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진도견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7초

진도개, 풍산개 및 잡종견의 혈액학치 및 혈액화학치에 관한 연구 (Studies on Hematologic Values and Serum Chemistry of Jindo, Poongsan and Mixed Dogs)

  • Sin-Keun Youn;Hiroshi Fujise;Yong Soon Lee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48-252
    • /
    • 1999
  • 본 연구는 진도개, 풍산개 및 잡종견의 혈액학 및 혈액화학치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총 80두가 본 조사에 이용되었으며 경기도지방, 제주도, 서울 및 전남지방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각각 진도개 30두, 풍산개 20두 및 잡종견 30두로 구성되었으며 성비는 각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진도개: 수캐=16, 암캐=14, 풍산개 : 수캐=9, 암캐=11, 잡종견: 수캐=15, 암캐=15). 연령은 진도개, 풍산개 및 잡종견 각각 1.3$\pm$0.9(년), 1.3$\pm$1.0(년), 1.3$\pm$ 1.6(년)이었다. 체종분포는 진도개, 풍산개 및 잡종견은 각각 9.0$\pm$4.5 kg, 9.8$\pm$4.0 kg, 8.4$\pm$4.7 kg이었다. 잡종견의 백혈구와 호중구수가 다른 두품종에 비해 유의성있게 높았다 (p<0.05). 풍산개의 림프구와 호산구수는 진도개와 잡종견의 수보다 높았다(p<0.05). 하지만 풍산개의 단핵구 수는 진도개와 잡종견보다 유의성있게 낮았다(p<0.05). 진도개의 콜레스테롤과 무기인 수준은 풍산개와 잡종개의 수준보다 낮았다. 잡종견의 중성지방(triglyceride)의 수준은 진도개와 풍산개의 수준보다 낮았다. 잡종견의 나트륨 농도는 진도개와 풍산개의 수준보다 낮았으며 진도견의 칼륨농도는 풍산개와 잡종견의 농도와 비교하여 높았다. 바베시아 검사에서 모든 품종에서 음성이었으며 심장사상충 검사결과 양성율은 잡종견, 진도견과 풍산견 각각 20%, 10%, 10%이었다.

  • PDF

심장사상충 감염 진도견에서 혈장 NT-proBNP 농도 증가 증례 (Elevation of Plasma NT-proBNP Concentration in a Korean Jindo Dog Infected with Dirofilaria immitis)

  • 황수현;박형진;서경원;이상은;송근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496-498
    • /
    • 2013
  • 본 증례는 충남대학교 수의과대학 부속동물병원에 내원한 심장사상충에 중감염된 2세, 암컷의 진도견에서 혈장 NT-pro BNP농도를 측정하였다. 심장사상충 감염은 신체검사, 혈액검사, ELISA 키트검사 및 영상진단검사 등으로 진단하였다. 본 증례 진도견의 혈장 NT-pro BNP농도는 심장사상충에 감염되지 않고, 다른 질병도 없는 5마리(모두2세, 모두 암컷)의 정상견과 비교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매우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정상견 평균: 373 pmol/L, 본 증례: 2,950 pmol/L). 본 연구는 우리가 아는 한 심장사상충에 감염된 진도견에서 혈장 NT-pro BNP농도를 측정하여 보고한 최초의 증례보고이다.

mtDNA D-loop의 염기서열에 의한 제주견과 우리나라 재래견 및 외국견품종과의 유연관계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Jeju Dogs to Other Domestic and Foreign Dog Breeds Determined by Using mtDNA D-loop Sequences)

  • 김미경;김남영;이성수;김규일;양영훈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3권4호
    • /
    • pp.303-310
    • /
    • 2011
  • mtDNA D-loop 970 bp의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제주견과 우리나라의 토종견인 진도견, 풍산견, 삽살견과의 관계와 외국 품종들과의 유연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초가변영역인 598 bp의 D-loop 부위가 보고된 염기서열들은 추가로 GenBank에서 수집하여 전체 30개의 품종으로부터 214종의 단상형들을 이용하여 AMOVA 분석을 하였다. 염기서열 분석결과 제주견에서 5종류, 진도견 4종류, 삽사리 4종류, 풍산견 5종류, 이스트라이카와 웨스트라이카(Canis familiaris) 각 2종류, 회색늑대(Canis lupus) 2종류, 코요테(Canis latrans) 2종류의 단상형을 얻었다. 한국, 일본, 중국, 유럽의 견품종 사이에 지역의 차이로부터 오는 변이성(1.4%)은 동일 지역에 서로 다른 품종들 사이의 변이(16.2%) 보다도 매우 적은 변이를 보이고 있었다. 개의 조상으로 여기는 늑대와 오늘날 개의 집단과의 염기서열 분산성분 분석에서 개(1.63%)와 늑대(3.64%)의 집단내 변이보다는 개와 늑대 사이의 진단간 변이(4.51%)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값을 근거로 하면 개와 늑대사이에 유전적 분기시기는 약 1~2백 만년 전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염기서열의 변이성과 유연관계분석에서 제주견, 진도견, 풍산견, 삽살견 모두 독특한 계통분기를 형성하지 못했다. 즉 이러한 결과는 국내 토종견들 사이와 또는 유입된 외래품종들 사이에 오랜 세월 동안 서로 상당한 교류가 있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제주견에서는 삽살이, 진도견, 풍산견의 염기서열과 가까운 유연관계를 보이는 단상형들이 산포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제주견 집단이 우리나라 재래종들과의 모계조상에 있어서 구분은 어려운 것으로 확인되었다. 제주견이 집단으로 고정정도를 가늠하는 Fixation index인 Fst값은 진도견, 풍산견, 삽살견 가운데 가장 낮게 나타났다.

