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진행성 암

검색결과 594건 처리시간 0.028초

A Case of Long-term Survival of Metastatic Pancreatic Cancer (전이성 췌장암 환자의 장기 생존 1예)

  • Jin Sil Pyo;Yong Woo Choi;Hoon Sup Koo;Kyung Ho Song;Yong Seok Kim;Sun Moon Kim;Tae Hee Lee;Kyu Chan Huh;Young Woo Kang
    •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search
    • /
    • 제2권2호
    • /
    • pp.72-74
    • /
    • 2014
  • Pancreatic cancer is well known to have a poor prognosis and poor responses to both of chemotherapy and radiation therapy. We report a metastatic pancreatic cancer treated successfully with chemotherapy and radiation therapy. A 71-year-old female with epigastric pain and weight loss was diagnosed as advanced pancreatic cancer with main vessels invasion and multiple mesenteric lymph node's metastasis. She was taken chemotherapy of gemcitabine single regimen and radiation therapy. Although she experienced one recurrence and concomitant primary lung cancer, she has survived for over 7 years with no symptoms. The authors report this case of long term survival in metastatic pancreatic cancer after chemoradiation therapy.

  • PDF

A Case of Tamoxifen-Associated Rapid Growing and Multiple Endometrial Polyps (타목시펜 사용과 연관되어 빠르게 진행하는 다발성 자궁내막폴립 1예)

  • Lee, Hee-Jun;Kim, Hoon;Ku, Seung-Yup;Han, Won-Shik;Kim, Seok-Hyun;Choi, Young-Min;Kim, Jung-Gu;Moon, Shin-Yong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7권2호
    • /
    • pp.173-179
    • /
    • 2010
  • The antiestrogen tamoxifen is currently the most commonly used adjuvant treatment of breast cancer with antiestrogenic effect on mammary tissue. However, it is also associated with endometrial abnormalities, including hyperplasia, polyps, carcinoma, mostly interpreted as evidence of estrogenic effect on the endometrium. Previously, tamoxifen-associated polyp in breast cancer has been reported in the literature. Most studies had a long follow-up period and tamoxifen-associated polyp developed more than 1 year after tamoxifen treatment. In this case, we report an unusual case of rapid growing and multiple endometrial polyps that were developed only after 3 months' tamoxifen treatment in a postmenopausal breast cancer patient who received quadrant mastectomy with a brief review of literature.

Result of Neoadjuvant Chemotherapy, Surgery and Radiation Therapy in Locally Advanced Breast Cancer (국소 진행성 유방암 환자에서 선행 항암화학요법의 치료결과)

  • Bae, Sun-Hyun;Park, Won;Huh, Seung-Jae;Choi, Doo-Ho;Nam, Hee-Rim;Yang, Jung-Hyun;Nam, Seok-Jin;Lee, Jeong-Eon;Im,, Young-Hyuck;Ahn, Jin-Seok;Park, Yeon-Hee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8권2호
    • /
    • pp.71-78
    • /
    • 2010
  • Purpose: To evaluate the result of neoadjuvant chemotherapy, surgery, and radiation therapy in locally advanced breast cancer as well as analyze the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survival. Materials and Methods: One hundred fifty-nine patients with breast cancer were treated by neoadjuvant chemotherapy between April 1995 and November 2006 at the Samsung Medical Center. Among these patient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105 patients treated with neoadjuvant chemotherapy followed by surgery and radiation therapy for a cure with an initial tumor size >5 cm or clinically positive lymph nodes. All patients received anthracycline based chemotherapy except for 2 patients. According to clinical tumor stage, 3 patients (3%) were cT1, 26 (25%) were cT2, 39 (37%) were T3 and 37 (35%) were T4. Initially, 98 patients (93%) showed axillary lymph node metastasis. The follow-up periods ranged from 7~142 months (median, 41 months) after the beginning of neoadjuvant chemotherapy. Results: Locoregional failure free survival rate and distant metastasis free survival rate at 5 years were 82.1% and 69.9%, respectively. Disease free survival rate and overall survival rate at 5 years were 66.1% and 77.1%, respectively. The results of a univariate analysis indicate that clinical tumor stage, pathologic tumor stage, pathologic nodal stage and pathologic TNM stag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for disease free survival rate and overall survival rate. Whereas, a multivariate analysis indicated that only hormone therapy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 for survival. Conclusion: The current study results were comparable to other published studies for neoadjuvant chemotherapy for breast cancer. Hormone therapy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 The patients with early clinical or pathologic stage had a tendency to improve their survival rate.

Detecting liver lesion using Object detection (객체 탐지를 통한 간 종양 검출)

  • Rhyou, Se-Yeol;Yoo, Jae-Cher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2년도 제66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0권2호
    • /
    • pp.343-344
    • /
    • 2022
  • 간암에는 크게 두 종류가 있는데 하나는 간에서 생긴 종양이 악성종양으로 진행된 것이고 다른 하나는 다른 장기에서 생긴 암이 간으로 전이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간에서 생긴 종양이 악성종양으로 진행되는 것을 조기 발견하고 막고자 Object Detect 모델인 YOLO v5의 다섯 가지 모델을 비교하여 악성 종양으로의 발전 가능성이 있는 간의 lesion을 찾아보았다.

