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진로지도

검색결과 288건 처리시간 0.024초

충청북도 전문계 고등학교 운영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Operation Activation for Specialized High Schools in Chungcheongbuk-do)

  • 이상혁;지순덕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47-68
    • /
    • 2007
  • 이 연구는 충청북도 내 전문계 고등학교의 제반 문제점을 파악하고 도내 기업체의 요구 사항을 반영하여 전문계 고등학교 운영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도내 32개 전문계 고등학교 실과부장과 학과장을 대상으로 전문계 고등학교 학과 특성화 추진, 교사 교육, 교육과정 개편, 진로 지도 강화 방안 등에 대하여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충청북도 내 산업체의 인력 수요,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직업 능력 조사를 위하여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여 분석하였다.이 연구를 통하여 충청북도 전문계 고등학교 운영 활성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산업체의 요구에 따라 전문계 고등학교 교육은 외국어 기초 능력과 컴퓨터 활용 능력에 더욱 치중하여 교육해야 한다. 둘째, 인근 산업체와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을 더욱 확대 실시하여 취업률을 향상시켜야한다. 셋째, 전문계 고등학교 졸업생 중 80% 이상이 2년제와 4년제 대학에 진학할 경우 전문계 고등학교를 일반계 고등학교로 개편 운영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 네째, 오송 의료 단지와 오창 IT 공업 단지의 확장에 대비하여 BT, IT 관련 산업체에서 일할 수 있는 기초 지식을 갖출 수 있는 학과로 개편 운영해야 한다. 다섯째, 산업체 직원을 초빙 교사로 활용하고 학교장에게 교육과정 운영의 자율권을 주어야 한다. 여섯째, 공립학교 5년제 교사 순환 근무제를 전문계 고등학교 특성화학과에서는 10년 이상 근무로 바꾸어 그 학교의 주인 의식을 갖도록 해야 한다.

간호사 이미지, 전공 만족도가 남자 간호 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Nurse Image and Major Satisfaction on Nursing Professionalism of Male nursing students)

  • 임경민;김희영;박금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423-431
    • /
    • 2017
  • 본 연구는 남자 간호대학생의 간호사이미지와 전공만족도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는 B광역시, U광역시 소재 5개 대학의 1학기 이상 임상실습경험이 있는 남자간호대학생 180명이며 2016년 11월 15일부터 2016년 12월 15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 program을 이용하여 t-test, ANOVA, Scheff'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와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간호사이미지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평점은 3.95, 전공만족도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평점은 3.90점, 간호전문직관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평점은 3.79점이었다. 대상자의 간호전문직관 정도는 학년(p=.001)과 간호학과 선택권유자(p=.02)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간호전문직관과 간호사이미지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고, 간호전문직과 전공만족은 중간정도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전문직관을 설명하는 유의한 변수는 하위요인 중 사회적 이미지, 개인적 이미지며 54.6%, 전공 만족도의 하위요인 중 일반만족, 인식만족이었으며 전공만족도를 추가했을 때 60.6%로 전체설명력은 60.6%였다. 따라서 남자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을 높이기 위해서는 남학생들에게 간호사 이미지 인식 향상 교육과 전략이 필요하며 남자간호대학생이 전공 만족을 높일 수 있는 진로에 대한 긍정적 교육과 지도가 필요할 것이다.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Nursing Students' Major Satisfaction and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on their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 임경민;박정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195-205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학과 학생들의 전공만족도와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 기간은 2017년 7월 22일부터 8월 15일까지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를 위한 자료수집은 B광역시, U광역시, G시 소재 8개 대학의 간호학과 1, 2학년 학생 중 연구목적을 이해하고 자발적으로 연구 참여에 동의한 학생 중 부적절한 응답을 제외한 205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학생활적응 정도는 학년, 건강상태, 대인관계. 희망진로, 학교성적, 가정생활정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전공만족도가 높고,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높을수록 대학생활적응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회귀분석 결과 전공만족도가 대학생활적응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저학년들이 간호대학생으로의 전공에 대한 만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과내외의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적용하고, 입학시부터 지도교수나 교과담당교수진과의 다양한 의사소통이나 상담의 기회를 제공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일부 치위생과 학생들의 학과 만족도 및 적응도에 관한 조사연구 (The Research for the measurement of satisfaction and adaptation of the student of dental hygiene department)

  • 이지원;문희정;최미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3451-3457
    • /
    • 2009
  • 치위생과 재학생들의 대학 진학시 학과 선택 요인을 알아보고 학과 만족도 및 치과위생사에 대한 인식도를 알아봄으로써 학생지도 및 상담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경기, 강원, 충남, 경북, 경남 지역의 6개 대학 치위생과 재학중인 학생 85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행하였으며 SPSS 15.0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학년별 만족도 차이는 '대인만족도' '수업만족도' '시설만족도' '활동만족도' '과특성만족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5). 학과 선택시 결정요인에 따른 만족도의 차이는 '수업만족도' '활동만족도' '과특성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p<0.05), 학년에 따른 상담만족도를 보면 진로고민에서 3학년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모든 집단이 그렇다 이상의 인식이 나타났으며 학년이 높아질수록 상담만족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인식도는 학년에 따라 실무인식, 직업인식 모두 1학년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집단간의 차이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5).

