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질병확산 모델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4초

빅데이터를 이용한 독감, 폐렴 및 수족구 환자수 예측 모델 연구 (The Study of Patient Prediction Models on Flu, Pneumonia and HFMD Using Big Data)

  • 우종필;이병욱;이차민;이지은;김민성;황재원
    • 한국빅데이터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55-62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해외에서 주로 실행되어 왔던 빅데이터를 이용한 다양한 질병(독감, 폐렴, 수족구병) 환자수 예측 모델을 개발해 보았다. 기존의 환자수 예측이 병원에서 실제 환자수를 카운팅한 수를 수집하여 발표하는 시스템이라면, 이번에 개발한 연구 모델은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질병 관련 단어 및 다양한 기후 데이터를 접목하여 기계학습 방법으로 알고리즘을 만들고, 이를 기반으로 정부에서 발표하기 전 환자수를 예측하는 모델이다. 특히 유행성 질병이 빠르게 확산될 경우, 실시간으로 전파 속도를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구글 플루 트렌드에서 실패한 부분을 최대한 보완하여 다양한 데이터를 활용한 예측 모델을 개발하였다.

감염병 확산으로 인한 비대면 환경에서의 시험 감독을 위한 거버넌스 제안

  • 김지은;안성경;이은지;김형종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67-75
    • /
    • 2021
  • 지난 2020년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 19 확진자가 급증하자 세계보건기구(WHO)는 코로나 19 대유행을 선언하였다. 이러한 질병의 확산을 막는 방안으로 다양한 시험들이 비대면 시험으로 전환되면서 부정행위에 대한 우려가 있다. 또한, 이러한 상황에서 비대면 시험을 진행하고자 할 때 참조할 만한 체계가 없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감염병 확산 이후로 불가피하게 진행될 비대면 환경에서의 감독 및 시험 방식에 있어 4단계의 거버넌스를 제시하고자 한다. 해당 거버넌스는 시험에서 사용되는 활용도 및 빈도수와 시험 감독 강도에 따라 4단계로 정의된다. 각 단계의 거버넌스들은 기존의 비대면 시험 방식과 코로나 19 이후의 시험 방식에 대한 비교 및 조사와 여러 시험 형식의 특성을 고려하여 제시된다. 제시된 거버넌스는 비대면 시험을 준비하고 시행하는 기관, 기업 및 학교들의 참조 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하며, 비대면 시험의 "효율성"과 "공정성"을 확보하는 데에 기여할 것을 기대한다.

두 가지 유형의 바이오마커를 이용한 파킨슨병의 진단과 신경섬유 경로의 특징 분석 (Diagnosis of Parkinson's Disease Using Two Types of Biomarkers and Characterization of Fiber Pathways)

  • 강신태;이욱;박병규;한경숙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3권10호
    • /
    • pp.421-428
    • /
    • 2014
  • 파킨슨병은 뇌의 흑질 영역에서 도파민계 신경이 파괴되는 질병으로 알츠하이머병과 함께 대표적인 퇴행성 뇌 질환이다. 현재까지 병을 완치시킬 수 있는 치료법은 없지만 병의 진행을 완화시킬 수 있는 치료법이 존재하기 때문에 병의 진단이 굉장히 중요하다. 파킨슨병을 진단하기 위한 과거의 연구는 대부분 단일 바이오마커를 이용한 것으로 이러한 방법은 파킨슨병 환자를 높은 정확도로 진단할 수 있지만 정상인에 대한 진단은 상대적으로 낮은 성능의 한계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화학적 바이오마커인 뇌척수액 내의 ${\alpha}$-synuclein 단백질 수치와 영상학적 바이오마커인 확산 텐서 영상의 여러 모수들을 결합하여 특징으로 사용하는 파킨슨병 진단 모델을 개발하고 성능을 평가하였다. 진단을 위해 개발된 모든 모델은 10-fold cross validation 성능평가에서 정확도가 최고 91.3%의 높은 성능을 보였으며, test 성능평가에서는 확산 텐서 영상의 모수들 중 FA와 ${\alpha}$-synuclein 단백질 수치가 결합된 모델, MO와 ${\alpha}$-synuclein 단백질 수치가 결합된 두 모델에서 최고 72%의 정확도 성능을 보여 파킨슨병의 진단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파킨슨병의 진단을 위해 개발된 모델의 영상학적 특징 벡터를 통하여 파킨슨병 환자와 정상인의 신경섬유 경로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COVID-19 확산 방지를 위한 시맨틱 진단 및 추적시스템 (A Semantic Diagnosis and Tracking System to Prevent the Spread of COVID-19)

