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질병단계

Search Result 257,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특집: 사료내 항생제 첨가금지에 따른 대처방안 -항생제 대체제의 종류 및 작용기전

  • Kim, Dong-Uk
    • Monthly Korean Chicken
    • /
    • v.17 no.6
    • /
    • pp.66-75
    • /
    • 2011
  • 국면의 먹거리를 책임지고 있는 우리 축산이 변화의 시기를 맞이했다. 2005년부터 "국가 항생제 내성관리사업" 일환으로 축산용 항생제 절감 정책이 추진되어 사용가능한 배합사료 제조용 항생제가 단계적으로 축소되어 왔는데 2011년 7월이면 전면 금지될 것이다. 배합사료 제조용 항생제 사용금지로 인해 생산성 감소, 질병 발생률 증가, 축산물 품질 저하, 치료용 항생제 사용량 증가 등의 문제가 유발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들린다. 그러나 효율적으로 대처한다면 축산 선진국으로 도약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성장촉진용 항생제를 사용한 목적은 가축 생산성 향상과 질병 예방에 있으며 이들의 배제 시 가장 우려되는 부분 역시 생산성 감소와 질병 발생 증가이다. 가축의 생산성을 높이고 질병을 예방하기 위해 기본이 되는 것은 그 주체인 가축의 강건성을 키워주는 것이다. 가축 건강 증진을 통해 질병 및 환경에 대한 저항성을 키워주고 양과 질적 향상을 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양질의 사료 제공 쾌적한 사육환경 조성, 현대화된 사육시설, 정확한 백신 접종 및 효율적인 차단방역 등 가축을 둘러싼 내 외부 환경의 종합적인 관리가 기본이 되어야 하지만 본고에서는 생산성 향상 및 건강성 증진을 위한 방법으로 부각되고 있는 항생제 대체제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 PDF

Word Representation Analysis of Bio-marker and Disease Word (바이오 마커와 질병 용어의 단어 표현 분석)

  • Youn, Young-Shin;Nam, Kyung-Min;Kim, Yu-Seop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5.10a
    • /
    • pp.165-168
    • /
    • 2015
  • 기계학습 기반의 자연어처리 모듈에서 중요한 단계 중 하나는 모듈의 입력으로 단어를 표현하는 것이다. 벡터의 사이즈가 크고, 단어 간의 유사성의 개념이 존재하지 않는 One-hot 형태와 대조적으로 유사성을 표현하기 위해서 단어를 벡터로 표현하는 단어 표현 (word representation/embedding) 생성 작업은 자연어 처리 작업의 기계학습 모델의 성능을 개선하고, 몇몇 자연어 처리 분야의 모델에서 성능 향상을 보여 주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Word2Vec, CCA, 그리고 GloVe를 사용하여 106,552개의 PubMed의 바이오메디컬 논문의 요약으로 구축된 말뭉치 카테고리의 각 단어 표현 모델의 카테고리 분류 능력을 확인한다. 세부적으로 나눈 카테고리에는 질병의 이름, 질병 증상, 그리고 난소암 마커가 있다. 분류 능력을 확인하기 위해 t-SNE를 이용하여 2차원으로 단어 표현 결과를 맵핑하여 가시화 한다.

  • PDF

equine protozoal myeloencephalitis, EPM (학술자료 I - 말 원충성척수뇌염)

  • Chae, Jun-Seok;Gang, Jun-Gu
    • Journal of the kore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 /
    • v.46 no.3
    • /
    • pp.245-263
    • /
    • 2010
  • 말 원충성척수뇌염(equine protozoal myeloencenphalitis; EPM)은 말에게 심각한 신경성 질병을 일으키는 원충성 질병으로서 Sarcocystis neurona가 원인체이다. 근육포자낭(sarcocyst)을 숨기고 있는 자연중간숙주를 포함한 S. nuerona의 완전한 생활사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주머니쥐의 일종인 opossum(Didelphis virginiana, Didelphis albiventris)이 최종 숙주이며, 말은 정상적 숙주로 알려져 있다. 왜냐하면 말에서는 분열체(schizonts)와 분열소체(merozoites)가 발견되기 때문이다. EPM 유사 질병들이 고양이, 밍크, 너구리, 스컹크, 태평양 점박이 바다표범, 포니, 바다수달 등을 포함한 다양한 포유류에서 발생한다. 고양이는 포자낭(sporocytes) 섭식 후 근육포자낭 단계를 숨기는 실험적인 중간숙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최근 국내에서 신경증상을 나타내는 말에 대한 의심스러운 임상증상이 임상수의사들에 의해 관찰되어졌는, 정확한 진단을 하기위하여 S. nuerona에 의해 발생된 EPM의 역사, 구조, 생활사, 생물학, 병리론, 동물에서 질병 유도, 임상 증상, 진단, 병인론, 생태학, 치료 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 PDF

