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진통효과

검색결과 341건 처리시간 0.029초

전슬관절치환술 후 경막외 자가조절진통 약제에 혼합한 Naloxone의 효과 (Effects of Naloxone Mixed with Patient-Controlled Epidural Analgesia Solution after Total Knee Replacement Surgery)

  • 권민아;박효원;이애령;김태형;이관우;김석곤;최덕환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19권2호
    • /
    • pp.187-191
    • /
    • 2006
  • Background: Patient-controlled epidural analgesia (PCEA), using a local anesthetic-opioid mixture, has been effectively applied after total knee replacement (TKR) surgery, which is associated with intense postoperative pain that requires postoperative analgesia for both rehabilitation and the pain itself. However, adverse opioid-related effects, such as nausea, vomiting and pruritus, are commonly encountered. It was our hypothesis that the adverse opioid-related effects could be reduced by the addition of naloxone, an opioid antagonist, to a mixture of fentanyl-ropivacaine PCEA. Methods: In 120 patients undergoing elective TKR surgery, epidural or combined spinal-epidural (CSE) anesthesia was performed and PCEA applied. In the control group (n = 65), 0.16% ropivacaine and $3{\mu}g/ml$ fentanyl ($2.4{\mu}g/ml$ for those older than 65 yrs) were administered. In the naloxone group (n = 55), naloxone ($2{\mu}g/ml$) was coadministered with the above regimen. The incidence and severity of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and the frequency of pruritus, the visual analog score (VAS) and the PCEA volume used were assessed 6 and 24 hrs after surgery. Results: The incidence of nausea and vomiting during the early postoperative period, and those of pruritus during the late postoperative period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naloxone group. The VAS pain scores, the PCEA volume used and amount of rescue IV meperidine were similar in the two groups. Conclusions: A small dose of naloxone mixed with an opioid significantly reduces the incidence and severity of adverse opioid-related effects in PCEA, without reducing the analgesic effect.

정형외과 영역에서의 증식치료 (Prolotherapy in Orthopedic Field)

  • 손민수;유재철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01-110
    • /
    • 2011
  • 증식치료의 이론적 배경과 기전, 시술방법, 결과 및 합병증 등에 대하여 근거-중심의 문헌 고찰을 토대로 논의하고자 한다. 증식치료는 전통적으로 건 혹은 인대 이완으로 인한 통증을 포함한 만성적인 근-골격 계 통증의 치료법 중 하나로써 증식치료제를 주사하여 염증 반응을 유도하여 인체의 정상적인 치유 기전을 자극하는 최소 침습적 주사요법이다. 증식치료제는 크게 세가지 기전에 의하여 작용하며, 가장 흔히 사용되는 증식치료제는 10~25% 포도당이다. 최근 초음파 기기의 발달과 함께 증식치료에 있어서도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어 진단 뿐 아니라 초음파 중재 하 시술을 통해 효율을 높이고 합병증을 줄일 수 있게 되었다. 가장 흔한 합병증은 주사 부위의 통증으로 대개 자기한정적이고 진통제에 잘 반응한다. 그 외 합병증은 드물며 경험이 많은 임상의에 의해 시행되었을 경우 비교적 안전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증식치료는 근-골격 계 통증 및 관절 이완의 치료방법으로써 최근 재조명되고 있으나, 현재까지 보고된 결과들은 아직까지는 그 적응과 효과에 대한 확실한 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향후 적응이 되는 대상의 선택을 확실히 할 수 있는 신체검진 혹은 진단 기술 등에 대한 연구 혹은 주사요법과 다른 보존적 치료와의 비교 연구 등을 통하여 증식치료에 대한 근-골격 계에 있어서의 독립적이면서 효과적인 역할에 대하여 명확히 해야 할 것이다.

  • PDF

진행된 위암 환자에게 발생한 범복막염 치료의 완화의학적 접근 - 대한가정의학회 완화의학연구회 세미나를 기초로 하여 - (Panperitonitis with Advanced Gastric Cancer - Based on Seminar of Korean Family Medicine Palliative Medicine Research Group -)

