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진도군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36초

진도 주변해역의 새우류 자원분포

  • 장대수;차병열;오택윤;차형기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419-420
    • /
    • 2001
  • 본 조사에서는 진도군 주변에서 새우조망을 이용한 면허어업 허가를 얻기 원하는 4개 구역어장에 대하여 월별 어장환경조사와 어획시험 조사 둥을 실시하여 새우류의 분포 및 서식상태, 새우류의 종조성, 그리고 새우조망어업과 타 어업과의 관계, 새우조망에 의한 새우류 현존량 등을 파악ㆍ추정하므로서 진도군해역에서 새우조망어업의 조업 타당성을 검토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중략)

  • PDF

진도(전라남도 진도군)의 관속식물상 (Floristic Study of Jindo Island)

  • 한병우;나혜련;한국식물파라택소노미스트회;현진오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62-194
    • /
    • 2018
  • 진도군 진도의 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들의 분포를 파악하기 위해 2012년 5월부터 2014년 10월까지 총 48일, 22회의 현지조사를 수행하였다. 현지조사 결과 조사지역의 관속식물은 134과 437속에 속하는 704종 11아종 60변종 7품종 등 782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이 중에는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 끈끈이귀개, 지네발란 2분류군, 한반도 특산식물 14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중III등급 이상 53분류군이 포함된다. 귀화식물은 73분류군으로서 귀화율은 9.3%로 나타났다.

A Study on the Efficiency of Day 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in 22 Cities and Counties in Jeonnam

  • Seong-Bae Jeong;Yeon-Ju Le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10호
    • /
    • pp.247-256
    • /
    • 2023
  • 본 연구는 전남지역 22개 시·군 노인주간보호시설의 효율성 분석을 통해 노인주간보호시설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대안 제시에 연구목적을 두고 수행하였다. 연구를 위한 분석자료는 국민건강보험공단 노인장기요양보험 주요 통계(2022년)를 이용하였고, 투입변수는 시설 수, 종사자 수, 정원, 노인장기요양등급 인정자 수를 선정하였으며, 산출변수는 현원으로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 CCR은 고흥군, 곡성군, 광양시, 보성군, 영암군, 진도군이 가장 효율적이었고, BCC는 고흥군, 곡성군, 광양시, 구례군, 담양군, 보성군, 진도군이 가장 효율적이었으며, SE는 진도군, 곡성군, 광양시 순으로 가장 초 효율적인 지역으로 나타났다. 기여도 분석에서는 정원과 종사자 변수가 효율성 기여에 영향이 큰 변수로 나타났다. 개선 가능성 분석에는 시설 수 변수가 효율성에 영향이 큰 변수로 나타났다. 따라서 노인주간보호시설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시설수, 정원과 같은 수요와 공급 조정을 제언하고, 기여도가 큰 종사자의 전문성 강화 교육프로그램이 요구됨을 제언한다.

진도군 주변해역의 새우조망 어획물의 종 조성과 계절변동

  • 장대수;김영혜;오택윤;고정락;차형기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추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358-359
    • /
    • 2001
  • 우리나라 남해 서부 해역에 위치한 진도군 해역은 동부는 남해, 남부는 제주해협과 인접한 다도해로서 그 수심은 50m내의로 말은 천해역을 이루고 있다. 이 해역은 황해저층냉수, 황해난류수, 한국 남ㆍ서 연안수, 양자강 희석수 등 계절에 따라 이들 수계의 영향을 받고 있어 이들 수계간에 형성되는 조경역의 변동이 어장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한편, 부어류의 호어장을 형성한다(Gong and Cho, 1972). 또한 년도별 계절별 해황의 변동과 황해저층냉수의 소장에 따라 갈치, 삼치, 병어 등 주요 수산자원의 풍흉에 영향을 미치는 해양 환경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 (중략)

  • PDF

전(電)력질주 - 국내 최초 에너지 자립섬 '가사도'

  • 대한전기협회
    • 전기저널
    • /
    • 통권463호
    • /
    • pp.74-79
    • /
    • 2015
  •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에 위치한 섬 가사도. 이 섬마을 방문하려면 하루에 왕복 1차례 밖에 없는 배편을 이용해야 한다. 특별한 일이 아니고서야 방문할 마음조차 쉽사리 먹기 힘든 그러한 전형적인 섬마을이다. 이러한 섬마을에 일대 대변혁의 바람이 불기 시작했다. 지난 2012년 이후 정부와 한국전력공사가 추진하고 있는 마이크로그리드(MG)를 이용한 에너지 자립섬 시범단지로 자리매김했기 때문이다.

