 전단계로 적용한 확산투석에서 Al 97.5%, Mo 36.7% 제거할 수 있었고 이온교환공정에서 Al 및 Mo를 각각 1ppm이하로 정제할 수 있었다.

질산이온 선택성 피복선 전극의 제작 및 환경분석에의 응용 (Preparation of Coated-Wire Nitrate Ion Selective Electrode and its Application for Environmental Analysis)

  • 李龍根;金昌圭;朴廷泰;金京燮;黃圭子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99-107
    • /
    • 1985
  • A coated wire ion selective electrode for nitrate (nitrate-CWE_ was constructed using epoxy resin, ion exchanger and plasticizer as a polymer membrane. It's stility, the composition of a polymer membrane,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the selectivity were examined and applied to the environmental analysis. The nitrate-CWE was prepared using a copper wire, wihch was coated with epoxy resin being incorporated with the nitrate ion exchanger and plasticizer. The best composition of the polymer membrane for the nitrate-CWE was obtained by mixing epoxy resin, ion exchanger and plasticizer in the ratio of 2:1:0.4. The potential (56.3$\pm$0.5 mV) of stick form nitrate-CWE in this composition was close to that (59.2 mV) of Nernstian response. The detection limit for nitrate ion were found to the about $6 \times 10^{-5}M$ and the useful pH was 2.5 $\sim$ 10.3. Furthermore, the selectivity of iodide and perchrorate for the nitrage-CWE was also much improved compared with that for a liquid membrane nitrate electrode. The nitrate-CWE was used to determind $NO_x$ in stack gas. The results were in good agreement with those obtained either by electrode method or by the improved NEDA method within a relative error of 4.0%.

  • PDF

전기투석을 이용한 지하수 중의 질산성질소 제거 (The removal of Nitrate-nitrogen from ground water by electrodialysis)

  • 민지희;김한승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07-314
    • /
    • 2008
  •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applied voltage, solution pH and coexistence of other ions such as sulfate ion (${SO_4}^{2-}$) and chloride ion ($Cl^-$) were investigated on the removal of nitrate-nitrogen ($NO_3{^-}-N$) from ground water by electrodialysis. The examined operating conditions were evaluated for optimizing the removal efficiency of $NO_3{^-}-N$. Real ground water samples taken from a rural area of Yongin city and artificial ones with components similar to the real ground water were tested for the study, which contained $NO_3{^-}-N$ concentration of 17mg/L that exceeds current drinking water quality standard of 10 mg/L. The increase in the removal rate of $NO_3{^-}-N$ was observed as the applied voltage increased from 5V to 30V, while no significant increase in the removal rate appeared at the applied voltage beyond 20V during a given operating time. The removal rate appeared to get lower at both acidic and basic condition, compared to neutral pH. Coexistence of of ${SO_4}^{2-}$and $Cl^-$ demanded much longer operating time to achieve a given removal rate or to meet a certain level of treated water concentration. When nitrate ion was combined with ${SO_4}^{2-}$and $Cl^-$, the removal rate was reduced by 4.29% and 10.83%, respectively.

전기응집을 이용한 소규모 수도시설의 질산성질소와 불소이온 제거 (Fluoride and nitrate removal in small water treatment plants using electro-coagulation)

  • 한송희;장인성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767-775
    • /
    • 2011
  • In this study we verified if the electro-coagulation process can treat properly the nitrate and fluoride that are not removed well in the conventional small water treatment plants which usually employ chlorination and filtration only. As we gave a change of electrode material and gap-distance between electrodes, removal efficiency of the nitrate and fluoride was determined by electro-coagulation process which were equipped with aluminum and stainless steel (SUS304) electrodes. In addition, electrode durability was investigated by determination of electrodes mass change during the repetitive experiments. Removal efficiency was great when aluminum was used as an anode material. Nitrate removals increased as electric density and number of electrodes increased, but fluoride removal was less sensitive to both parameters than nitrate. After 10 minutes of contact time with the current density from $1{\times}10^{-3}$ to $3{\times}10^{-3}A/cm^{2}$, nitrate and fluoride concentration ranged from 9.2 to 1.2mg/L and from 0.02 to 0.01mg/L, which satisfied the regulation limits. Regardless of the repeating number of experiments, removal efficiency of both ions were almost similar and the change of electrode mass ranged within ${\pm}$0.5%, indicating that the loss of the electrode mass is not so much great under the limited circumstances.

