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진동효과

Search Result 1,707,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Sound Radiation From Beams Under the Action of Harmonic Point Force (조화 집중 하중을 받는 보에서의 Sound Power 해석)

  • 김병삼;홍동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1.04a
    • /
    • pp.41-45
    • /
    • 1991
  • 구조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Relative Sound Power를 계산하는 문제가 최근 에 중요시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조화적인 집중하중에 대한 무한 탄성보 에서 방출하는 Relative Sound Power를 연구한다. Sound Power는 수치적으 로 적분되고 몇가지 인자들의 함수로써 적분인자를 표시하였다. Keitie와 Peng[2]는 진동하는 보로부터의 방출하는 Relative Sound Power에 대한 하 중 길이의 효과, 그리고 water 하중을 받는 보에서 방출하는 Acoustic radiation에 대한 Source 운동과 기초 강성의 효과를 연구하였다. 보의 진동 응답에서 light fluid loading과 heavy fluid loading에 의한 양쪽의 반응을 고 려한다. 보에는 기초 강성과 Damping 그리고 장력이 작용한다. water 하중 과 air 하중을 받는 보에서 Damping의 변화에 대한 보로부터 방출하는 relative sound power의 크기를 결정하였다. 일반적으로 인장력보다 압축력 이 작용할 때 relative sound power level이 크다는 것을 알고 있다. 실제로 인장력이나 압축력이 보에 작용할 때 relative sound power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가를 계산하였다. 그리고 진동계로부터 방출하는 sound fluid loading 과 기초 강성에 기인한 복잡한 효과를 해석하였다. 이 논문의 목적은 강성계 수와 wavenumber 비, 그리고 fluid loading에 대한 sound power의 응답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Variable Damping Semi-Passive Vibration Isolation for Enhancing Pointing Performance of On-Board Payload (위성 탑재채 지향성능 향상을 위한 가변댐핑 반수동 진동제어에 관한 연구)

  • OH, Hyun-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5 no.6
    • /
    • pp.533-538
    • /
    • 2007
  • A semi-passive vibration isolation control method for enhancing pointing performance of on-board payload has been derived, and its effectiveness has been evaluated through numerical simulation. The semi-passive control law proposed in this study was derived so as to obtain the same performance as a high passive damping at low frequencies and obtain the same performance as a passive low damping at high frequencies. In the numerical simulation, the intended vibration isolation performance of the semi-passive control law has been obtained.

진동의 표현과 진동기준

  • 김문겸
    •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 /
    • v.9 no.1
    • /
    • pp.4-7
    • /
    • 1996
  • 진동을 정량화하기 위해서는 진동변위, 진동속도, 진동가속도 등의 척도를 사용하여 진동의 크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각 국가별로 지반조건 및 사회적 특성에 따라 진동척도의 단위가 통일되지 않았고, 각 단위에 대한 진동기준도 다양하게 설정되어 있는 실정이다. 본 기사에서는 진동변위, 진동속도, 진동가속도로 표현된 진동기준을 국외에서 연구 제시된 자료를 중심으로 고찰하였으며 각기 다른 척도 및 단위로 표현된 기준들을 통일된 단위인 진동수준으로 표현하였다. 국내에서도 점차 진동문제에 대한 인식이 늘어감에 따라 진동기준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국내 실정에 적합하게 진동문제를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현장에서 계측하고 평가하기에 편리한 진동 표현방법의 기준설정에 대한 기초적인 준비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

Numerical study on flux of cohesive sediment by asymmetric oscillatory flow (비대칭 진동흐름에 의한 점착성 유사의 이동량 수치연구)

  • Son, Min-Woo;Jung, Tae-Hwa;Baek, Kyong-Oh;Cho,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505-509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천해 환경에서의 파형이 점착성 유사의 이동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이상적인 진동흐름(Oscillatory Flow)을 가정하고 점착성 유사의 이동에 적합한 1DV 모형을 적용하였다. 이상적인 진동흐름을 가정할 때는 다양한 파형을 고려하기 위해 왜곡되거나 비대칭적인 조건을 적용하였다. 크기와 밀도가 변화하는 점착성 유사의 응집현상을 고려하기 위해 기존에 개발된 응집현상 모형을 1DV 모형에 결합하였다. 2차 스토크스파 조건을 모사하기 위해 왜곡된 진동흐름, 톱니파를 모사하기 위해 비대칭 진동흐름 조건을 선택하였다. 수치모의 결과, 왜곡된 진동흐름 조건에서의 점착성 유사 이동량은 흐름의 왜곡도에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가는 비점착성 유상의 경우는 왜곡도와 주목할 만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비대칭 진동흐름의 경우는 점착성 유사와 비점착성 유사가 서로 다른 방향을 나타내었다. 앞쪽으로 기운 비대칭 진동흐름 조건에서 점착성 유사의 이동량이 뒤쪽 방향으로 발생하는 반면 비점착성 유사는 흐름이 기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유사량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현상의 원인으로는 Phase-lag 효과가 고려되었다. 유사의 침강속도와 농도 프로파일의 변화, 물의 유동 조건 등은 복합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Phase-lag 효과를 강화시키고 점착성 유사와 비점착성 유사의 이동량이 서로 다른 특성을 나타내게 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 PDF

