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진도-제주도

Search Result 228,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Distribution Patterns of Polychaete Assemblage and Benthic Quality Status Estimated by AMBI in Jindo-Jejudo Subtidal Areas (진도-제주도 해역에 서식하는 저서다모류의 분포양상과 건강도 지수를 이용한 저서환경 평가)

  • Kim, Kwang-Bae;Jung, Yoon-Jin;Oh, Jeong-Kyu;Kang, Hoon;Kim, Dong-Young;Lee, Dong-Hoon;Lim, Seong-Ryul;Son, Dae-Sun;Ma, Chae-Woo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30 no.4
    • /
    • pp.203-214
    • /
    • 2021
  • Assessment of benthic quality status was implemented along the subtidal areas of Jindo and Jejudo to understand faunal structure of polychaete assemblages and ecological quality of the benthic environment. Sediment analysis was characterized by well sorted of both mud and sand in Jindo, and a little higher sand in Jejudo instead. A total of 68 polychaete species were found at 14 sampling stations with a mean density of 231 inds./m2, and 61 species, 167 inds./m2 and 62 species, 295 inds./m2 in Jindo areas and Jejudo areas. Dominant species found in Jindo areas were Heteromastus filiformis, Ampharete arctica, Prionospio sp., Sigambra tentaculata, Thelepus sp. and Amphicteis gunneri, Ampharete arctica, Prionospio sp., Spiochaetopterus costarum, Heteromastus filiformis in Jejudo. With a help of cluster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sampling stations showed distinctive pattern of the distribution pattern and benthic quality status in Jindo and Jejudo except sampling station numbers 5 and 6, respectively. AMBI analysis the results were 1.2-3.4, grade V benthic polychaetes did not appear. It was evident that both Jindo and Jejudo had different sedimentary characteristics as well as distribution pattern of polychaete assemblages.

Vegetation Structure of the Major Habitat of Quercus acuta Thunb. in Korea (국내 붉가시나무(Quercus acuta Thunb.) 주요 자생지의 식생구조)

  • Song, Kuk-Man;Hyun, Hwa-Ja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8.10a
    • /
    • pp.47-47
    • /
    • 2018
  • 붉가시나무는 기후변화에 따라 분포 확산이 예측되고 목재로서의 이용가치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붉가시나무의 자원량 및 생육환경을 파악하기 위하여 국내 분포 및 자생지의 식생구조를 분석하였다. 분포 범위 조사 결과, 제주도를 비롯한 남해안의 도서지역에 주로 분포하는데, 제주도 남부지역 약 200~800m에 분포하며 가거도, 완도, 진도 등에 주로 분포하였다. 지역별 자생지의 입지분석 결과, 교목층의 수고는 제주도에서 17.3m로 가장 높고 가거도의 경우 11.3m로 가장 낮았다. 또한 가거도 자생지의 경우 노출암 비율 70.7%, 평균 경사도 약 $30^{\circ}$로 경사가 매우 급하고 토양층이 가장 빈약하였다. 반면, 제주도에서는 계곡 사면이나 완만한 경사의 산록지대에 주로 분포하였다. 자생지의 식생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종별 평균중요도지수를 산출한 결과, 교목층에서는 붉가시나무가 가장 높았다. 아교목층의 평균중요도지수는 제주도, 완도, 진도 자생지의 경우 동백나무가 각각 150.93, 83.54, 91.38로 가장 높았는데 이는 동백나무의 밀도가 상대적으로 높았기 때문이다. 반면 가거도 자생지에서는 붉가시나무의 평균중요도지수가 66.55로 가장 높게 산출되었다. 자생지 내 수종의 흉고직경에 따른 수고의 분포는 제주도, 진도, 완도 자생지의 경우 붉가시나무와 기타 수종이 전체 층위에서 고르게 분포하였지만 가거도 자생지에서는 상층일수록 경쟁 종없이 단일종이 분포하는 단순림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단순림에서는 일시적인 교란에 의해 상층 개체가 없어지면 안정적으로 후대 개체를 생산할 수 없기 때문에 숲 가꾸기와 같은 적극적인 조절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종다양도지수 분석결과, 층위가 높을수록 균재도가 낮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붉가시나무림의 조성이나 안정적 유지 등 인위적 조절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tudy the Analysis 60kv 80Mw HVDC on power system transient stability in Jeju-do (제주계통 60kv 80Mw HVDC의 과도안정도를 고려한 해석 연구)

  • Park, Kyoung-Ho;Lee, Wook-Hwa;Jung, Yong-Ho;Moon, Hyung-Bae;Na, Hyun-Kook;Lee, Deok-Jin;Yoon, Min-Ha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268-269
    • /
    • 2011
  • 제주도는 내륙과 EJfdjwu 있는 섬으로 독특한 계통 특성을 가지고 있다. HVDC는 제주 계통을 내륙 계통과 연계시켜 안정적인 전력 공급과 주파수 유지를 담당하고 있다. 현 제주-해남 사이의 이외에 추가로 제주-진도 사이의 2단계 HVDC가 2011년 12월 완공을 목표로 건설되고 있다. 1단계 HVDC와 풍부한 바람 자원을 이용한 풍력 발전 단지가 운영 중이고, 해안 풍력 발전 단지 뿐만 아니라 해상 풍력 발전단지도 건설될 예정이다. 또한 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가 제주도에 건설될 예정이기 때문에 향후 풍력 발전량이 더욱 증가할 전망이다. 2013년 이후부터는 추가 건설될 2단계 HVDC와 현재 운영되고 있는 1단계 HVDC가 협조 운전을 하게 된다. 풍력 발전 단지의 증가와 추가 HVDC는 제주 계통의 전원 구성에 변화가 예상된다.