Characterization of the Alzheimer's disease-related network based on the dynamic network approach (동적인 개념을 적용한 알츠하이머 질병 네트워크의 특성 분석)

  • Kim, Man-Sun;Kim, Jeong-Ra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25 no.6
    • /
    • pp.529-535
    • /
    • 2015
  • Biological networks have been handled with the static concept. However, life phenomena in cells occur depending on the cellular state and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only a few proteins and their interactions are selectively activated. Therefore, we should adopt the dynamic network concept that the structure of a biological network varies along the flow of time. This concept is effective to analyze the progressive transition of the disease. In this paper, we applied the proposed method to Alzheimer's disease to analyze the structur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disease network. Using gene expression data and protein-protein interaction data, we constructed the sub-networks in accordance with the progress of disease (normal, early, middle and late). Based on this, we analyzed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network. Furthermore, we found module structures in the network to analyze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the sub-networks using the gene ontology analysis (GO). As a result, it was shown that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dynamics network is well compatible with the stage of the disease which shows that it can be used to describe important biological events of the disease. Via the proposed approach, it is possible to observe the molecular network change involved in the disease progression which is not generally investigated, and to understand the pathogenesis and progression mechanism of the disease at a molecular level.

Factors Affecting Hospitalized Children's Falls - Using Data in the National Hospital Discharge In-depth Injury Survey (입원 아동의 낙상영향요인 -퇴원손상심층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 Lee, Jeong Woo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1 no.7
    • /
    • pp.510-516
    • /
    • 2020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and factors affecting inpatient infants, children, and adolescents who experienced falling, using NHDIS data from 2008 through 2017, The study analyzed data of 116 patients who were under 18 and who experienced injuries (KSCD, S00-S99) by falling (KSCD, W00-W19). Frequency analysis, cross-tabu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3. There were more boys than girls, and most of the falls occurred at the ages of over one to under six years old. Most of the children had respiratory diseases, and most had open wounds or bruises due to falling. Also, most of the falls were related to the bed. In the factor analysis, age (β=.318), the main diagnosis (β=.231), and injury (β=.169) except gender affected falling. This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conduct fall prevention education for children, considering the developmental stage characteristics and age group. It is necessary to screen the risk group such as children with a disease with relatively less restriction of activities or with a hyperactive disorder, and to develop a related manual. Hopefully, the results will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fall prevention education and creating a fall prevention manual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developmental stage for patients who need hospitalization, their caregivers, and the relevant medical team.

Objectives and Strategies of Government Health Promotion Policy (정부의 건강증진사업 목표 및 추진방향)