  • 순위샹;이용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611-616
    • /
    • 2020
  • 본 논문은 대도시에서의 COVID-19 바이러스 확산을 막기 위해, 대한민국 서울의 감염 상황에 대한 클러스터 분석을 통한 링크드 데이터 기반 시맨틱 진단 및 추적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논문은 크게 3개의 섹션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클러스터 분석을 위해 서울의 감염자 정보를 수집하고, 중요한 감염 환자 속성을 추출하여 랜덤 포레스트를 기반으로 한 진단 모델을 구축하고, 그리고 링크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추적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실험 결과 진단 모델의 정확도가 80%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더군다나 본 논문에서 제안한 추적 시스템은 기존 시스템들보다 더 유연하고 개방적이며 시맨틱 쿼리도 지원한다.

S/W 취약점으로 인한 손실비용 추정 (Estimating Economic Loss by S/W Vulnerability)

  • 김민정;유진호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1-43
    • /
    • 2014
  • 최근 많은 사이버 공격은 S/W의 취약점을 이용한 익스플로잇(exploit)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주기적으로 취약점 동향이 발표되고 있으며 이를 참고로 보안의 방향이 제시되고 개선 방안도 수정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11년 한 해 동안 발생한 해킹 등 사이버 공격은 2010년 대비 81% 증가하였고, 이러한 사이버 공격의 약 75%가 S/W 자체의 보안 취약점을 악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S/W 취약점으로 인한 손실비용 측정을 위해 질병 전파 모델인 SIR 모델을 응용하여 취약점에 의한 악성코드 감염 확산 모델인 VIR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한글 S/W 취약점에 적용하여 손실비용이 어느 정도인지를 추정하였다.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이용한 수술후 환자 진단 (Application of Data Mining Techniques To postoperative patient Condition Diagnostic Predictions)

  • 이경영;이주철;박순철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상)
    • /
    • pp.43-46
    • /
    • 2001
  • 정보화를 통한 업무의 효율성 제고에 대한 인식이 폭넓게 확산돼 있다. 의료분야에서도 비교적 단순한 원무관리 시스템이나 환자의 증상이나 각종 자료 등을 기록하고 의료진간의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전자의료기록 관리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또한 이들 시스템을 통하여 획득한 환자의 자료를 분석하여 의료진의 환자질병진단을 지원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의료자료 분석에 요구되는 기법을 제시하며, 획득한 환자의 자료를 데이터마이닝 기법인 신경망 모델을 적용하여 결과를 분석한다.

  • PDF

딥러닝 기반 80대·90대 노령자 대상 폐암 진단 후 사망률 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diction of Mortality Rate after Lung Cancer Diagnosis for the Elderly in their 80s and 90s Based on Deep Learning)

  • 변경근;이덕규;신용태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452-455
    • /
    • 2022
  • 4차 산업혁명의 확산으로 의학계에서도 딥러닝 기술을 이용한 질병의 치료결과 예측 연구가 활발하다. 이와 관련, 일부 연구에서 국소적인 환자 데이터의 활용으로 인해 도출된 연구 결과의 일반화가 어려웠으며 예측률 제고를 위해 특정 딥러닝 알고리즘을 중심으로 한 실험이 추진되어 다양한 알고리즘별 예측률의 비교·분석 결과를 제시하는 연구도 미흡하였다. 이에,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대규모 진료 정보와 다종의 알고리즘을 제공하는 AutoML을 이용, 사망률이 높은 80대·90대 노령자 대상 폐암 진단 후 84개월간의 사망률을 예측하는 Decision Tree 등 5개 알고리즘별 모델을 생성하고 이를 활용, 사망률의 예측 성능을 비교하고 사망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 결과를 도출하였다.