진도견의 혈액상 및 혈액화학치에 관한 연구 - 제1보 진도견의 혈액상 (Studies on Hematologic Values and Blood Chemistry Values of Normal Jindo Dogs - 1. Hematologic Values for Jindo Dogs)

  • 박남용
    • 대한수의사회지
    • /
    • 제16권3호
    • /
    • pp.137-141
    • /
    • 1980
  • Hematologic values were determined in cephalic vein blood samples obtained from 20 males and 37 females adult normal Jindo dogs. 1. The mean values of red blood cell count, hemoglobin value and packed cell volume were $7.29{\pm}2.27{\times}10^6/{\mu}

  • PDF

진도견에서 발생한 소아 신증 (Juvenile Nephropathy in a Jindo Dog)

  • 박형진;이지윤;최호정;송근호;손화영;서경원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01-205
    • /
    • 2013
  • 일 년 령, 중성화 하지 않은 체중 20 kg의 진도견이 7일간의 구토와 식욕부진, 기면을 주호소로 내원하였다. 본 환자는 임상증상과 뇨검사, 혈청화학검사, 영상검사, 복부 초음파 검사를 통해 만성 신부전으로 진단되었다. 10일간의 치료를 실시하였으나, 임상증상의 개선이 없었다. 환자는 안락사 되었으며, 사후 부검이 실시 되었다. 신장 조직검사 결과 소아 신증으로 진단되었으며, 이는 진도견에서 최초 보고되는 증례이다.

진도견의 혈액상 및 혈액화학치에 관한 연구 - 제2보 진도견의 혈액화학치 (Studies on Hematologic Values and Blood Chemistry Values of Normal Jindo Dogs - 2. Blood Chemistry for Jindo Dogs)

  • 임봉호;박남용;이방환
    • 대한수의사회지
    • /
    • 제16권3호
    • /
    • pp.143-149
    • /
    • 1980
  • Normal values for chemical components of blood serum were determined for Normal 37 females and 20 males of Jindo dogs, 1 to 6 years of age. The mean values, standard deviation and ranges of glucose, non-protein nitrogen, blood urea nitrogen, total protein

  • PDF

진도견에서 발생한 원발성 결막 비만세포종양 1예 (Primary Conjunctival Mast Cell Tumor in a Korean Native Jindo Dog)

  • 이재연;정성목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31-133
    • /
    • 2013
  • 9 년령 23 kg의 암컷 진도견이 2개월 동안의 안구 분비물을 주요증상으로 본원에 내원하였다. 초기 안검사에서 좌측 아래 안구 결막 부위에서 크기 2 cm의 길게 돌출 된 종괴를 발견하였다. 다른 안구 및 주위 조직의 이상소견을 확인하기 위해 안구초음파를 실시 하였고 모두 음성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흉 복부에 실시한 X-ray 검사에서도 특이 소견이 관찰되지 않았다. 세포학적 검사에서 다수의 원형세포와 중등도의 호산구 (eosinophils)가 관찰되었다. 종괴는 외과적으로 절제되었고 조직학적 검사를 통해 비만세포종 (mast cell tumor)로 진단되었다. 수술 후 6개월 뒤 실시한 흉복부 X-ray 및 초음파 검사에서 종양의 전이 또는 재발은 관찰되지 않았다.

사료내 조단백질 수준이 진도성견의 질소균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rude Protein Levels on Nitrogen Balance in Adult Jindo Dog)

  • 강태일;맹원재;김명화;이상락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1권2호
    • /
    • pp.155-162
    • /
    • 2009
  • 본 연구는 진도성견의 단백질 급여수준이 질소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단백질 급여 표준을 설정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진도견 성견초기(생후 36~38주령)와 성견후기(생후 45~49주령)의 암컷 12두를 대상으로 단백질 수준을 17, 19 및 21%로 설정한 실험사료를 급여하여 체중, 사료섭취량 및 분뇨 배설량을 측정하였다. 성견초기의 일당 증체량은 조단백질 함량 17, 19 및 21%구에서 각각 -38.33, -16.25 및 -12.71g으로 나타났으며 17% 조단백질 사료급여구가 19 및 21% 급여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았다(p<0.05). 축적된 질소량은 각각 -0.29, -0.04 및 -0.03g/kg$BW^{.75}$/d로 계산되었으며 조단백질 17% 급여구가 19 및 21% 급여구에 비하여 유의하게(p<0.05)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질소섭취량(x)과 질소축적량(y)간에 y = 0.7484x-1.18 ($R^2$ = 0.9923)의 회귀식이 도출되었으며, 이 식으로부터 성견초기의 유지 조단백질 요구량은 9.85g/kg$BW^{.75}$/d로 추정되었다. 진도견 성견후기의 일당 증체량은 실험구 별로 각각 -34.05, -28.71 및 -28.28g으로 17% 단백질 사료급여구가 다른 구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축적된 질소량은 각각 -0.33, -0.06 및 -0.09g/kg$BW^{.75}$/d로 계산되었으며 17% 조단백질 급여구가 19 및 21% 급여구에 비하여 유의하게(p<0.05)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질소섭취량(x)과 질소축적량(y)간에 y = 0.8823x-1.0894 ($R^2$ = 0.9982)의 회귀식이 도출되었으며 이식을 이용하여 계산한 결과 성견후기의 유지 조단백질 요구량은 7.72g/kg$BW^{.75}$/d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진도견을 대상으로 한 영양소 요구량을 설정하기 위한 최초의 연구로 생각되며 연구의 결과는 진도견의 단백질 요구량을 설정하는데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진도견의 단백질 요구량을 최종적으로 설정하기 위해서는 전 생애에 걸쳐서 성별 및 사육환경에 따른 영양소 요구량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