  • 정윤주;김대균;최윤선;대한가정의학회 완화의학연구회;심재용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9권1호
    • /
    • pp.35-39
    • /
    • 2006
  • 진행된 암에서 발생하는 범복막염은 치료하지 않으면 탈수와 패혈증으로 사망할 것이 예측되고 수술적 치료 또한 높은 사망률과 합병증을 가져오며, 적극적인 수액요법과 비위관삽입, 항생제 치료 등도 아직까지 효과가 불분명하고 오히려 증상의 악화도 가져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대한가정의학과 완화의학 연구회 세미나에서는 77세 여자 환자로 진행된 위암과 암종증으로 완화의료를 받던 중 발생한 범복막염을 수술적 치료 대신 통증조절 및 증상 완화 위중의 치료를 하여 범복막염 발생 4일 후 평화롭게 임종을 맞이하였던 증례를 보고하였고, 이 증례를 계기로 암환자에서 발생한 복막염의 치료 및 관리에 대한 문헌 고찰과 토론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환자의 여명, 환자의 임상적 상태, 수술적 위험성 등을 고려 한 후 비수술적 완화요법을 선택할 수 있다. 통증조절을 위해서는 비경구용 진통제를 사용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일시적인 비위 영양관을 삽입할 수 있고 분비물이 적어지면 제거한다. 초기에 충분한 양의 비경구 수액요법이 시도될 수 있으나, 환자의 상태가 호전되지 않으면, 오히려 이로 인한 부종과 호흡곤란 등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최소한의 용량을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항생제 사용 및 중단 여부는 환자의 자기의사결정 및 보호자와의 논의 후 임상 상태와 여명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 PDF

식은 땀을 호소하는 진행성 암 환자에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 제제를 이용한 치료 (Non-Steroid Anti-Inflammatory Agents for Management of Cold Sweating in Advanced Cancer Patients)

  • 최혜정;송하나;강정훈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9권4호
    • /
    • pp.331-334
    • /
    • 2016
  • 목적: 진행성 암 환자에서 발열이 동반되지 않은, 암성 발한에서 NSAID (non-steroid anti-inflammatory drug) 치료 효과를 알아보고자 함이 목적이다. 방법: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의무 기록을 조사하였다. 1) 수술적 절제나 항암방사선 치료로 완치가 불가능한 진행성 암 환자 2) 숫자평가등급 4점 이상의 식은 땀을 호소하며 발열이 동반되지 않은 환자 3) 식은 땀의 원인이 될 만한 감염이 없고, 마약성 진통 및 호르몬 차단제를 현재 최근 1개월 이내 새롭게 사용하지 않는 환자 4) 식은 땀 치료를 위해 NSAID를 사용하고, NRS 평가가 치료 전 후 시행한 환자. 결과: 총 13명의 환자가 등록되었다. 남자가 9명(69%)이었고, 평균 59세(범위: 50~71)였다. 암종별 빈도는 담도암, 췌장암, 위암, 전립선암 순이었다. 치료 전 환자들의 식은 땀은 평균 NRS 6.5 (최소값: 4, 최대값: 10) 이었고, 치료 후에는 NRS 1.9 (최소값: 0, 최대값: 5)이었다. 평균 추적 관찰 기간은 9.1일이었다. 결론: 진행성 암 환자에서 열이 동반되지 않은 중등도 이상의 식은 땀 환자에서 NSAID는 효과적인 치료방법이다.

소세포폐암 환자의 암성 통증에 대한 전침치료의 즉각적 진통 효과 1례 (Acute Analgesic Effect of Electroacupuncture on a Cancer Pain in a Small Cell Lung Cancer Patient : a Case Report)

  • 홍미나;이지혜;박혜림;이혜윤;조민경;한창우;박성하;김소연;권정남;이인;홍진우;최준용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689-694
    • /
    • 2014
  • We report a female small cell lung cancer patient in the extensive stage(T3N3Mx). After 6 cycles of chemotherapy combined radiation therapy, she received inpatient Korean medical care including herbal medicine, acupuncture therapy and concurrent western oral medications of opioid analgesics and anti-anxiety agent. The chief complaint was right side thoracic wall pain which had started after chemotherapy and was not effectively controlled by analgesics. For this condition, we treated her with 2Hz of constant electrical stimulation on Jiaji (Ex-B2) points T5-T7 laterally (right) using three needles for 20 minutes once a day for 9 days. With every session of electrical acupuncture treatment, thoracic pain decreased acutely. Korean medicine treatments including Jiaji (Ex-B2) point stimulation might be tried for lung cancer patients with uncontrolled thoracic pain at least for the acute analgesic effect.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진통제의 투여시기가 구강외과 술 후 통증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 (The Effects on Postoperative Oral Surgery Pain by Varying NSAIDs Administration Times)