A case study on the reduction of Blasting vibration using EDD in tunnel (터널에서 전자뇌관을 이용한 발파진동 저감 기술 사례)

  • Yoon, Ji-Sun;Lee, Jin-Moo;Cho, Young-G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Geotech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4.03b
    • /
    • pp.433-441
    • /
    • 2004
  • 국내 발파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폭약류에 강력한 폭굉력을 충분하게 발휘하기 위해서는 뇌관(Blasting cap, Detonator)의 역할이 중요하다. 그리고 이 뇌관의 정밀성에 따라 발파 효율의 차이가 있게된다. 초기의 도화선 및 공업뇌관에서 시작하여 현재 정밀성 면에서는 MS(Milli Second)뇌관의 경우 20ms또는 25ms의 정밀한 시차로 순차적으로 기폭함으로써 발파효과의 극대화와 소음 및 진동제어에 큰 효과를 이루었으나, 최근 개발된 진자뇌관의 경우 자체 IC회로를 내징하여 $1{\sim}2ms$의 초정밀시차(오차범위 $0.1{\sim}0.2ms$이내)의 구현이 가능해짐에 따라 이를 적절히 조합하여 설계함으로써 각종 제어발파, 파쇄도 향상, 암손상영역 저감 등의 효과에 대해 국외에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와 같이 도심지 발파 및 터널이나 노천 현장 근거리에 보안물건이 위치해 있어 진동제어가 절실히 필요한 상황에서 진동제어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전자뇌관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상황에서 본 연구는 앞으로 이루어질 전사뇌관에 대한 수많은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국내에서 최초로 2003년 9월 23일 강원도 양구 지역읜 00터널에 전자뇌관을 이용한 시험발파를 실시하였고, 발파에 의한 진동 등을 조사하여 그 효율성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전자뇌관의 특성과 장점을 최대한 살리기 위하여 각공을 발파하는 방식, 즉 1지발에 1공을 발파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비전기 뇌관과 전자뇌관으로 설계를 하여 각각의 발파효율을 비교하여 보았다. 그 결과 발파신동의 경우 비전기뇌관을 이용하여 1공씩을 1지발로 발파를 한 경우에는 18${\sim}$56%의 진동저감 효과가 있었고, 번 설계에 의해 진해오딘 발파에 비하여는 최대 70% 이상의 진동저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the Decay Effect of Ground Vibration based on the Number of PLHBM Holes in Gneiss Area (편마암지역에서 선대구경 수평보링 공수적용에 따른 지반진동 감쇠효과 연구)

  • Choi, Hyung-Bin;Han, Dong-Hun;Ki, Kyung-Chul
    • Explosives and Blasting
    • /
    • v.34 no.2
    • /
    • pp.1-9
    • /
    • 2016
  • In this study, the field tests were performed on V-cut, PLHBM 1 hole, PLHBM 2 hole in gneiss area in order to compare the effects of the vibration decay of a tunnel cut-hole according to the number of PLHBM holes with scaled distance. Based on the prediction equation of blasting vibration from the result of the tests, the decay rate of vibration were confirmed 21.8~61.1% using PLHBM 1 hole, 35.7~79.3% using PLHBM 2 hole for scaled distance within $10{\sim}100m/kg^{1/2}$ on the basis of V-cut PPV. As the scaled distance was increased, the effect of vibration decay was decreased. The effect of vibration decay of cut-hole for intial PLHBM 1~2 hole was significantly high.

Evaluation of Vibration Characteristics of Operating Rotational Machines Depending of Types of Foundation (기초형식에 따른 회전기기의 가동중 진동특성 분석)

  • Kim, Min-Kyu;Choun, Young-Sun
    •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 /
    • v.11 no.3 s.55
    • /
    • pp.63-72
    • /
    • 2007
  • The Emergency Diesel Generator (EDG) is a very important equipment for the safety of a Nuclear Power Plant (NPP). In this study, the operating vibration of three kinds of EDG systems was measured. The target EDG systems are Yonggwang 5 unit and Ulchin 2 and 3 units. The Yonggwang 5 and Ulchin 3 unit EDG systems are the same type but the foundation systems are different. One is an anchor bolt type and the other is a spring and viscous-damper type. The purpose of these measurements is for a verification of the vibration isolation effect depending on the foundation system. As a result, It can be said that the spring and viscous damper system of the EDG performed better for the vibration isolation than that of anchor bolt type.

