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질병태도

Search Result 83,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Relationship of Knowledge about Disease, Illness Attitude, and Quality of Life for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COPD) (만성 폐쇄성 폐질환자의 질병관련 지식, 질병태도, 삶의 질에 관한 연구)

  • Bang, Yun Yi;Park, Hyoj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7 no.11
    • /
    • pp.410-422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knowledge related to disease(KRD), illness attitude, and quality of life(QOL) in relation to the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COPD).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regard to KRD in accordance with subjects' education, monthly income, mMRC(modified Medical Research Council) Dyspnea Scale, inhaled bronchodilator and antibiotic treatment.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respect to illness attitude according to monthly income and mMRC. In case of the QOL,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age, marital status, monthly income, inpatient status, history of hospital admission, oxygen use, comorbidity, mMRC, and inhaled steroid. It has shown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KRD and QOL(r=-.438, p<.001), illness attitude and QOL(r=.279, p=.001). Thus, it is important to grasp monthly income and mMRC, which are correlated with the three elements in common. As per assessment about COPD patients in the clinical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health coaching program for improving KRD and having a positive attitude based on the low-income group with taking interest in the circumstances of mMRC as well as objective test results.

에이즈와 언론

  • Lee, Hun-Jae
    • RED RIBBON
    • /
    • s.74
    • /
    • pp.20-22
    • /
    • 2007
  • 각종 언론을 포함한 대중매체는 우리나라 국민들이 전통적으로 가장 선호하고 있는 건강관련 정보원이다. 심지어 의사들과 같은 전문가들조차도 자신의 전공분야가 아닌 영역에 대한 의학정보는 주로 대중매체를 통해 얻고 있다. 따라서 어떤 질병에 대한 일반국민들과 의료전문가들의 인식 및 태도는 대중매체에 부여된 사회적 책무이행 여하에 따라 완전히 달라지기도 한다. 이러한 대중매체의 영향력은 새로운 질병문제가 대두되었을 때 더욱 크게 발휘된다.

  • PDF

한국사회의 에이즈, 그 현주소를 말하다.

  • 대한에이즈예방협회
    • RED RIBBON
    • /
    • s.80
    • /
    • pp.9-12
    • /
    • 2008
  • 본문에 소개하는 자료는 2007년도에 질병관리본부의 연구용역으로 실시된 [2007 에이즈에 대한 지식, 태도, 신념 및 행태 조사(서울대학교 병원 이진석 교수)] 연구 결과이다. 정부에서는 2005년부터 격년으로 전국민 대상 에이즈 인식 및 태도에 관한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2년간에 걸치 변화 정도를 비교 분석해 보았다. 정부는 이러한 조사를 기반으로 향후 국내 에이즈 예방 전략 수립에 좌표를 잡아갈 계획이다.

  • PDF

Attitudes, Perception and Preventive Behaviors for Health and Safety among College Students (건강과 안전에 대한 예방적 실천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Seo, Hwa Jeong
    •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 /
    • v.18 no.4
    • /
    • pp.169-176
    • /
    • 2018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risk perception and attitudes and preventive behaviors among college students with poor health and safety consciousness.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in students at three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from May 11 to 18, 2018. Four kinds of instruments were used for this study, questionnaires about attitudes, perception, prevention education and preventive behaviors. Results: The safety-related attitude depended on age: those aged <21 years had the best attitude. Education experience significantly affected perception. Preventive behaviors were more strongly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attitudes than with perception. The factor most significantly affecting preventive behaviors were attitudes to preventive health. Conclusions: To allow the students to change their awareness and behaviors related to sickness and accidents, first it is necessary to give education on a continuous basis so that they can obtain perception to cope with sickness and accidents;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behavioral guidelines related to accidents in each area so that they can practice and make it a habit through attitudinal changes.

'나눔의 힘'이 'AIDS'의 정복을 앞당길 수 있다!