  • 정영수;김문기;엄유정;박형식;이의웅;강정완
    •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84-89
    • /
    • 2004
  • Background: Many studies on efficacy of preemptive analgesia have been processed in different ways. But the value of preemptive analgesia is still controversial.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algesic effect of an NSAID according to three different administration times for oral surgical pain. Patients and Methods: Using a randomized, parallel-group, single-center, and active-controlled test desig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healthy 80 patients undergoing a surgical removal of an impacted mandibular third molar requiring bone removal. The oral NSAID was first administered 1 hour preoperatively, or 1 hour postoperatively, or no scheduled administration in pre or postsurgery. Whenever patients felt at least moderate pain (score ${\ge}$ 5 on a 10-point scale) after surgery, they were instructed to take the same drug. Pain intensities and times to the first and second onset of postoperative pain from end of surgery were assessed for 24 hours. Results: Of the enrolled eighty subjects in this study, 25 patients were assigned to preemptive, 26 to post-treatment and 29 to no treatment group. The demographic distribution and duration of surgery in the three groups were statistically similar. The mean time to first onset of postoperative pain was significantly prolonged in post-treatment group (277.2 minutes, p < 0.05) compared to preemptive (158.4 minutes) and no treatment group (196.5 minutes). The mean time to second onset of postoperative pai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hree groups.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was found among the mean pain intensities at the first and second onset of postoperative pain in the three groups. Conclusions: In this small selected group of subjects and limited study design, the analgesic effects of NSAID administered preoperatively were no longer effective for postoperative pain. The results in this population imply that scheduled postoperative analgesics before pain development are adequate for postoperative analgesia without preoperative administration.

  • PDF

암환자의 상복부 통증 치료에 대한 침의 효과: 무작위배정 대조군 연구 예비임상시험 프로토콜 (Efficacy of Acupuncture in Treating Upper Abdominal Pain in Cancer Patients: Study Protocol for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Clinical Trial)

  • 정진용;이현종;서정철;민보미;조민수;신임희;노운석;곽민아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31권1호
    • /
    • pp.33-39
    • /
    • 2014
  • 목적 : 본 연구는 복강신경총 차단술을 시행한 상복부 암성통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침치료가 암관련 통증을 감소시키는 효과적이고 안전한 치료법임을 증명하기에 적합한지를 알아보기 위한 예비연구이다. 방법 : 본 연구는 3주간 진행되는 무작위배정 대조군 예비임상연구이며, 총14명의 피험자들은 시험군 (복강신경총차단술+침치료)과 대조군 (복강신경총차단술)으로 무작위배정된다. 모든 피험자들은 복강신경총 차단술을 1회 시술 받으며, 오직 시험군의 경우에만 주 3회, 2주간 총 6회의 추가적인 침치료를 시술받을 예정이다. 1차 유효성 평가변수는 통증에 대한 VAS를, 2차 유효성 평가변수는 Painvison과 추가 진통제 소비량을 측정한다. 평가는 시험시작 전, 시험 1주, 2주 및 3주후에 이루어지게 된다. 결론 : 본 연구는 추후 본격적인 무작위배정 대조군 임상시험을 위한 예비연구로서, 본 연구를 통해 상복부 암성 통증치료에 있어서 침치료가 복강신경총차단술과 같이 병행치료 했을 때 임상적으로 유효함을 증명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해 줄 것이라 사료된다.

관절염 모델에서 가미청열사습탕(加味淸熱瀉濕湯)의 진통 및 소염 효과에 관한 연구 (Anti-nociceptive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Gami-cheongyulsaseub-tang in Arthritic Model)

  • 김일현;이하일;이세원;권영미;송용선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7-44
    • /
    • 2015
  • Objectiv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the effects of Gami-cheongyulsaseub-tang (hereinafter referred to GCST) on the inhibition of zymosan-induced pain in rats and collagen II-induced arthritis (CIA) in DBA/1J mouse. Methods As an acute inflammatory pain model, peripheral inflammation was induced by intraplantar injection of zymosan into the right hind paw in rats and then the hyperalgesia and pain regulating factors in spinal cord were analyzed. As a chronic inflammation model, the mixture of collagen II and complete Freund's adjuvant was treated into mice to establish rheumatoid arthritis and then body weight, thickness of hind paw, pathological change of spleen, immunological rheumatoid factor (IgG1, IgG2a, IgG2b, IgM and anti-collagen II),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bone injury were analyzed. Results In the acute inflammatory pain model, GCST significantly inhibited the thermal and mechanical hyperalgesia and the pain regulating factors, including Fos, CD11b, PKA and PKC, in the spinal cord with a dose-dependent manner. In the chronic rheumatoid arthritis model, GCST administration decreased arthritic index and paw edema as compared with CIA control group. In particular, GCST reduced significantly the serum levels of total IgG2a, IgG2b, IgM, and specific anti-collagen II, but not total IgG1. GCST also resulted in the attenuation of bone injury and spleen enlargement/adhesion in CIA mice. Moreover, the secre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TNF-${\alpha}$ and IL-$1{\beta}$ in CIA mice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GCST in a dose-dependent manner. Conclusions Comparison of the results in this study showed that GCST had anti-nociceptive and immunomodulatory effects. These data imply that GCST can be used as an effective drug for not only rheumatoid arthritic pain but also other auto-immune diseases.