  • PDF

Induction Chemotherapy with S-1 and Cisplatin in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Head and Neck : A Single Center Experience (국소진행성 두경부편평상피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S1과 시스플라틴 병용 유도항암화학요법에 관한 연구)

  • Yoon, Dok-Hyun;Cho, Yoo-Jin;Kim, Ji-Youn;Kim, Sang-Yoon;Nam, Soon-Yuhl;Choi, Seung-Ho;Roh, Jong-Lyel;Lee, Sang-Wook;Lee, Jeong-Hyun;Kim, Jae-Seung;Cho, Kyung-Ja;Kim, Sung-Bae
    • Korean Journal of Head & Neck Oncology
    • /
    • 제27권2호
    • /
    • pp.183-189
    • /
    • 2011
  • 서 론: 5-FU와 cisplatin 병용항암화학요법은 국소진행성 두경부편평상피암의 유도화학요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요법이다. 저자들은 5-FU 대신 경구제재인 S-1을 cisplatin과 병용하는 복합항암요법의 효과와 안전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저자들은 2007년 2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S1과 cisplatin의 복합유도화학요법을 시행받은 3/4기 구인두, 하인두, 후두, 구강 편평상피세포암 환자 52명의 치료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유도항암화학요법은 제 1일에 cisplatin(75 또는 60mg/$m^2$), 제1일부터 14일까지 S-1(40mg/$m^2$)을 1일 2회, 21일 간격으로 투여하였고 가능한 경우에는 항암방사선동시요법 또는 수술을 뒤이어 시행하였다. 결 과: 전체 52명 중 37명(71.2%)에서 부분반응을 보였으나 완전반응은 관찰되지 않았다. 2년 무진행생존율은 56.9%, 2년 전체생존율은 68.2%였다. 유도항암요법과 관련된 유해반응으로는 호중구감소증(71.2%) 및 빈혈(63.5%) 등과 같은 혈액학적 부작용이 가장 흔했다. 결 론: S-1과 cisplatin의 복합항암화학요법은 국소진행성 두경부편평상피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유도화학요법으로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항암화학요법에 의하여 골수억제가 수반된 진행암 환자에서 Recombinant Human Granulocyte-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rhGM-CSF)의 용량과 효과에 관한 비교 연구

  • 노재경;라선영;이경희;이혜란;정현철;김주항;김병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330-330
    • /
    • 1994
  • 항암화학요법후 가장 심각한 부작용의 하나는 중성구 감소에 의한 감염이다. 본원에서는 rhGM-CSF을 이용한 제 I상 임상연구에서 150-500$\mu$g/M$^2$/day가 biologically active dose임을 보고한 바 있다. 연자들은 연세암센터에 내원하여 진행성 악성종양으로 병리조직학적 진단을 받고 항암화학요법 시행후 골수억제가 예상되는 환자를 대상으로 GM-CSF 용량에 따른 안전성 및 독성을 검토하고 백혈구 감소증 및 감염의 예방, 치료효과를 분석하여 임상사용권장량을 결정하기위한 2상 연구덜 대상환자의 동의를 얻은후 시행하였다. 대상환자는 37명 (여 26, 남 11)이었고, 항암제는 Adriamycin, Cisplatin, VP-l6 이 주로 사용되었다. 최적임상사용권장량을 결정하기 위하여 1500$\mu\textrm{g}$/M$^2$/day을 12명, 250$\mu\textrm{g}$/M$^2$/day을 12명, 350$\mu\textrm{g}$/M$^2$/day을 13명의 환자에게 투여하였다. 첫번째 항암요법에는 rhGM-CSF을 투여하지않고 (비투여기) 두번째 항암요법에서는 항암요법후 익일부터 10일간 연속, 매일 1회 피하주사하여 (투여기), rhGM-CSF 투여기와 비투여기의 백혈구 감소중 정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 PDF

항암화학요법에 의하여 골수억제가 수반된 진행암 환자에서 Recombinant Human Granulocyte-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rhGM-CSF)의 용량과 효과에 관한 비교 연구

  • 노재경;라선영;이경희;이혜란;정현철;김주항;김병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306-306
    • /
    • 1994
  • 항암화학요법후 가장 심각한 부작용의 하나는 중성구 감소에 의한 감염이다. 본원에서는 rhGM-CSF을 이용한 제 I상 임상연구에서 150-500$\mu$g/M$^2$/day가 biologically active dose임을 보고한 바 있다. 연자들은 연세암센터에 내원하여 진행성 악성종양으로 병리조직학적 진단을 받고 항암화학요법시행후 골수억제가 예상되는 환자를 대상으로 GM-CSF 용량에 따른 안전성 및 독성을 검토하고 백혈구 감소증 및 감염의 예방, 치료효과를 분석하여 임상사용권장량을 결정하기위한 2상 연구를 대상환자의 동의를 얻은후 시행하였다. 대상환자는 37명 (여 26, 남 11)이었고, 항암제는 Adriamycin, Cisplatin, VP-16이 주로 사용되었다. 최적임상사용권장량을 결정하기 위하여 1500$\mu\textrm{g}$/M$^2$/day을 12명, 250$\mu\textrm{g}$/M$^2$/day을 12명, 350$\mu\textrm{g}$/M$^2$/day을 13명의 환자에게 투여하였다. 첫번째 항암 요법에는 rhGM-CSF을 투여하지않고 (비투여기) 두 번째 항암요법에서는 항암요법후 익일부터 10일간 연속, 매일 1회 피하주사하여 (투여기), rhGM-CSF 투여기와 비투여기의 백혈구 감소증 정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