육제품의 저장 중 아질산이온 잔류량, TBARS 함량과 육색의 변화 (Changes in Residual Nitrite, TBARS and Color of Meat Products during Storage)

  • 김기숙;최성희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99-307
    • /
    • 2007
  • 육제품의 아질산이온 잔류량 저감화와 육제품 섭취의 안전성 확보 방안 연구의 일환으로 국내산 육제품의 저장 중 아질산이온 잔류량의 변화와 함께 TBARS 함량과 색도를 살펴본 결과 비엔나소시지, 베이컨, 스모크햄, 냉동육제품 등 4종류의 육제품 모두 아질산이온 잔류량이 국내 규제 허용량 70ppm 보다 매우 낮은 값을 보였으며,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잔류량은 더욱 감소하였다. 감소폭은 저장 온도와 제품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어 $4^{\circ}C$에서 냉장 저장할 경우는 비엔나소시지에서 아질산이온 잔류량의 감소폭이 가장 컸고 베이컨에서 가장 작았다. 반면 $-20^{\circ}C$에서 냉동 저장한 경우에는 베이컨에서 아질산이온 잔류량 감소폭이 가장 컸고 냉동육제품에서 가장 작았다. 또한 저장 온도에 따른 각 제품의 아질산이온 잔류량 감소 속도를 보면 비엔나소시지, 스모크햄 및 냉동육제품은 $4^{\circ}C$에 저장할 때가 $-20^{\circ}C$에 저장할 때보다 더 빠른 속도로 아질산이온 함량이 감소하였다. 반면, 베이컨의 경우는 $-20^{\circ}C$에 저장할 때가 $4^{\circ}C$에 저장할 때보다 더 빨리 아질산이온 함량이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육제품의 제조 후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잔존 아질산이온이 감소하고 저장 온도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국내산 육제품의 아질산이온 함량은 대부분 법적기준보다 매우 낮은 수준이며 우리나라의 경우 육제품 섭취에 의한 아질산염의 위해는 현 시점에서 크게 우려할 바는 아니라고 사료되나 앞으로 아질산이온 잔류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하고 더불어 아질산염의 대체물질을 개발하는데 많은 연구력과 재원이 투자되어야 할 것이다.

EDLC 전극용 메조기공 활성탄소 섬유의 전기화학적 특성 (The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esopore Active Carbon Fiber for EDLC Electrode)

  • 강채연;신윤성;이종대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9권1호
    • /
    • pp.10-14
    • /
    • 2011
  • 철 이온 교환방법에 의해 메조기공을 갖는 활성탄소 섬유(ACF)를 제조하고, 이를 사용하여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EDLC)의 전극소재 성능을 조사하였다. 질산처리에 의해 제조된 메조기공 ACF는 비표면적이 1,249, 664 $m^2/g$이고, 메조 기공 분율이 70.6-81.3%이고, 평균 기공크기는 약 2.78~4.14 nm이다. 질산처리시간이 짧을수록 비표면적이 크고 메조 기공이 적게 발달됨을 알 수 있었다. 전기이중층 커패시터의 성능을 조사하기 위해서, 메조기공 ACF, 도전제, 바인더를 사용하여 단위 셀을 제조하였으며, 유기 전해질을 사용하였다. 2시간 질산으로 처리된 ACF의 비 축전양은 0.47 $F/cm^2$이고, 20회 충.방전 테스트에서 안정된 실험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EDLC의 전기화학적 성능은 ACF 전극의 비표면적에 크게 영향을 받으며 메조기공은 전하의 확산저항을 감소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