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진료기관 이용

Search Result 192,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Medical Care Utilization Pattern of Medical Aid Program Beneficiaries (의료보호대상자(醫療保護對象者)의 의료이용(醫療利用) 양상(樣相))

  • Kim, Ju-Ho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v.17 no.1
    • /
    • pp.37-45
    • /
    • 198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problems in the medical aid program by reviewing the medical care utilization pattern of the beneficiaries. The data were abstracted from the monthly bills and vouchers for medical care of the whole benefi챠aries(17,527) in Gyeongsan Gun submitted by the physicians to county government for the period of 1 calendar year from October 1981 to September 1982. The number of medical aid beneficiary accounted for 12.7% of the total county population, a higher proportion than the national average-9.5%. Monthly primary care utilization rate per 100 beneficiaries was 9.3 persons with 14.0 visits and 42.9 medication days. for the 2nd and 3rd care, there were 1.7 admissions and 9.3 OPD visits per 100 beneficiaries per year. The beneficiaries of the first class medical aid program had a higher utilization rate of both the primary and secondary/tertiary care facilities. Females utilized more the primary care facilities than males while males utilized more the secondary/tertiary care facilities than females. A significantly lower utilization rate was observed in January than in the other months and this was seemed due to the renewal process of the medical aid certificate. Among 1,931 patients utilized the 2nd/3rd care facilities 84.4% was out-patients and the lowest ratios were in the minor specialties including ENT, ophthalmology, dermatology and urology. The average hospital days per in-patient were 21.2 days and OPD days per out patient were 4.7 days. The average hospital days for a psychiatry in-patient was 74.4 days which was the longest average hospital days among all the specialties. Average medical care cost per beneficiary in a year was W9,821:W24,240 for the 1st class and W7,464 for the 2nd class. The medical care cost for the primary care per patient was W3.901 and W840 per day compared with W49,875 per patient and W5,822 per day for the secondary/tertiary care. From the findings of this study following recommendations were made to improve the medical care program: 1) The renewal process of the medical care certificate should be expedited. 2) Minor specialty clinics should be designated as the primary medical care facility for the medical aid program to reduce the expenses by absorbing more patients referred to the secondary/tertiary care facilities directly. 3) The medical care cost for the primary care facility should be escalated to reduce the differential between the primary and secondary/tertiary care facilities.

  • PDF

초고속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진료시스템

  • 박경수;조동호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12 no.9
    • /
    • pp.124-132
    • /
    • 1995
  • 의료분야에서의 통신망 이용은 의료분야 전산화의 진전과 함께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이의 일환으로 외국에서는 의료용 화상정보 표현, 전송 및 검색을 위한 표준 프로토콜인 DICOM을 이용한 PACS를 개발, 시험 또는 상용화 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국내에서는 이러한 PACS 시스템의 도입이 미미한 실정으로, 삼성의료원을 비롯한 몇몇 대형 의료기관에서 PACS의 일부를 도입, 운영하고 있으며, 보험청구 및 환자정보 관리를 중심으로 한 의료분야 전산화가 꾸준히 이루어지면서 많은 병원에서도 PACS 시스템의 도입 및 원격 진료 서비스 제공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이러한 의료용 화상정보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문자기반 의료정보의 표현, 전송 및 검색을 위한 표준 프로토콜인 HL7(health level 7)을 이용하여 의료보험 등과 같이 직접적인 의료행위 이외의 기타 부가정보를 의료기관 사이 또는 의료기관과 비의료기관 사이에서 공유하고 있다. 이러한 의료분야에서의 통신망 이용기술과 함께, 현재 고속 통신망에서 많이 개발되어지고 있는 화상회의 시스템의 발전에 기인하여 원격 진료 서비스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는 원거리에 위치한 의료기관간에 표준 프로토콜을 이용한 의료용 화상 또는 문자정보 공유가 가능해지고, 고속 통신망을 이용한 화상회의 및 긴급성을 가진 대용량 화상정보의 실시간 전송이 가능한 점에 기인한다. 본 고에서는 이러한 원격 진료 시스템의 발전 배경 및 전반적 시스템의 구조와 특성을 고찰하고, 국내외의 원격 진료 시스템 활용 현황에 관하여 기술한다.