  • Kim, Sin-Hye
    • RED RIBBON
    • /
    • s.79
    • /
    • pp.18-19
    • /
    • 2008
  • 인류의 건강을 해치고 생명을 위협하는 질병은 어떤 경우에도, 누구에게도 환영 받을 수는 없다. 차방전 없이 약국에 가서 가장 쉽게 구입할 수 있는 약이 감기약이다. 하지만 아무리 흔한 병이고 치료 방법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다고 해도 감기는 친근하면서도 무서운 질병이다. 각종 보험 상품으로 대비할 수 있고, 현대 의학이 정복했다고 하는 암 역시 여전히 듣기만 해도 고개를 내젓게 된다. 그러니 예방도, 치료도 어려운 인류의 난제인 AIDS에 대한 우리의 태도나 마음이 긍정적이기 어려운 것은 당연한 일일지 모른다.

  • PDF

An Evaluation of the Student Performance and Perception of the Food and Nutrition Subject in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in Incheon, Korea (실과의 식품영양 단원에 관한 교사 학생의 인지 및 학생의 지식, 태도, 기능간의 상관 연구 -인천직할시 공립국민학교를 중심으로-)

  • 김수자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5 no.1
    • /
    • pp.97-111
    • /
    • 1993
  • 본 연구는 국민학교 실과 과목의 식품 영양 단원에 관한 교사, 학생의 인지 및 학생의 지식, 태도, 기능 평가를 위하여 71개 인천시내 공립 국민학교 4,5,6학년 교사 510명과 12개교학생 1,75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한 내용을 분석한 것으로 연구의 목적은 1)실과의 정해진 교육목표에 관한 교사의 인지정도 규명 2)식품, 영양 단원에서 교사가 중요하다고 인지하는 내용과 가르치기에 어려움을 느끼는 내용 규명 3)교사가 인지하는 식품영양 단원학습을 증진하기 위한 요소 4) 학생들이 흥미를 느끼는 내용 5)본 단원 학습 후 학생의 지식, 태도, 기능 정도 6)지식, 태도 기능간의 상호 상관관계 규명 등이며 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교사들이 인지하는 실과의 정해진 교육목표는 거의 모두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2. 교사들이 인지하는 식품 영양 단원의 중요한 내용은 영양과 질병과의 관계, 식품위생, 식품저장 등이며, 가장 중요하지 않은 내용으로는 영양 필요량이었다. 또한, 지도에 어려움을 느끼는 내용은 영양 필요량, 조리준비, 식품구성/함유량 등이며 어려움을 느끼지 않는 내용은 영양과 질병과의 관계, 식품위생, 식품저장 등이었다. 3. 교사가 인지하는 단원 학습 증진을 위한 긍정적 요소는 적합한 실습설비와 자료, 시청가자료등이었고 부정적 요소는 남교사, 실험 실습이 필요한 부분은 숙제로 미루는 것 등이었다. 4. 학생들이 흥미를 느끼는 내용으로는 간단한 음식 만들기, 영양소의 기능, 영양문제 등이었고, 쥬스나 차 준비, 조리연료, 부엌용구 사용법 등은 흥미를 느끼지 못하는 내용이었다. 5. 학생의 학업성취 중 지식은 4학년이 식품위생, 기초식품군이, 5학년은 알맞은 조리용구, 조리원리, 6학년은 여가활용의 뜻, 올바른 예절 등이 90% 이상 바르게 답하였고 5학년의 삶은 달걀의 화학적 변화, 감자의 주된 영양 등은 60%이하였다. 6 태도 테스트 결과는 5학년이 4,6학년보다 약간 높은정도(Mn=3.653) 였으나 기능테스트에서는 4학년이 5,6학년보다 약간 낮게 (Mn=3.0) 나타났다(구체적인 것은 본문 참조). 7, 4, 5, 6학년 모두 지식, 태도 기능 간에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는데 특히 태도와 기능 사이에는 4학년 r=.7166, 5학년 r=.5175, 6학년 r=.6796을 나타내었고 지시과 태도(4학년 r=.1546, 5학년 r=.0872, 6학년 r=.2192)와 지식과 기능사이에서는 (4학년 r=.1631, 5학년 r=.0585, 6학년 r=.2521)태도와 기능간보다 약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 PDF

Managing Illness of Korean Immigrants in Transition (재미 한인들의 초기 이민 경험과 질병관리에 관한 고찰)