전기장에 의한 물 분자의 O-H 신축 진동수 변화

  • Im, Jong-Hyeon;Jo, Dae-Heum;Lee, Jin-Yong
    • Proceeding of EDISON Challenge
    • /
    • 2016.03a
    • /
    • pp.8-14
    • /
    • 2016
  • 화학 결합을 이해하는 중요한 방법 중 하나는 결합이 가지는 고유한 진동 모드를 분석하는 것이다. 진동 모드의 변화를 관측함으로써 다양한 외부 자극과 분자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도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전기장이 가해진 물 분자의 진동 모드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전기장과 물분자의 상호작용이 화학 결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물 분자의 특정 O-H 결합 방향으로 전기장을 걸어주었을 때 신축 진동수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결합의 변화를 분석했다. 전기장에 따른 결합의 진동수 변화를 vibrational Stark effect (VSE)라 하고 그 정도를 Stark tuning rate ${\Delta}{\mu}$ ($={\Delta}v/{\Delta}E$, ${\Delta}v$ :진동수의 변화, ${\Delta}E$: 전기장의 변화)로 정의한다. 이때 Stark tuning rate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전기장에 의한 (1) 분자 구조 변화(geometric effect)와 (2) 전자 구조의 분극현상(polarization effect)으로 나누어 생각해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물 단일체, 이중체, 사중체의 O-H 결합에 대해 살펴본 결과, VSE 효과에 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전기장에 의한 구조 변화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전기장이 주는 전자 구조 분극 효과는 크지 않지만 이를 통해 유발되는 구조 변화에 의해 진동수 (또는 화학 결합의 세기)가 크게 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수소 결합 안정화로 인해 구조 변화가 쉬운 물 이중체, 사중체에서 VSE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물 클러스터에서 형성되는 내부 전기장과 O-H 결합의 포텐셜 비조화성(anharmonicity)이 VSE에 주는 영향에 대한 연구도 수행하였다.

  • PDF

Effectiveness of Focal Muscle Vibration on Upper Extremity Spasticity and Function for Stroke Patients : A Systematic Review (뇌졸중 환자의 상지 경직 감소와 기능 향상을 위한 국소 진동자극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Won, Kyung-A;Park, Ji-Hyuk
    • Therapeutic Science for Rehabilitation
    • /
    • v.7 no.3
    • /
    • pp.23-33
    • /
    • 2018
  • Objective : This systematic review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ocal muscle vibration in patients with post-stroke spastic hemiplegia. Methods : We searched literature published between April 2009 and October 2017 using PubMed and RISS databases. The main search terms were Vibration therapy, Focal vibration, Somatosensory, Upper limb, and Spasticity after stroke. Based on inclusion/exclusion criteria, 6 articles were selected. Results : Articles on focal muscle vibration intervention ranged from evaluation of application-only vibration to muscle vibration with task-oriented activity. Intervention effects on upper extremity spasticity and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were assessed.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on upper extremity spasticity, function, and cortical excitability. Conclusions : This study can provide information on focal muscle vibration for use by clinical therapists. However,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identify the optimal stimulation site and frequency/amplitude of application to maximize the effects of focal muscle vibration.

TCSC control for Damping enhancement of intra-area Power Oscillation between Yeongdong and West sea power generation sites (영동권~서해안 발전단지간 연계선로의 전력진동 제동력 향상을 위한 TCSC 적용방안)

  • Hur, Yeon;Choi, Jin-Sa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224-225
    • /
    • 2011
  • 전력진동(Power Oscillation)은 전력이 0.05 Hz ~ 3.0 Hz의 저주파로 진동하는 현상으로서 계통고장 등의 원인으로 의해 취약한 송전선로에서 발생된다. 전력진동의 종류에는 inter-area mode, intra-area mode, local mode 등이 있는데, 국내 전력계통에서는 향후 영동권 원자력단지와 충남 서해안 화력단지 간을 연결하는 초고압 송전선로에서 intra-area mode의 전력진동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TCSC를 적용하여 전력진동 제동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 국내 전력계통에 TCSC를 설치함으로써 전력진동이 효과적으로 감소됨을 보인다. simulation 결과, 전력진동이 5% 수준으로 대폭 감소됨을 알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