  • PDF

다도해 해상국립공원의 귀화식물 분포 특성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Dadohae National Marine Park)

  • 김하송;오장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87-196
    • /
    • 2010
  • 본 조사는 2006년 6월 9일부터 2008년 12월 30일까지 다도해 해상국립공원지역중 여수시 금오도, 거문도, 고흥군 외나로도, 완도군 청산도, 소안도, 보길도, 진도군 하조도, 신안군 우이도, 흑산도, 홍도 지역을 중심으로 이 지역에 분포하는 귀화식물의 분포 특성을 조사하였다. 조사된 귀화식물은 총 25과 100종이 조사되었다. 고흥군 외나로도에서 82종이 조사되어 전 조사지역에서 가장 많이 분포하고, 진도군 하조도에서 68종, 흑산도와 금오도에서 각각 52, 55종으로서 비교적 많이 분포하며, 신안군 우이도에서 34종이 홍도에서 42종이 나타나, 조사지역중에서 상대적으로 귀화식물이 적게 나타났다. 전 조사지역에서 공통으로 나타난 종은 오리새, 호밀풀, 큰이삭풀, 돌소리쟁이, 흰명아주, 미국자리공, 유럽나도냉이, 다닥냉이, 콩다닥냉이, 아까시나무, 토끼풀, 덩이괭이밥, 자주괭이밥, 코스모스, 개망초, 실망초, 망초, 개쑥갓, 큰방가지똥, 방가지똥, 도꼬마리 등 26종이 나타났다. 귀화식물 분포특성을 생육지의 특성에 따라 조림지역, 해수욕장, 항구, 공한지(나대지) 주변지역, 도로경계 주변지역, 도로절개지, 비탈면 주변지역, 폐경작지 지역, 쓰레기매립장 주변지역, 습지 주변 지역 등 7개 지역으로 구분하여, 각 지역별 주요 귀화식물 분포를 비교하였다. 다도해 해상 국립공원은 국립공원내의 독특한 자연경관, 생물종, 식생경관, 생태계를 보존하기 위하여 귀화식물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하늘지기속(사초과)의 신종: 진도하늘지기 (Fimbristylis jindoensis J. Kim & M. Kim) (A new species of Fimbristylis (Cyperaceae): F. jindoensis J. Kim & M. Kim)

  • 김종환;김무열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18-322
    • /
    • 2015
  • 사초과의 하늘지기속 신종인 진도하늘지기(Fimbristylis jindoensis J. Kim & M. Kim)를 전라남도 진도군의 저지대 산지 습지에서 발견하여 기재하였다. 진도하늘지기는 길게 뻗는 지하경이 발달하여 들하지기(F. pierotii Miq.)와 유사하다. 그러나 들하늘지기는 줄기 단면이 5-6개의 홈이 있는 원형이고, 화경이 짧으며(9-48 cm) 화기가 6-7월이고, 건조한 초지에 자라며, 소수가 10개 미만 달리는 단순한 화서인 반면에 진도하늘지기는 줄기 단면이 얕은 홈이 있는 타원형이고, 화경이 길며(57-93 cm) 화기가 7-8월이고 축축한 저지대 산지습지에 자라며, 20개 이상의 소수가 여러 번 갈라지는 복잡한 화서인 점에서 뚜렷이 구별된다.

전남 진도군 관매도 해안 방풍림의 식생과 관리방안 (Management Methods and Vegetation in a Windbreak Forest around the Coast of Gwanmaedo, Jindo-gun, Jeonnam)

  • 김하송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11
    • /
    • 2008
  • 본 조사는 2005년 12월부터 2007년 4월까지 총 4회에 걸처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 관매도 해안 방풍림을 지역을 중심으로 곰솔군락의 특성을 조사하고 생태학적인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관매도 해안 방풍림인 곰솔군락을 주요 구성종과 식생유형에 따라 교란형, 성장형, 혼합형, 안정형, 배후산지형 식생 등으로 구분하였다. 교란형 식생과 성장형 식생의 곰솔군락에서는 간벌, 풀베기, 솔아내기, 휴식공간 활용, 병든 소나무 벌목 등을 통하여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며, 혼합형 식생, 안정형 식생 그리고 배후산지형의 곰솔군락에서는 방풍림 산책로, 삼림완충지대 조성, 식생천이를 유도함으로서 자연식생을 복원할 수 있는 적극적인 해안 방풍림 보전이 필요하다. 조사지역에서는 해안 방풍림의 서식지 특성과 분포실태에 따라 해수욕장과 공한지 주변지역 관리, 배후습지 복원 관리, 외래식물 분포 억제 관리, 생물종의 다양성과 서식지의 다양성 유지 관리, 곰솔림의 고령화와 병충해 확산 예방 관리 등 생태학적인 관리방안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