실내 문화시설 안전을 위한 딥러닝 기반 방문객 검출 및 동선 추적에 관한 연구 (Deep Learning-based Approach for Visitor Detection and Path Tracking to Enhance Safety in Indoor Cultural Facilities)

  • 신원섭;노승민
    • Journal of Platform Technology
    • /
    • 제11권4호
    • /
    • pp.3-12
    • /
    • 2023
  • 포스트-코로나 시대에는 방역 조치의 중요성이 크게 강조되고 있으며, 이에 맞춰 딥러닝을 이용한 마스크 착용 상태 검출 및 다른 전염병 예방에 관련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질병 확산 방지를 위한 문화시설 관람객 탐지 및 추적 연구도 마찬가지로 중요하므로 이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사전 수집된 데이터 셋을 이용하여 컨볼루션 신경망 기반 객체 탐지 모델을 전이 학습시키고, 학습된 탐지 모델의 가중치를 다중 객체 추적 모델에 적용하여 방문객을 모니터링 한다. 방문객 탐지 모델은 Precision 96.3%, Recall 85.2% F1-Score 90.4%의 결과를 보여주었다. 추적 모델의 정량적 결과로 MOTA 65.6%, IDF1 68.3%. HOTA 57.2%의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본 논문의 모델과 다른 다중 객체 추적 모델 간의 정성적 비교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본 논문의 연구는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문화시설 내 방역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기상 데이터와 대기 환경 데이터 기반 (초)미세먼지 분석과 예측 (Analysis and Prediction of (Ultra) Air Pollution based on Meteorological Data and Atmospheric Environment Data)

  • 박홍진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328-337
    • /
    • 2021
  • 석면, 벤젠과 같이 발암물질 1급인 미세먼지는 각종 질병에 원인이 되고 있다. 초 미세먼지 확산은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의 중요한 원인중 하나이다. 본 논문은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서울시 평균 기온, 강수량, 평균 풍속등의 기상 데이터와 SO2, NO2, O3,등의 대기 환경 데이터를 기반으로 미세먼지와 초 미세먼지를 분석하고 예측한다. 계절별과 월별로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 현황을 파악·분석하며 미세먼지를 예측하기 위해 기계학습 모델 중 선형회귀, SVM, 앙상블 모델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미세먼지와 초 미세먼지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피쳐(속성)를 파악한다. 본 논문이 파악한 결과 3월에 가장 (초)미세먼지가 높았고, 8월에서 9월까지 (초)미세먼지가 가장 낮았다. 기상 데이터일 경우 (초)미세먼지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데이터가 평균 기온이며, 기상 데이터와 대기 환경 데이터일 경우 NO2가 (초)미세먼지 발생에 가장 크게 작용하였다.

딥러닝 기반 항생제 내성균 감염 예측 (Antibiotics-Resistant Bacteria Infection Prediction Based on Deep Learning)

  • 오성우;이한길;신지연;이정훈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05-120
    • /
    • 2019
  • 세계보건기구(WHO)를 비롯해 세계 각국의 정부기관은 항생제 오남용에 따른 항생제 내성균 감염에 대해 심각하게 경고하며 이를 예방하기 위한 관리와 감시를 강화하고 있다. 하지만 감염을 확인하기 위한 감염균 배양에 수일의 시간이 소요되면서 격리와 접촉주의를 통한 감염확산 방지 효과가 떨어져 선제적 조치를 위한 신속하고 정확한 예측 및 추정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Electronic Health Records에 포함된 질병 진단내역과 항생제 처방내역을 neural embedding model과 matrix factorization을 통해 embedding 하였고, 이를 활용한 딥러닝 기반분류 예측 모형을 제안하였다. 항생제 내성균 감염의 주요 원인인 질병과 항생제 정보를 embedding하여 환자의 기본정보와 병원이용 정보에 추가했을 때 딥러닝 예측 모형의 f1-score는 0.525에서 0.617로 상승하였고, 딥러닝 모형은 Super Learner와 같은 기존 기계학습 모형보다 더 나은 성능을 보여주었다. 항생제 내성균 감염환자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감염환자는 동일한 질병을 진단받은 비감염환자에 비교해 J01 계열 항생제 사용이 많았고 WHO 권고기준(DDD)을 크게 벗어나는 오남용 청구사례가 6.3배 이상 높게 나타났으며 항생제 오남용과 항생제 내성균 감염간의 높은 연관성이 발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