권장도서목록을 활용한 독서토론활동의 설계 - D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 (Design of Reading and Discussion Activities using Recommended Book List: The Case of D University)

  • 윤유라;이은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325-350
    • /
    • 2020
  • 대학생에게 독서란, 단순히 자신의 인격을 수양하고 즐거움을 위한 개념을 넘어 사회의 변화를 인식하고 적응해나갈 수 있는 힘을 길러 줄 수 있는 중요한 인성 교육이자 진로 교육의 방법 중 하나이다. 이에 대학에서는 독서관련의 교양수업을 개설하거나 필수 학점을 구성하는 등의 강제적인 지도에서부터 대학생에게 적합한 인문·교양도서를 선정하고 그 목록을 제공하는 등의 간접적인 지원활동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대학생의 독서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본 연구는 현재 대학에서 운영하고 있는 독서지원방법 중 권장도서목록과 이를 활용한 독서활용방법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D대학의 권장도서목록과 독서토론프로그램의 현황을 파악하고 문제점을 알아보았다. 기존의 권장도서목록은 주제분야와 자료가 현시대상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제공되는 목록에 대한 정보도 서지사항정도에 지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권장도서목록을 활용방법에 대한 제안도 부재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제분야의 다양한 구성과 참조정보를 보완한 권장도서목록을 제안하였고, 하브루타를 활용하여 독서토론방법을 구조화하였다.

과학영재 중학생들과 일반 중학생들의 과학과 관련된 직업에 대한 인식 비교: 언어 네트워크 분석법 중심으로 (The Comparison of Perceptions of Science-related Career Between General and Science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 신세인;이준기;하민수;이태경;정영희
    • 영재교육연구
    • /
    • 제25권5호
    • /
    • pp.673-696
    • /
    • 2015
  • 학생들의 과학과 관련된 직업에 대한 인식은 이공계 직업동기와 과학학습동기에 큰 영향을 미친다. 특히 미래의 국가 과학기술발전의 핵심 동력인 과학영재학생들이 지속적으로 과학을 하는데 있어 과학관련 직업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연구는 언어네트워크 분석법을 통하여 중학교 과학영재와 일반학생들의 과학과 관련된 직업에 대한 인식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과학과 관련된 직종으로 구성된 네트워크를 구조화 한후,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여 두 집단의 인식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과학영재학생들과 일반학생들의 네트워크를 비교분석한 결과, 첫째, 과학영재들은 일반학생들에 비하여 과학과 관련된 직업의 종류에 있어 다양했으며, 직업명의 구체성이 있었다. 둘째, 물질과학자와 의사는 과학영재와 일반학생 모두의 과학관련 직업 인식망에서 가장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였다. 또한 교수, 컴퓨터 및 수학 관련 직업은 과학영재의 인식망에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중심성을 나타낸 반면, 일반학생의 인식망에서는 낮은 중심성을 보이며 과학영재와 일반학생들의 인식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셋째, 기술적 직업은 과학영재와 일반학생들의 인식망의 외곽에 위치하여, 학생들은 기술적 직업을 과학과 관련된 직업으로 쉽게 떠올리지 못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과학영재 학생들의 진로 지도를 위한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전남지역 대졸 청년여성의 지역노동시장 경험연구: 노동이동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gional Labor Market Experiences of Young Women in Jeollanam-do Province: Focusing on the Labor Mobility)

  • 전명숙
    • 산업노동연구
    • /
    • 제24권2호
    • /
    • pp.215-245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전남지역 대졸 청년여성의 지역노동시장 경험에 대한 세분화된 연구를 통해 청년여성의 지역노동시장정착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그동안 구체적인 사례연구가 부족했던 전라남도 대졸 청년여성들을 대상으로 지역노동시장에서의 노동이동경험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청년여성들의 노동이동을 경력내 이동과 경력간 이동으로 구분하여 노동이동의 원인을 확인하였다. 사례분석 결과 지역노동시장에 진입은 하였으나 평생경력을 찾지 못한 채 산업과 업종을 변경하면서 일자리를 탐색하는 경력간 이동이 경력내 이동 보다 더 많이 나타났다. 노동이동 원인은 취업준비과정에서의 문제점과 고용조건 및 환경요인으로 구분하였는데 경력간 이동은 경력내 이동에 비해 보다 더 다양한 요인들을 포함했다. 특히 경력간 이동에서는 취업준비과정에서의 문제점이 노동이동의 원인으로 부각되었다. 한편 경력내 이동의 경우 고용기간 만료 등 고용여건 때문에 이직을 하게 되나 이직은 본인들의 기존경력이 유지되는 방식으로 나타났다. 경력내 이동유형의 사례에서는 경력유지에 대한 강한 욕구가 나타났으며 동시에 지역이동의 가능성 역시 높게 나타났다. 사례연구에 기반하여 본 연구에서는 경력매치를 위한 체계적인 진로지도체계 강화와 함께 지속적인 경력개발지원을 위한 경력관리시스템 구축 등을 정책적 과제로 제안하였다.

