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질병활성도

검색결과 428건 처리시간 0.025초

항생물질의 최근의 발달

  • Papich Mark G.
    • 대한수의사회지
    • /
    • 제34권6호
    • /
    • pp.396-400
    • /
    • 1998
  • 최근 항균치료에 있어서 중요한 변화가 있었다. 10년전에는 사용되지 않았던 수종의 항균약이 이전에 사용됐던 약보다 높은 항균활성을 갖고 있다. 인의의 경우 심각한 면역억제 질병이 출현하고 있을 경우 (예를들어 HIV) 및 병발증의 문제를 갖은 환자의 경우, 활성이 높고 내성발현빈도가 낮은 항균약에 대한 요구가 늘어났다. 타의 병발증이란, 예를들어 암과 같은 장기 집중치료가 필요한 질병이다. 수의의 경우에도 세균의 악제내성 및 원내감염의 문제가 증가했기 때문에 인체의료에서 발달한 새로운 많은 치료방법도 행하고 있다. 수의용으로서 개발된 새로운 약물도 있다. 여기에서는, 소동물의 항균치료에 공헌하고 있는 극히 최근에 개발된 약제에 한해 기술한다.

  • PDF

미생물의 대사산물로부터 신생리활성물질창출의 최근 경향

  • 이계준
    • 미생물과산업
    • /
    • 제15권2호
    • /
    • pp.30-32
    • /
    • 1989
  • 종전까지 미생물의 대사산물 중 질병치료에 쓰일 수 있는 것은 일반적 시험균의 성장을 억제하는 항생물질이라는 좁은 의미에서부터 탈피하여 좀더 다양한 새로운 검색방법을 고안하고 이로부터 넓은 의미의 생리활성물질을 얻고 있는 바 그 몇가지를 열거하고자 한다.

  • PDF

단삼 추출물의 어류 질병 세균에 대한 항균 작용 및 사료 적용 시험 (Antibacterial Effect of fish Diet Soaked in Salvia miltiorriza Extract)

  • 목종수;송기철;최낙중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57-163
    • /
    • 2001
  • 단삼으로부터 항균성 물질을 추출하여 어류질병에 대한 천연 항균약제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하여 어류질병세균에 대한 항균효과, 최소증식억제농도, 최소살균농도 및 어류사료에 적용 시험 등을 실시하였다. 단삼 추출물은 그람양성균에 대하여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나, 그람음성균에 대하여는 항균활성이 약하였다. 단삼 추출물의 그람양성균에 대한 최소증식억제농도는 13.4 ~40.3 $\mu\textrm{g}$/ml이었으며, 67.2~403.0 $\mu\textrm{g}$/ml의 농도에서는 살균작용을 보였다. 그러나 그람음성균인 Edwardsiella tarta에 대하여는 403.0 $\mu\textrm{g}$/ml를 첨가하여도 살균작용은 물론 균 증식을 억제하지도 못하였다. 사료를 단삼 추출액에 침지시 적정 침지시간은 10분이었고, 단삼 추출물에 침지시킨 사료는 사용된 모든 어류질병세균의 증식을 억제하여 10.5~14.5 mm의 저해환을 형성하였으며, 특히 Streptococcus 속 및 Vibrio anguillarum에 대하여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사료 중량에 따른 추출물 흡수량은 식 Y=2.4953X+3.3276 ($R^2$=0.9999)으로 아주 밀접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단삼추출물에 침지시킨 사료의 항균활성은 저장온도 10~35$^{\circ}C$에서 28일까지 안정하였다.

  • PDF

Probiotics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감귤 가공부산물 발효물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Citrus By-Product Ferment Using Probiotics as Starter)