  • Lee, Jong-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Promotion Conference
    • /
    • 2005.09a
    • /
    • pp.3-32
    • /
    • 2005
  • 정부의 건강증진사업은 국민의 건강수명 연장과 삶의 질 향상에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이는 건강 지지적인 환경을 조성하고 질병을 예방${\cdot}$관리하며 평생 건강서비스를 제공하고 건강한 생활양식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건강증진사업을 위한 기반으로 연구와 개발 강화, 법과 규칙의 조정, 기금과 인력과 같은 자원 확보는 필수적이다. 정부의 건강증진전략은 첫째 자원할당의 우선순위를 확보하는 것으로 건강증진, 질병 및 손상의 예방, 재활관련 사업에 더욱 많은 자원을 할당하는 것이며, 둘째로 국가차원의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행하는 것이다. 포괄적인 생애주기별 건강증진 프로그램(건강증진종합계획)과 모아보건, 학교보건, 산업보건, 그리고 만성질환예방프로그램 등이 포함된 포괄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행하는 것이다. 셋째로, 건강증진기금을 공공보건을 위한 하부기반과 건강증진 프로그램에 투자함으로써 사업의 하부기반을 정비하는 것이다. 건강증진사업을 위한 하부기반으로는 정책과 위임사항을 들 수 있는데, 국민건강증진법과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05년 6월에 서울시 의회를 통과한 건강도시추진위원회를 들 수 있다. 정부의 건강증진사업의 법적 기반은 1995년에 제정된 국민건강증진법이다. 국민건강증진법은 국민들이 건강에 대한 가치를 인식하고 책임의식을 함양하며, 올바른 건강지식을 갖고, 국민들이 건강한 생활양식을 실천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건강증진사업은 대중을 위한 보건교육과 건강상담, 영양관리, 구강보건관리, 질병의 조기발견과 치료를 위한 건강검진, 지역사회 건강문제에 관한 조사와 연구, 담배소비 감소와 건강증진부담금 부과를 통한 국민건강상태의 향상을 위한 사업이다. 훈련과정으로는 보건복지부에서 2005년부터 수행하고 있는 시와 지역을 위한 현장관리 프로그램과 서울시가 수행예정인 지역수준의 지도자 훈련과정이 있다. 건강증진사업의 원활한 진행을 위한 기금조성은 건강증진기금이 담배세로부터 조성되고 있으며 2004년 12월 31일 현재 담배 한 갑 당 500원으로 인상되어 부과되고 있다. 기금의 관리와 운용은 보건복지부가 담당하며, 기금은 건강한 생활양식형성에 대한 지원활동, 국민을 위한 보건교육과 교육자료 개발, 건강증진과 만성질환에 대한 연구, 질병의 조기발견을 위한 건강검진, 구강보건관리활동에 사용되고 있다. 향후 건강증진사업 투자계획은 1단계 (98-02년)에는 사업기반조성기, 2단계(03-06년) 보건소사업발전기, 3단계(07-11년)통합사업정착기로 구성되고 2단계의 인프라구축에 사용될 투자 비율은 30%에서 3단계에 15%로 감소될 예정이며, 사업실행 영역은 50%에서 65%로 확대될 계획이다. 2005년 건강증진사업의 중점목표는 건강증진사업의 지방 분산화, 건강증진사업의 근거마련, 사회적 형평성의 달성에 있다. 건강증진사업의 지방분산화를 위해서는 중앙에 관리센터가 설치되어 기획과 평가, 연구와 개발, 현장관리 훈련을 담당하게 되고, 지역관리센터에서는 자치적인 보건소 중심 건강증진사업의 수행과 평가를 진행하게 된다. 건강증진사업의 근거마련을 위해서 효과가 입증된 사업에 우선순위를 두며, 기획과 평가위원회를 설치하고, 건강증진사업의 평가결과를 환류 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는 것이다. 또한 건강증진포럼을 구성하며 현 건강조사 체계를 수정한다. 한편 형평성 제고의 측면에서는 저소득층, 노인, 장애인들과 같은 취약계층의 건강상태 향상을 위한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을 강화하고, 지역간${\cdot}$사회적 집단 간의 건강증진사업관련 형평성을 제고한다.

  • PDF

미국의 건강하지 못한 사람들(Not-So-Healthy)을 위한 새로운 식품시장

  • Lee, Bu-Yong
    • Bulletin of Food Technology
    • /
    • v.12 no.2
    • /
    • pp.59-67
    • /
    • 1999
  • 지난 20여년 동안 미국의 건강식품 시장은 건강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연간 430억 달러에 이르는 시장으로 크게 성장했다. 지금까지 취급해온 건강식품은 대개 저 지방, 저 칼로리, 저 콜레스테롤 정도의 범주에 속하는 식품들이었다. 나이가 든 소비자들은 질병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데 있어서 건강과 식품 사이의 연관성에 대해 그들이 알고 있는 지식을 바탕으로 건강을 유지하는 노력을 계속하고 있기 때문에, 다음 단계는 건강하지 못한 소비자들을 위한 식품시장으로 눈을 돌려야할때인 것이다. 즉, 건강상의 중대한 문제점들을 안고 있는 많은 어린이나 성인들을 대상으로 한 식품을 개발하는 것이다. 건강상의 문제는 이미 질병으로 진단되었거나 자가 치료를 해야할 단계등으로서 비교적 간단한 의료적 처치를 꾸준하게 오랫동안 실시해야만 하는 상태이다. 이 시장은 지난 10여년간 잠재성은 있었으나 아직 미개발 상태로 있었다.

  • PDF

A balanced nucleotide supply makes sense (균형잡힌 뉴클레오타이드 공급의 효)

  • 한국단미사료협회
    • Feed Journal
    • /
    • v.2 no.8
    • /
    • pp.134-137
    • /
    • 2004
  • 가축사료에 유리 뉴클레오타이드의 사용은 질병의 유무와 상관없이 가축 성장 단계에 있어 발생하는 스트레스에 상당히 효과적이다. 양돈 및 양계 사료에 이미 접목 중인 DNA와 RNA의 합성을 위해 필요한 핵산은 양어 산업에도 효과적이다.(중략)

  • PDF

u-Healthy 기술 - (4) 센서의 헬스케어 응용분야

  • Na, Seung-Gwon
    • The Monthly Diabetes
    • /
    • s.288
    • /
    • pp.58-63
    • /
    • 2013
  • 센서의 활용 분야를 헬스케어가 이루어지는 주요 장소와 주체, 질병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예방, 진단, 모니터링의 3단계로 구분하여 센서의 으용을 설명한다. u-Health 기술 내용중 네 번째로 센서의 헬스케어 응용분야를 알아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