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진병(疹病)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16초

편측성 치조. 구개 파열 환자에서 골 이식술의 치험레 (Case Reports of Bone Grafting in Unilateral Alveolar-palatal Cleft Patients)

  • 배윤호;박재현;이명진;이창곤;진병로;이희경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8권1호
    • /
    • pp.198-205
    • /
    • 1991
  • 본 저자들은 2명의 편측성 치조, 구개 파열 환자에서 장골능에서 얻은 골수 망상골로 late secondary bone graft를 시행하여 심미적 기능적으로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1. 한 증례에서는 골지지가 거의 없는 우측 상악 중절치를 발거하고 술전 교정치료로 변위된 치아의 배열과 소실된 공간을 회복한 후 골 이식을 시행하였고 다른 증례에서는 술전 교정치료 없이 보철물 제거후 골 이식을 시행 하였다. 2. 파열 변연부위에 골점막 절개를 한후 순측, 구개측 및 비점막을 거상 봉합하여 구비강 누공을 폐쇄한후 장골능에서 얻은 골수 망상골을 이식하였다. 3. 수술후 구비강 누공의 폐쇄로 비음이 개선되었고, 술후 6개월뒤 방사선 사진상 파열 부위의 골 재생을 확인후 결손 치아를 보철치료하였다.

  • PDF

구순 구개열 환자의 성장후 측모형태에 관한 두부계측방사선학적 연구 (A Cephalometric Study of Lateral Morphologic Features in Adult Cleft Lip and Palate Patients)

  • 장익준;손우일;송재철;진병로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8권1호
    • /
    • pp.112-122
    • /
    • 2001
  • 구순 구개열을 가지는 성인 남자 17명의 두 부계측방사선 사진을 McNamara씨 분석법을 중심으로 하여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구순 구개열 환자에서 Na. perpendicular to point A. SNA angle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작게 나와 두개저에 대해 상악이 후방에 위치하였다(p<0.01). Effective maxillary length, Maxillomandibular differential, Wit's appraisal 등이 구순 구개열 환자와 대조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 Effective mandibular length, Mandibular plane angle, Facial axis angle, Lower anterior facial height 등은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하악의 경사도, 성장방향 등은 정상이나 상악의 절대적인 길이가 작으며 이로 인하여 상하악간의 부조화가 생긴 것으로 사료된다. 구순 구개열 환자에서 pogonion to Na. perpendicular가 95% 신뢰구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작게 나와 하악이 두개저에 대해 상대적으로 후방에 위치하였다. 교정치료에도 불구하고 point A에 대해 상악 전치가 상대적으로 후방에 위치하였다.

  • PDF

삼척 흥전리사지 출토 불교공예품의 제작시기와 영향 관계 (The Manufacturing Time and Influence of the Buddhist Metal Artifacts Excavated from Heungjeon-ri Temple Site)

  • 이용진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6권1호
    • /
    • pp.46-61
    • /
    • 2023
  • 삼척 흥전리사지는 2014년부터 2020년까지 시·발굴조사를 통해 서원인 예불영역과 동원인 생활영역으로 나누어진 다원식 가람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흥전리사지의 시·발굴에서 금동투조장식과 청동정병, 금동사자진병향로의 사자 등 비교적 다양한 불교공예품이 출토되었다. 흥전리사지의 서원 금당지 출토 금동투조장식은 불전 장엄에 사용했던 금동번으로 추정되고 현재까지 발견된 통일신라의 금동투조장식 중 가장 수준 높은 예로 왕경에서 제작한 것으로 보인다. 동원 출토 금동사자진병향로의 사자와 청동정병은 생활영역에서 출토된 공양구로 행향 등의 의례에 사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사자진병향로는 왕경보다는 지방에서 출토된 것들이 제작시기가 앞서고 있어 지방에서 왕경으로 전파된 것으로 보이고, 청동정병은 석굴암 범천의 지물로도 표현되고 있어 8세기 후반 이전 왕경에 군지형 정병이 있었을 것으로 보이나 출토품이 없어 영향관계는 추후에 밝혀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청동대접과 청동합은 왕경의 월지와 황룡사지, 인왕동사지 출토품과 유사하여 왕경의 청동기명이 지방으로 확산된 것으로 생각된다. 청동인장은 흥전리사지 이외의 지방에서도 출토되었지만, 황룡사지 출토품과 형식과 인장의 서체 등이 동일하여 『삼국사기』 문무왕조의 기록처럼 왕경에서 제작하여 보낸 것으로 보았다. 더불어 인장의 '범웅관아지인(梵雄官衙之印)'은 흥전리사지가 당시 승단조직과 관련된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삼척 흥전리사지 출토 불교공예품은 '국통(國統)'명 비편 등의 내용으로 보아 비의 주인공이었던 선종 승려가 선종 사찰에서 9세기 전반에서 중반 경에 사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금동투조장식과 금동사자진병향로의 사자, '범웅관아지인'의 청동인장 등의 제작수준으로 보아 흥전리사지의 사격은 상당히 높았던 것으로 보이며, 9세기 전반에서 중반경 통일신라의 왕경과 지방의 공예품이 일방적인 영향이 아니라 양방향의 영향이 있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중요한 예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