  • PDF

A Study on the Repeat Tests for Diagnosis at a Tertiary Hospital in Taegu City (3차진료기관(3次診療機關)과 환자의뢰기관간(患者依賴機關間)의 중복검사(重複檢査))

  • Park, Jae-Yong;Kim, Gui-Young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v.26 no.3 s.43
    • /
    • pp.457-468
    • /
    • 199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peat test rate for diagnosis at a tertiary hospital for the outpatients who were referred themselves to the hospital by the clinics and other medical facilities.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498 patients who visited outpatient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general surgery, orthopedic surgery and neurosurgery in the hospital between March 16 and April 11, 1992. This study was surveyed by the questionnaire about the tests for diagnosis at first level medical facilities, and then, was investigated by the medical record about the tests for diagnosis at a tertiary hospital. The proportion of test among the patients who utilized the first level medical facilities was 20.9% for the X-ray test, 10.6% for the urinalysis, 9.0% for the electrocardiogram, 3.4% for the computer tomogram and 6.4% for the ultrasonogram. At the tertiary hospital, the X-ray test was 45.2%, the liver function test was 24.1%, the urinalysis was 19.1%, and the electrocardiogram was 15.7%. The proportion of patients who possessed results of test for diagnosis at the first level medical facilities was 76.5% for the computer tomogram, and 31.3% for the ultrasonogram. As the repeat test rate between the first level medical facilities and the tertiary hospital, the thyroid function test was the first rank as 71.4%, the second rank was the routine CBC as 67.9%, and the third rank was the X-ray test as 64.4%. But among the patients that brought the result for tests at the first level medical facilities, the repeat test rate was as follow : the routine CBC was 75.0%, the liver function test was 72.1%, and the computer tomogram was 15.4%.

  • PDF

Mongolia Medical Assistance 'M-LIMS' Design and Analysis (몽골 의료지원용 'M-LIMS' 의 설계 및 분석)

  • Yang, Kyung-Sik;Ahn, Woo-Young;Park, Sung-Sik;Koo, Kyung-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4.07a
    • /
    • pp.437-441
    • /
    • 2014
  • 몽골은 현재 국민에 대한 의료 평등이 잘 되어있지 않다. 몽골의 의료 기관은 1,2,3차 기관 세 종류가 있는데 1차는 기본기관, 2,3차는 전문기관이다. 하지만 전문기관은 도시에만 존재하기 때문에 도시권 외 주민들은 전문기관의 의료 서비스를 받기가 매우 힘들다. 게다가 해외 의료 기관들도 모두 수도 울란바토르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그 격차는 더욱 더 심해진다. 이러한 의료 불평등을 조금이라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하는 것이 'M-LIMS' 이다. 'M-LIMS'는 기본적으로 이동식 병원이다. 'M-LIMS'에서는 환자 진료를 위한 몇 가지 기능을 제공한다. 첫 번째로 환자 관리를 위한 환자용 차트 작성이다. 두 번째로는 환자들의 진료 상황을 볼 수 있는 리스트 검색 및 공유 기능이다. 세 번째로는 환자들의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규격화 된 차트로 변환하는 차트 작성 기능이다. 그리고 네 번째로는 차량 내 의사뿐이 아닌 다른 의사도 진료에 참여 할 수 있는 원격 진료 기능이다. 이렇듯 'M-LIMS'의 기능을 이용한다면 몽골의 의료 평등에 한 걸음 더 기여를 할 수 있지 않을까 기대를 한다.