  • 문영건;이경준;김기영;송춘복;전유진;허문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58-165
    • /
    • 2006
  • 감귤 과괴 뿐만 아니라 가공부산물 내에는 carotenoid, bioflavonoids, pectin 등의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flavonoids는 항산화 또는 금속이온과 착염을 형성하여 free radical이나 electrophiles 및 과산화 지질의 생성을 막아 세포, 조직, 기관이 손상을 억제 해주며, 노화방지, 순환계 질환을 예방 해주며 항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생물을 첨가하여 발효시킨 감귤 가공부산물의 열수 추출액과 감귤 가공부산물의 열수 추출액을 가지고 어류 질병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과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였는데, 어류 질병 세균에 대한 항균 실험에 있어서는 미생물을 첨가하여 발효시킨 감귤 가공부산물 추출액에서 저해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났다(Table 3). 반면 항산화활성 측정에서는 감귤 가공부산물 자체도 항산화 활성이 높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그러나 E. faceium, P. pentosaceus, L. plantarum, L. rhamnosus, B. subtilis, S. cerevisiae를 각각 첨가하여 발효시킨 감귤 가공부산물을 기존 합성 항산화제인 BHT와 BHA와 비교하여 보았을 때 전자공여능을 이용한 항산화 활성 측정에서는 전체적으로 높은 항산화 활성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B. subtilis, S. cerevisiae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실험구에서는 합성 항산화제인 BHA보다 높은 89%와 같은 값인 87%에 활성을 나타내고 있다. SOD유사활성 측정에 대한 결과는 Fig. 2에서처럼 L. rhamnosus를 첨가하여 발효시킨 실험구를 제외하고 나머지 5개의 실험구에서는 기존 합성항산화제인 BHT와 BHA보다 높거나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hydroxyl radical 소거활성 측정에서는 미생물을 첨가하여 발효시킨 산물에 추출액의 활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1%에 농도에서는 합성 항산화제보다도 좋은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 되었는데, 특히 B. subtilis를 첨가하여 발효시킨 실험구에서는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미생물을 첨가하여 발효과정을 거친 감귤 가공부산물의 어류 질병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이나 항산화활성에 있어서 그 효과가 탁월하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그리고 발효과정에 있어 첨가되어진 미생물 중에서는 B. subtilis와 S. cerevisiae가 발효 미생물로서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가 있었고, 본 연구에서 Bacillus subtilis 같은 경우는 가장 높은 항균활성과 항산화활성을 나타내고 있어 최적 발효 미생물로 말할 수가 있을 것이다.

가축질병 균주에 대한 소목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Caesalpinia sappan against Animal husbandry disease.)

  • 이성규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42-249
    • /
    • 2003
  • 소목추출물을 제조하여 가축질병에 관련이 있는 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소목추출물은 그람양성균에 대해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그 중 S. epidermidis에서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다. 소목추출물의 최소저해농도는 MeOH추출물은 0.8∼16 mg/ml 범위였으며 EtOH츤출물은 0.8∼10 mg/ml농도에서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소목 분회물의 항균활성은 EtOAc층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열에 의한 항균활성 변화에 있어서는 대부분의 균주에서 항균력은 안정적이며 pH에 의한 항균활성의 변화에서 S.aureus와 Sal. typhimurum에서 산 처리 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대부분의 균주에서 안정적이었다. 소목 추출물의 미생물증식억제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증식배지에 0, 100, 300및 500 ppm의 추출물을 첨가하여 균주의 증식 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그람양성균인 S. aureus 와 S. epidermidis는 첨가농도에 관계없이 배양 후 72시간까지 증식이 정지된 상태를 보였으며 그람 음성균에서는 100ppm이상 첨가 시 증식이 저지되거나 억제효과가 있었다. 이런 결과를 종합하면 소목 추출물은 그람음성균에 비해 그람양성균에 더욱 효과적인 항균활성이 있다고 보여 진다.

3′-deoxy-3′-heterocyclic thio thymidine 유도체의 합성

  • 김득준;안순길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3년도 제2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초록집
    • /
    • pp.116-116
    • /
    • 1993
  • 전 세계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질병인 AIDS의 원인 virus인 HIV에 활성이 있는 nucleoside 유도체를 개발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HIV에 활성이 있는 3'-deoxythymidine 유도체의 일종으로써 3'-위치에 hydroxy기 대신에 heterocyclic thio기가 치환된 3'-deoxy-3' -(pyrimidin-2-yl)thio thymidine 및 3'-deoxy-3'-(1-methyltetrazol-5-yl) thiothymidine을 thymidine을 출발물질로 각각 합성하였다. 그러나 이 두 화합물은 항 HIV-1 (CEM cell line)에 대하여 활성이 없었다.