  • Im Eun-Ok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 /
    • v.10 no.1
    • /
    • pp.58-79
    • /
    • 1996
  • 재미 한인들의 급격한 증가와 더불어 미국 간호학의 한인들에 대한 문화적 지식의 유입을 필요로 하게 하였다. 더구나 기존 연구들은 한인들이 질병을 비효율적이며 부적절하게 관리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어 이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더욱 증가하였다. 기존 연구에 의하면 초기 이민 경험은 이민자들의 건강과 질병 관리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비평적 문헌 고찰을 통하여 초기 이민 경험이 재미 한인들의 질병관리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하여 살펴보고 이에 근거하여 재미 한인들을 위한 적절한 간호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했다. 의학도서 목록 전산망과 기타 문헌 자료를 이용하여 1966년부터 1995년까지의 의학, 보건학, 생물학, 심리학, 사회학 문헌들을 살펴보았다. 체계적인 문헌 고찰을 위하여 4개의 세부적인 주제 아래 문헌들을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첫째. 일반적인 이민자들의 초기 이민경험, 건강, 질병 관리가 고찰되었고. 둘째로 재미 한인들의 초기 이민 경험이 고찰되어졌으며, 셋째로, 재미 한인들의 건강. 질병관리가 고찰되어졌고, 마지막으로 이들을 위한 간호의 방향을 제시해 줄 기존의 간호 모델들이 고찰되어졌다. 문헌 고찰 결과, 재미 한인들의 부적절한 질병 관리는 그들의 초기 이민 경험들과 관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문화적으로 결정되어진 신념이나 태도들이 재미 한인들의 적절한 질병 관리를 방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재미 한인들도 본국인들과 마찬가지로 질병관리를 위해 현대의학. 한방, 무속, 민간요법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한방의 사용이나 이러한 치료법들의 흔용은 한인들의 적절한 질병 관리를 방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화적 차이, 언어장벽, 그리고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차이점에서 오는 오해들이 재미 한인들의 질병 관리를 부적절하게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이민생활에서 오는 여러 어려움들 또한 재미 한인들의 질병관리를 어렵게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섯째. 사회적 지지의 부족 역시 재미 한인들의 적절한 질병관리를 힘들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적절한 간호 모델의 부재가 이들을 위한 적절한 간호의 제공을 어렵게 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를 두고 초기 이민 적응기에 있는 재미 한인들에게 적절한 간호를 제공하기 위한 몇 가지 제안들이 제시되었다. 첫째, 이민자들에게 적절한 간호가 제공되기 위해서도 문화적 배경을 고려해야 하겠다. 문화적으로 적절한 간호를 위해서 간호 제공자들은 자신들의 문화와 다른 간호 대상자의 문화도 존중해 주어야 하며, 문화적으로 결정되어진 건강 신념들과 질병 관리 행태도 생명을 위협하지 않는 한 존중해 주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간호제공자들은 자문화 중심적인 사고방식에서 벗어나야 하며, 간호 대상자들의 상황을 총괄적으로 이해하여야 하고 이민자들의 어려움에 대해 공감을 가지고 간호를 제공하여야 하겠다. 둘째, 간호 제공자들은 한방에 관한 지식을 가지고 한 의학 혼용으로 인한 위험으로부터 간호 대상자를 보호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문화적 차이나 자민족 중심적 사고방식으로 인한 오해를 막기 위하여 간호 제공자들은 간호 대상자와 자주 상호 교류함으로써 배우는 자세로 간호 대상자를 대하여야 할 것이며, 자신의 자민족 중심적인 사고방식을 인지하고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문화 집단별 차이를 앎으로써 오해의 소지를 줄여야 할 것이다. 넷째, 적절한 간호의 제공을 위하여 의사소통을 위해 대화만을 직접 번역해 주는 통역자와는 달리 문화적 배경까지도 이해하고 해석해 주는 문화적 통역자의 도움을 밟아야 할 것이다. 다섯째, 한국문화는 가족 중심적 문화이므로 간호 대상자의 혈연관계를 이해하고 그에게 크게 영향을 주는 가족원을 간호 중재에 참여시킴으로써 치료 효과를 높여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효과적인 간호를 위하여 재미 한인을 위한 적절한 간호 모델을 개발함으로써 체계적인 간호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 PDF

THE COMORBIDITY AND EMOTIONAL STATE OF THE ENURETIC CHILDREN (유뇨증 소아의 공존질병 및 정서상태)