  • PDF

충북지역 보건진료원이 업무 분석적 연구

  • Kim, Hui-Ja
    • Research in Community and Public Health Nursing
    • /
    • v.1 no.1
    • /
    • pp.174-175
    • /
    • 1989
  • 본 연구는 보건진료원의 업무를 분석하기 위하여 충북에서 활동하고 있는 보건진료원 136 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흥해 자료수집을 하였으며 백분률, 평균값, 표준편차로 자료처리를 하였다. 조사기간은 1968 년 8월 1일부터 11월 20일까지 했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보건진료원의 일반적 특성과 업무에 관련 된 배경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보건진료원의 일반적 특성으로 연령 분포는 30 - 34세가 30.1 %로 가장 많았고 결혼 상태는 기혼자가 61.8 % 였다. 종교는 기독교가 42.6% 로 많았고 학력은 3 년제 간호전문대학 과정졸업 자가 78.9 %로 많았다. 현 가족과 동거상태에서 배우자와 자녀가 함께 사는 경우가 76.5% 였고, 보건진료원의 경력은 1 년 마만이 41.2 %로 가장 많았다. 보건진료원의 업무에 관련된 배경을 살펴보면, 근무지역조건은 갑지가 65.3 % 였고, 현 거주지는 보건진료소내 숙소가 대다수 였다. 보건진료소는 신축된 건물이 대다수였고, 보건진료소 시설은 '그저 그렇다'고 대답한 수가 가장 많았다. 보건진료소 운영협의회 수당은 월 $5\sim7$만원인 경우가 85.6 % 였다. 2. 보건진료원의 보건의료제공 실태는 다음과 같다. 보건진료원이 현재 담당하는 주민수는 $501\sim1,000$ 명이 35.3 % 이고, 1,500 명 이상의 주민을 담당하는 경우도 32% 였다. 보건진료소를 이용한 주만은 연평균 1,956 명이고, 보건진료소 평균 이용건수는 1,812건이다. 보건진료원의 직업만족도는 만족한다가 40.6%로 대체로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3. 보건진료원과 보건의료 관련기관과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지역주민의 보건의료자원 이용 정도는 보건소 진료소가 1 위로 가장 많았고, 약국, 약방, 의원, 보건지소의 순위로 나타났다. 보건의료 관련기관과의 협조가 잘 되고 있지 않다고 응답한 경우도 있는데, 보건소(19.7 %), 보건지소( 20.2%) 민간보건 의료기관(22.4 %)이며, 그 이유를 알아서 협조가 잘 이루어지도록 노력해야겠다. 원하는 감독체계는 보건소장(47.3 %), 보건간호 전문가(37.2 %)로 나타났으나 이는 현재있는 감독체제내에서 생각한 것이며 간호전문가에 의한 새로운 감독체제를 원하고 있었다. 많이 이용하는 의뢰 기관은 병원(52 %), 의원(24.4 %), 보건소(10.2 %) 순이었다. 4. 보건진료원의 업무 영역별 수행정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보건진료원의 업무 영역을 7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수행평균 평점을 보면통상질환 관리가 3.70점, 사업운영 관리 및 지도가 3.44 점, 사업계획 수립이 3.19 점, 지역사회 조직 및 개발이 3.17 점, 모자보건 및 가족계획이 3.14 점, 지역사회 보건관리가 3.09 점, 보건 정보체계 개발이 3.02 점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에서 지역사회 보건관리가 3.09점으로 통상질환 관리 3.70 점 보다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일차보건의료 사업 정착의 과도기적인 현상으로 생각하며, 이 부분을 더 많이 수행해야 할 것으로 사려된다. 5. 보건진료원의 업무 영역별 수행 소요시간의 평균은 다음과 같다. 지역사회 조직 및 개발 3.48 시간, 사업계획 수립 3.55 시간, 지역사회보건 관리 6.74 시간, 모자보건 및 가족계획 5.55 시간, 통상잘환 관리 15.94시간, 사업운영 관리 및 지도 4.39시간, 보건정보체계 3.62 시간으로 나타났다. 보건진료원이 통상질환 관리와 더불어 예방활동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적절한 행정적, 교육적 지원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 PDF

The Selection of the Medical Institutions by Motivation of Medical Service Utilization (의료이용 동기에 따른 의료기관 선택요인)

  • Kim, Jeong-Yeo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3 no.11
    • /
    • pp.217-230
    • /
    • 2015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in how medical institutions are chosen according to the motivation of medical service utilization(minor disease, major disease, chronic disease management, cosmetic). Importance order of selection for the minor disease were medical skill, kindness, rapidness, proximity, importance order of selection for major disease and cosmetic were medical skill, facilities, reputation, medical fee, importance order of selection for chronic disease management were medical skill, facilities, kindness, medical fee. From this medical study skill was a more important factor in medical institutions irrespective of motivation, subjects with the major disease tend to consider the selection of the medical institutions more important, except proximity. Medical users select medical institutions according to the motivation of visiting, 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same motivation according to socioeconomic status and information searching behavior.