  • PDF

수종의 생약으로부터 혈소판활성화인자 (PAF) 길항제 검색 (Screening of PAF Antagonists from Medicinal Plants)

  • 손건호;김소희;정근영;장현욱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249-249
    • /
    • 1994
  • PAF (Platelet-activating factor: 혈소판 활성화인자)는 1972년 Benveniste등에 의해 토끼의 호중구 배양 상청액중에서 발견되어 1979년 그 구조가 1-alkyl-2-acethyl-sn glycero-3-phosphocholine의 구조를 갖는 에테르형 인 지질임이 밝혀졌다. 그후 혈소판 이외 과립구, 단구나 macrophage, 혈관내피세포등 조직의 염증담당세포가 다양한 자극에 응하여 PAF를 생성됨이 보고되었다. PAF가 나타내는 대표적 활성으로는 혈소판, 호중구, 단구들의 활성화, 호중구의 유주 활성, 혈관투과성 항진, 혈압강하작용. 기관지 수축 등이 알려졌으며. 또한 염증, 알러지, 천식 endotoxin shock 등 여러질병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함이 알려졌다. 이와같은 여러 생리 현상은 PAF의 특이적수용체를 개재하여 일어난다는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PAF의 다양한 질병의 관여가 밝혀짐으로서, PAF길항제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어왔다. 지금까지 PAF길항제의 개발은 PAF 구조 유사체. benzodiazepam유도체, thiazole유도체 등과 같은 합성품과 ginkolide, kadsurenone과 같은 천연물 유리의 것이 알려져 in vivo model에서도 그 효능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배경에서 20여 종의 생약에서 PAF 길항제를 검색하던 중 5종류의 생약에서 PAF 길항작용을 갖는 분획을 찾았기에 이에 보고한다.

  • PDF

난치성 질환의 병태모델실험

  • 허근;박종민;신억섭;이주희;이상일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2년도 제1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초록집
    • /
    • pp.35-35
    • /
    • 1992
  • 산소라디칼-질병모델을 보다 간편한 방법으로 만들어 생화학적 발병 기전을 추구하므로서 신약창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미세혈관의 혈류이상은 과잉의 활성산소를 생산하게되며 이로 인해 여러 종류의 난치성 질환 및 염증을 수반하는 많은 질병이 발병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흔히 이용되어지는 허혈-재관류모델이 아닌 환경독성물질을 활용한 병태모델을 만들어 이 모델조건에서 활성산소생성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 잔틴 옥시데이즈(Xanthine Oxidase)의 변화와 과산화지질생성정도를 연관지어 검토하였다. 수은, 구리, 몰리브덴등의 금속이온들은 잔틴 디하이드로저네이즈(Xanthine dehydrogenase)로 부터 옥시데이즈(Oxidase)형으로의 전환을 촉진시켰으며 막독성의 지표로 이용되어지는 과산화지질의 생성도 현저히 증가시켰다. 또한 알데하이드류의 첨가실험에서도 잔틴산화효소의 형전환이 촉진되었으며 첨가한 알데하이드의 탄소수와 수소수 그리고 탄소와 탄소의 결합상태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음이 관찰되었다.

  • PDF

Alcohol성 간손상과 Xanthine Oxldase의 형전환과의 상관성을 이용한 약품개발

  • 허근;이상일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3년도 제2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초록집
    • /
    • pp.158-158
    • /
    • 1993
  • 노화현상에 따른 여러 가지 병태생리조건의 형성과 난치성 성인병질환의 발병 및 진행과정에 활성산소류들과 이들에 의해 유도되어지는 free radical이 관여하고 있다는 증거가 여러연구진에 의해서 보고되어지고 있다. 산소를 이용하여 생명현상을 이어가는 생물체들은 필연적으로 활성산소들을 생성하는 생화학적 산화반응기구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면서 항상성을 유지시키고 있다. 그러므로 활성산소의 생성과 분해과정의 평형유지는 생물학적으로 대단히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 임상적으로 alcohol은 질병의 악화 내지는 질환의 발병조건을 조성하는 병태생리기구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되어 대부분의 환자에게 금주시키고 있으나 그 작용기전에 대해서는 충분히 설명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alcohol을 급ㆍ만성으로 실험동물에 투여하고 생체에서 활성산소 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xanthine oxidase와 aldehyde oxidase의 활성변화를 관찰하면서 전자의 형전환속도와 과산화지질 생성속도와의 상관성을 중점 비교 관찰하므로서 alcohol성 간손상 실험 model을 계획하였다. 간 및 신장조직에서 alcohol에 유래되는 활성산소의 생성계에 관여하는 효소 활성의 변화와 조직의 과산화지질 생성반응 속도는 alcohol의 투여방법, 기간, 시간(diurnal variation), 나이 및 암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