과학중점학교 담당교사 관점에서 본 운영 효과 및 교육적 의의에 대한 탐색 (Exploring Science Teacher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in Operating Science Core Schools)

  • 최임정;이현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71-181
    • /
    • 2021
  • 본 연구는 과학중점학교에서 오랫동안 교육과정을 운영해온 과학교사들의 경험과 노력을 탐색함으로써 과학중점학교의 성과와 시사점을 되짚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과학중점학교 운영 경험이 많은 12명의 과학교사들과 개별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세 교사의 사례연구와 사례 간 비교 분석으로 제시하여 각 교사 간의 차이와 공통점을 효과적으로 나타내고자 하였다. 사례연구에서 소개된 3명의 과학교사는 과학중점학교 운영으로 인한 업무 부담이 컸음에도 불구하고 그 운영 효과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으며, 정부의 재정적 지원으로 마련된 실험실 등의 학교 교육 환경에 대해서 만족함을 드러내었다. 사례 간 분석에서 12명의 교사들은 모두 과학 체험활동을 운영하기 위해 많은 시간을 투자하고 학생 지도에 깊은 애정과 열정을 쏟았다. 그러한 노력이 학생들로 하여금 이공계 진로에 대해 고민하는 기회를 제공했을 뿐만 아니라 실제 이공계 진학률을 높이는 데에도 기여하였다고 믿고 있었다. 또한 차별화된 프로그램의 제공은 학교에 대한 지역 내 학부모와 학생의 인지도와 선호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었다고 응답하였다. 그리고 연구에 참여한 대부분의 교사들은 과학중점학교를 운영하면서 힘든 점도 많았지만 그 속에서 교사로서의 전문성이 향상되었으며 교사에 대한 자극과 수업방식의 변화를 가져왔다는 긍정적인 인식을 보였다.

머신러닝을 활용한 취업 예측 모델 설계: D대학교 졸업생을 중심으로 (Designing a Employment Prediction Model Using Machine Learning: Focusing on D-University Graduates)

  • 김성국;오창헌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61-74
    • /
    • 2022
  • 최근 청년 실업, 특히 대학졸업자의 실업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대학졸업자의 실업은 범국가적인 문제이기도 하고 대학 차원의 문제이기도 해서 각 대학들은 졸업자들의 취업률을 높이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하여 D대학 졸업생의 취업여부를 예측하는 모델을 제시한다. 사용된 변수는 개인정보, 입학정보, 학사정보 등 최대 138개를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나 향후 교육과정에 반영하기 위해서는 입학 이후의 데이터만 유효하게 작용하므로 제안할 항목은 학과별/학생별 취업률 향상을 위한 추천 역량으로 한정하였다. 즉, 입학성적 등은 입학 후 개인의 노력에 의해 향상이 불가능한 지표이므로 취업률 예측도를 높이는 용도 등으로만 활용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의 이념, 목표 및 인재상 등이 반영된 D대학교의 핵심역량의 분석을 통한 취업예측 모델을 구현해 보고, 새로운 핵심역량 예측 모델의 도입이 실제 취업에 미치는 영향을 머신러닝을 활용하여 평가하고자 수행되었다. 향후 연구결과를 학과별 교육과정 수립 및 학생 진로 지도 등에 적용하여 취업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사서교사의 미디어 정보 리터러시 수업 효과에 관한 연구 - 고교학점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s of Teacher Librarians' Media and Information Literacy Classes: Focused o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 강봉숙;박주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2호
    • /
    • pp.179-198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사서교사의 공동교육과정 미디어 정보 리터러시 교육 수업 사례를 고찰하여 사서교사의 교육적 역할을 소개하고 검증하는 데 있다. 해당 수업은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에서 두 명의 사서교사가 개설한 2개의 34차시 공동교육과정이다. 수업은 공통적으로 진로 또는 교과와 융합된 탐구 문제를 개별 학생이 스스로 설정하고 이를 해결하는 과정을 사서교사가 미디어 정보 활용 과정에 따라 지도하였다. 참여자는 과목을 이수한 대구의 고등학생 중 사전 사후에 모두 설문지를 작성한 22명이다. UNESCO에서 발표한 MIL의 구성요소인 접근, 평가, 생성의 하위 42개 문항으로 구성된 질문지를 통해 전체 수업 전후 각각 자기효능감을 측정하고 수업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3개 요소 모두, 그리고 하위 42개 항목 중 25개 항목에서 수업 전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사서교사의 미디어 정보 리터러시 교육을 통해 학생의 리터러시가 향상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미래 교육과정 흐름 속 사서교사의 교육적 역할의 효과에 대한 인식 저변을 확대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