  • PDF

제주도의 기생화산의 형성과 분포에 관한 연구

  • 이수진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6 no.7
    • /
    • pp.8-14
    • /
    • 1981
  • 본 연구 대상지역인 제주도는 신생대 제3기말에서 제4기에 걸쳐 형성된 화산도로 비교적 형성시기가 새롭고 침식이 미약하여 화산 원지형을 잘 보존하고 있어 화산지형 연구에 매우 적합한 지역이다. 본도에서는 주화산체인 한라산과 400여개에 달하는 기생화산으로 되어 있다.(중략)

  • PDF

제주 민.군복합형 관광미항 건설 개요 및 추진현황

  • 대한민군 해군 제주기지사업단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06a
    • /
    • pp.297-298
    • /
    • 2012
  • 제주 강정항은 2015년까지 국부와 안보를 지키는 21세기 청해진을 수행하기 위한 해군기지로서의 기능과 세계자연유산을 보유하고 있는 제주도의 관광산업을 활성화고자 15만톤급 초대형 크루즈 선박이 이용 가능한 민군복합 항만으로 건설될 예정이다. 또한 정부 시책에 발맞춰 친환경적인 설계와 공법으로 신재생에너지 기술을 접목한 미래 지향적인 친환경 민군복항으로 추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 민군복합항의 건설 개요를 바탕으로 항만시설의 규모와 현행 추진 현황 등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 PDF

A Protection System Reliability Review on #2HVDC Real-fault Analysis (#2HVDC(서제주-진도)의 실고장 분석을 통한 보호시스템 신뢰성 제고)

  • Kim, Myoung-Ho;Lee, Kang-Se;Yun, Ki-Seob;Heo, Min-Chul;Kim, Tae-Hwa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549-550
    • /
    • 2015
  • 국내에서 HVDC로는 2번째로 준공되어 2013년부터 상업운전 중인 진도-서제주간 #2HVDC 변환설비의 운전 중 설비에서 발생한 실제 고장을 분석한 내용으로 Rectifier단인 진도에서 발생한 고장과 Inverter단인 서제주에서 발생한 고장을 비교 분석하여 HVDC의 제어 보호시스템 설계의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 PDF

Statistical Analysis of ESDD on the Distance from the Coast (해안거리에 따른 ESDD의 통계적 분석)

  • Kim, Chan-Young;Kim, Dong-Myung;Chang, Joon-So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07a
    • /
    • pp.1474-1475
    • /
    • 2007
  • 해안거리에 따른 등가염분부착밀도(Equivalent Salt Deposit Density)의 수동오손측정은 동해, 서해, 남해의 해안가 및 제주도, 진도, 거제도의 도서지역에 설치되어 있는 112개소에서 매월 1개월 누적오손을 측정하였다. 이와 같이 수동으로 측정된 ESDD는 전력연구원에서 수행한 "전력설비의 염진해 대책에 관한연구(1988)" 및 "염진해 오손정도 및 기준정립에 관한 연구(2002)"에서 분석기법으로 활용한 통계분석기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 PDF

Studies on Characteristics of Natural Shell Sand as a Soil Amendment (자연패사(自然貝砂)의 특성(特性)과 토양산도(土壤酸度) 교정력(矯正力)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주도(濟州道) 및 진도산(珍島産을) 중심(中心)으로)-)

  • Lee, Yun-Hwan;Han, Ki-Hak;Park, Young-Dae;Kim, Bok-Jin;Hur, Il-Bong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v.15 no.3
    • /
    • pp.241-249
    • /
    • 1972
  • The characteristic and efficiency of natural shell sand in the coast of Cheju-Do and Jin-Do were studied to apply as agricultural lime for the soil acid adjustment. 1. The alkalinity of shell sand from Cheju coast was higher than that of Jindo and more weathered into fine particles.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s of Cheju shell sand were condensed finer particles than 32 mesh in Cheju shell sands and in more coarser particles than 32 mesh in Jindo one. 2. The effect of Cheju shell sand on increasing soil pH value in the upland condition was low at the beginning but more gradually increased after 8 weeks from the treatment than ground lime, and Jindo was very dull during the period of treatment. The commercial lime crushed from Jindo was approximately equal to the ground lime. 3. In the submerged condition, the shell sand of Cheju reacted with soil acid more quickly than ground lime after 2 days, and Jindo was very slow. 4. The relative efficiency of various particle size fraction of the shell sand was superior to the ground lime. The lime particles between 9 to 14 mesh and 20 mesh had more remarkable difference of pH value than other fine particles. The efficiency among finer sizes than 20 mesh particle was approximately equal to each others. 5. The shell sand from the Cheju would be applied directly as agricultural lime without any treatment, and Jindo also can be expected to be effective as agricultural lime with crushing procedu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