  • Lee, Kyu-Kwang;Shin, Yun-O;Lee, Tae-Yong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v.8 no.1
    • /
    • pp.34-42
    • /
    • 1997
  • Enuresis is repeated involuntary or intentional voiding of urine into bed or clothes over age 5. Though it would be a self-remitting disorder, it could be serious problem in emotional and socio-adaptational aspects. The author reviewed the enuretic patients of Child & Adolescence psychiatric section i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uring past 3 years. 46(4.9%) of 936 patients were diagnosed as enuresis in DSM-Ⅳ. The author evaluated their comorbidity by the data of diagnostic review made in two psychiatrists, and emotional aspects(self-concept, anxiety, depression) through the self-rating scales (Piers-Harris children’ self concept scales, RCMAS,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for children, child’s depresson inventory). Thirty(65.2%) of the 46 enuretic patients had additional diagnoses such as attention deficit hyperactive disorder, mental retardation, encopresis, oppositional defiant disorder, depression, anxiety disorder, autism, somatoform disorder, tic disorder,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sleep disorder, etc. Sixteen enuretic patients had at least one comorbid disorder. Eleven patients had two, and three patients had more than three. Fourteen of 46 enuretic patients were evaluated through self-rating scales of self-concept, anxiety and depression. But we couldn’t obtain meaningful results. Maybe it was due to the small sample size(N=14) and the influence of the comorbid disorders. Finally, it was an impressive evidence that there exist many comorbid disorders in enuresis(esp. attention deifict/hyperactive disorder). In emotional aspects, the author thought that further evaluation should be needed for more meaningful results.

  • PDF

Phase of Nurse-Patient Relationships (인간관계 - 간호에 있어서의)

  • Yoo Kyung Za
    • The Korean Nurse
    • /
    • v.6 no.5 s.31
    • /
    • pp.92-100
    • /
    • 1967
  • Nursing Process의 일련의 합목적적인 성격을 평가할 때 간호계획은 환자의 질병을 자신의 중대한 학습경험으로 만듣는데 필요한 단계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환자 자신의 경험의 의미를 이해한다는 것은 nursing이 교육적이고 치료적이며 또 성숙시키는 힘으로써 기능을 하다록 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다. 환자의 곤란(질병등)에 대한 초기의 연상은 분화되고 문제에 포함된 모든 요인들을 정리하고 확대시킬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이들은 환자와 그의 목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문제에 대한 태도를 분명히 한다는 것은 새로운 환경의 도전에 의해 재생된 과거와 또는 새로운 욕구와 감정의 표현을 가져온다. 늘 풍부하고도 무조건적인 보살핌을 주는 보조자를 상징하는 nurse와의 동일시는 필요하다고 느끼는 욕구와 자기를 위협하는 문제를 처리하는 한 방편이 된다. 초기의 욕구가 처리되면 이들 욕구는 더욱 성장하여 더 성숙한 욕구가 다시 생기게 된다. 환경이 제시하는 것을 철저히 이용한다는 것은 문제에 대한 새로운 분화를 가져오며 인간관계의 기술을 개선시킨다. 개인적 노력을 통해 새로운 목표는 실현될 수 있다. 병원 환경에서 사회 생활에로 참여하는 것은 N-P relationship의 해결을 필요로 하고 새로운 사회적 상호 의존 관계를 위해 인격의 강화가 필요하다. 환경적 결핍 위에 resolution이 일어났을 때는 환자의 육구는 강화되고 전체적 경험의 동정이 제한된다.

  • PDF

The Importance of Treatment for the Patients with Chronic Pain (만성통증 환자 치료의 중요성)

  • Song, Ji-Young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 /
    • v.7 no.2
    • /
    • pp.252-255
    • /
    • 1999
  • Numbers of patients who have chronic pain seem to be increasing even in the psychiatric practice. One report in Korea showed more than 40% of psychiatric patients who visited out-patient clinic were suffered from chronic pain and one third of those patients were needed treatment for the on-going pain. For evaluating and treating those patients the charateristics of illness behavior should be understood. Abnormal Illness behavior was found a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which led symptoms complicated and chronified. This symposium was planned to illustrate how to manage the patients whose pain are associated with arthropathy and connective tissue diseases, neuropathic pain and headache more effectively and efficiently. So, It is hoped to get fruitful knowledges for the management of chronic pain in the scope of consultation-liaison psychiatr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