A Study on Active plan of Remote Medical Information Service System (원격의료정보 시스템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Lee, Gui-Won
    •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26 no.4
    • /
    • pp.53-61
    • /
    • 2003
  • This system Will allow primary and secondary treatment institutions poorly equipped with medical equipment to use Internet and book their patients' medical checkups with tertiary hospitals equipped with remote medical information system. This research aims to make theoretical studies on the remote medical service information sharing system and discuss its utility and factors to be considered for spreading the system. To efficiently push ahead with the remote medical service information sharing system, we need to be open-minded in sharing medical service information, establish comprehensive pursuit system, introduce incentive aimed at activating the information system, have close coordination with the central government, flexibly respond to changing technologies, and offer publicity and education.

  • PDF

Foreign Students' Use of Dental Treatment and Dental Institutions Study on Selection Criteria (외국인 유학생의 치과진료 이용실태와 치과의료기관 선택기준에 관한 연구)

  • Shim, Youn-Soo;An, So-Youn;Park, So-Young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11 no.7
    • /
    • pp.172-180
    • /
    • 202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ing oral health management plans by identifying the actual conditions of dental treatment use and criteria for selecting dental medical institutions for foreign students. The survey method was a survey of 145 foreign students at S University, and the collected data was conducted with the SPSS 24.0 progra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dental caries treatment was the most common among all nationalities in the dental experience. When the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was important, the will to use dental treatment in the future was positive. Therefore, in the future, it is required to revitalize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s and provide health care information for foreign students.

Medical Care Status of Married Female Immigrant for Medical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의료경영정보시스템을 위한 결혼이주 여성의 보건의료서비스 실태 조사)

  • Lim, Yong-Kw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2.01a
    • /
    • pp.257-260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주여성의 건강문제와 이들의 의료기관 이용 실태를 연구하여 의료경영정보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선수 연구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에 이용된 자료는 2010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원주의료원에서 진료한 289명의 원주지역 결혼이주여성의 진료기록을 통하여 조사된 것이며, 결혼이주여성의 일반적인 현황과 미충족 의료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통계청 통계포털자료와 2010년 원주시 통계연보를 활용하였다. 결혼이주여성의 의료서비스 이용은 소득수준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의료기관 이용 시 언어적 불편, 재정적 어려움, 가족의 지원 부족이 가장 많이 발생했다. 결혼이주여성의 진료지원 비율은 산부인과 진료비율이 가장 높은 24.3%, 내과 23.2%, 치과 7.9%로 나타났으며 결혼이주여성 자녀들의 소아청소년과 진료비율도 18.6%로 높은 진료비율을 나타났다.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의료서비스 향상과 의료경영정보 시스템의 구축에 도움을 줄 것이다. 또한 이주여성의 건강권 보호를 위한 국가적, 지역적 차원의 노력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XML Schema Mapping Agent for Clinical Information Sharing among various Hospital Information Systems (이종 병원 정보 시스템간의 진료 정보공유를 위한 XML 스키마 매핑 에이전트)

  • Jang, Hyuk-Jin;Lee, Sang-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05b
    • /
    • pp.951-954
    • /
    • 2003
  • 1 2차 진료 기관과 3차 진료 기관 사이에서 환자의 진료 정보 공유를 위하여. 많은 병원에서 Referral 시스템을 구성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종 병원 시스템간의 진료 정보 공유를 위한 표준화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현재 많은 병원 정보 시스템에서 자신만의 데이터 표현 양식을 이용하고 있어 실제로 정보의 공유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XML 스키마 매핑 에이전트를 소개하고, 진료 정보 공유를 위한 Referral 시스템 모델을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