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진주 주얼리 디자인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2초

담수진주의 보석학적 특성과 진주주얼리 디자인 제안 -색처리된 양식 진주를 중심으로- (Gemological Characters and Jewelry Design of Fresh Water Pearl -Focused on Color Treated Cultured Pearl-)

  • 김경진;김혜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154-161
    • /
    • 2010
  • 주얼리 산업은 점차 다이아몬드와 진주의 거래량이 증가하면서 활기를 띄고 있으며 최근의 진주 시장은 여러 종류의 진주들이 수입되어 규모가 확대되었다. 이에 진주의 보석학 특성을 파악하고 진주의 새로운 디자인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시중에 판매되는 양식진주 중 흑회색(그레이)계열과 브라운계열의 담수진주를 보석학적인 방법으로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염색처리한 담수진주로 판명되었다. 현재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초콜릿브라운과 그레이계열의 진주비즈를 사용한 디자인을 제안하고 CAD/CAM작업을 통한 예물 컨셉의 진주주얼리 디자인을 제안한다.

플라워 주얼리의 디자인 트렌드와 표현기법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Trends and Expression Techniques of Flower Jewelry)

  • 김연희;김미진;윤숙영;최병진
    • 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
    • /
    • 제43호
    • /
    • pp.123-138
    • /
    • 2020
  • 본 연구는 2011~2019년의 9년간 화훼장식 전문 월간지에 나타난 플라워 주얼리 작품을 추출하고, 추출된 플라워 주얼리 작품을 대상으로 표현유형, 표현기법, 사용된 식물재료와 비식물재료의 종류와 수 등을 작품별, 연도별로 분석하여 국내 플라워 주얼리의 트렌드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표현유형별로 살펴보면 머리장식의 경우 20.83%, 목걸이의 경우 57.29%, 귀걸이의 경우 5.21%, 리스트의 경우 10.42%, 기타 6.25%로 총 96작품으로 분석되었다(χ2=94.833, p<.001). 표현기법의 사용빈도를 분석한 결과 각 작품당 머리장식, 목걸이, 리스트는 5~6가지의 표현기법, 귀걸이는 2~4가지의 표현기법을 사용하여 제작되었다. 사용된 표현기법은 소재 결합기법 34.43%, 꽃과 잎의 이용기법 30.17%, 시각적 기법 16.63%, 집단화 기법 14.12%, 테크닉 강조기법 4.26%, 기타 0.39%로 나타났다(χ2=455.222, p<.001). 가장 많이 사용된 기법은 프레이밍 기법 16.63%, 노팅기법 16.44% 순으로 나타났다. 플라워 주얼리에 사용된 식물 재료는 절화의 경우 호접란 22.61%, 천일홍 13.48%, 글로리오사 9.57%, 에피덴드럼7.39%, 왁스플라워 6.96%, 골든볼 4.78% 등으로 나타났다(χ2=718.104, p<.001). 절지의 경우 말채나무 70.00%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다래덩굴, 노박덩굴, 능수버들이 각각 10.00% 사용되었다(χ2=10.800, p=.013). 절엽의 경우 엽란 24.65%, 아스파라거스 스마일락스 24.62%, 콩란 11.54%, 러브체인 6.15% 등으로 나타났다(χ2=269.385, p<.001). 열매의 경우 청미래덩굴의 열매 44.44%, 하이페리쿰 33.33%, 미국자리공 11.11% 등으로 나타났다(χ2=11.444, p=.022). 플라워 주얼리 제작에 사용된 비식물재료는 2mm 알루미늄와이어 47.34%, 카파와이어 33.73%, 1mm 알루미늄와이어 10.06% 등으로 나타났다(χ2=186.704, p< .001). 와이어 이외에 진주 53.57%, 리본 12.50%, 스팽글과 깃털 4.1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