백서 뇌내 Opiate 수용체의 일주기 변동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ircadian Rhythm of Opiate Receptor in Rat Brain)

  • 이무석;김기원;조규박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3-34
    • /
    • 1984
  • 실험적으로 명암주기 또는 암주기에 적응시킨 백서의 간뇌 homogenate에서 opiate receptor의 일중변동 유무를 검토하고, circadian rhythm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수종 중추작용약물의 영향을 보고 저 7 group에서 4시간 간격으로 1일 6회 maximum $^3H-morphine$ binding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L : D, 12 : 12에 적응시킨 대조군에서 maximum $^3H-morphine$ binding은 22시에 최고에 달하는 매우 유의한 일중변동을 보였고, 24시간 평균 $^3H-morphine$ binding치는 $0.45{\pm}0.03\;pmole/mg Protein이었다. 2) 지속적인 암적응을 시킨 D : D, 12 :12군에서 $^3H-morphine$ binding의 일중변동은 14시에 최하, 그리고 2시에 최고의 binding치를 보이는 만상성의 일주변동은 보였으며 대조군의 곡선과는 그 shape, Phase, 진폭, 최고 또는 최하 binding시기 및 24시간평균 opiate수용체의 수에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 3) 지속적인 암적응, reserpine, pargyline, imipramine, amphetamine 또는 chlorpromazine 처리는 opiate receptor의 일중변동을 변화시켰다. 4) 그러나 전 실험군에서 Kd치는 변동되지 않았다. 이상 실험성적으로 백서뇌내 opiate수용체의 일중변동은 수용체의 질적변동이 아닌 수적인변동에 의하고, 지속적인 암적응이나 circadian rhythm을 변동시키는 중추성 약물들이 opiate receptor의 일중변동을 변화시킬 수 있으며, 또한 동통을 포함하여 제종 진통제의 효과가 일중변동을 일으키는 것은 opiate receptor의 일중변동과 일정한 관계가 있을 것으로 추측하였다.

  • PDF

말초 신경병증성 통증 모델에서 소경활혈탕의 진통 효과 (Analgesic Effects of Sokyungwhalhyul-tang on Constriction Nerve Injury-Induced Neuropathic Pain in Rats)

  • 김경윤;정현우;최찬헌;김형우;김기도;심기철;김계엽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95-201
    • /
    • 2011
  • Nardostachys chinensis;Anti-proliferation;Cell cycle arrest;Differentiation;U937 cell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analgesic effect of Sokyungwhalhyul-tang(SKWHT) using the model of peripheral neuropathic pain model. A model of neuropathic pain was made by ligating left 5th lumbar spinal nerve of rats. After 1 days, the extract of SKWHT was orally administered daily. Ra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1) Control group(n=6), (2) Experimental group I(SKWHT-OA1, 100 mg/kg, n=6), (3) Experimental group II(SKWHT-OA2, 300 mg/kg, n=6), (4) Experimental group III(SKWHT-OA3, 500 mg/kg, n=6). After that, we examined the withdrawl response of neuropathic rats legs by von Frey filament and Hot plate at pre, $1^{th}$, $4^{th}$, $7^{th}$, $14^{th}$, $21^{th}$ days after the induction of neuropathic pain. And also we examined c-fos, GOT, GPT and histological study of Liver at 21th days. von Frey filament and Hot plate were increase in experimental group I, II, III than Con. especially group III was most significantly analgesic effect than the other groups at $14^{th}$, $21^{th}$ days. In c-fos protein expression on spinal cord, group III was most significantly reduction immunoreactivity at $21^{th}$ days and in blood serum GOT & GPT levels and histologic finding of Liver in all experimental groups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 Con at $21^{th}$ days.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SKWHT(500 mg/kg) may have a significant analgesic effect on the neuropathic pa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