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진단영상기술

Search Result 619, Processing Time 0.047 seconds

X-ray를 이용한 디지탈 영상진단장치

  • 박광석
    • 전기의세계
    • /
    • v.38 no.8
    • /
    • pp.4-8
    • /
    • 1989
  • C.T의 출현은 그때까지의 X선 영상법이 3차원적 물체를 오차원적 영상으로 투영한 방법인데 반하여, 3차원 물체의 단면을 선택하여 2차원적 영상을 그대로 영상화하는 새로운 형태의 획기적인 방법으로 환자의 진단에 크게 공헌하고 있다. C.T의 기술은 급속하에 발전되어 현재 거의 기술정착단계에 도달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C.T의 발전은 X선을 이용한 디지탈 영상진단 장치의 발전은 여러가지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 PDF

Clinically translatable photoacoustic imaging of cancer diagnosis (임상적용이 가능한 광음향 암 진단 기술)

  • Kim, Mi-Ji;Park, Yeon-Seong;Yoon, Changhan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38 no.4
    • /
    • pp.476-484
    • /
    • 2019
  • Photoacoustic imaging is a hybrid real-time imaging technique that combines high optical contrast and ultrasonic resolution. It has primarily been utilized in pre-clinical research and has evolved into clinical practice. In this paper, we review photoacosutic imaging for detection of primary canccer and metastatis and its limitation in translation from pre-clinical to clinical application.

Harmonic Ultrasound Images and Conventional Ultrasound for Focal Hepatic Lesions: Comparison of Classification Performance by Computer-aided Diagnosis System (국소간병변의 하모닉 초음파와 고식적 초음파영상: 컴퓨터진단시스템에 의한 분류성능 비교)

  • Lee, Jae Young;Jo, In A;Lee, Sihyoung;Kim, Kyung Won;Ro, Yong 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11a
    • /
    • pp.672-675
    • /
    • 2010
  • 초음파 영상은 다른 의료 진단 방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용이 적게 들고 데이터 획득이 용이하기 때문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초음파 영상은 획득 방법에 따라 화질이 차이가 난다. 고식적 초음파 영상에 비해 두 배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하모닉 영상은 대조도나 해상도가 향상되고, 영상 내 잡음이 감소한다. 그래서 초음파 영상을 이용한 진단 과정에서 병변의 특징을 육안으로 정확하게 관찰할 수 있고, 이를 통해서 진단 결과의 정확성이 향상된다. 본 논문에서는 초음파 영상의 획득 방법의 차이에 따른 진단 성능의 차이를 컴퓨터를 이용한 병변 분류 성능을 통해서 비교했다. 이를 위해서 초음파를 통해서 획득한 영상에서 병변의 형태 및 질감 특징을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병변을 분류하는 시스템 구성하였다. 실험을 통해서 하모닉 초음파 영상을 이용한 컴퓨터 기반 분류 방법이 고식적 초음파를 이용한 방법에 비해서 6% 정확성 향상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의료용 B-스캔의 경향

  • 김원기
    • 전기의세계
    • /
    • v.31 no.7
    • /
    • pp.486-491
    • /
    • 1982
  • 초음파 영상장비는 군사장비로 부터 사용하기 시작하여 어군탐지기등 수산업에도 응용되었고, 1970년 이후 반도체기술의 획기적인 발전으로 의료장비로써의 초음파 영상장비가 개발되어 급속히 보급되고 있어서 X-ray장비와 함께 진단용장비로써 위치가 확고히 되어 가고 있다. 대부분의 의료기관에서는 뇌, 심장, 간, 신장등과 같은 인체기관의 진단에 초음파 영상장비를 사용하고 있는데. 특히 X-ray 장비와 달리 인체에 hazard를 주지 않기 때문에 어린이, 임산부의 진단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그러므로 초음파 영상기술은 임상의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으며 이 분야는 앞으로 연구개발될 부분이 많이 남아있다. 본 원고에서는 초음파 영상 장비의 주종을 이루고 있는 B-스캔장비에 대한 원리, 구성 및 종류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 PDF

Multi-Detector CT의 복부암 진단

  • Nam, Yun-Cheol
    •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27 no.1
    • /
    • pp.37-42
    • /
    • 2004
  • 2000년 후반부터 국내에 도입된 MDCT는 한번 숨을 참고 검사할 수 있는 volume coverage speed를 향상시킴으로 복부의 검사시간을 단축시켰고 보다 얇은 단면영상획득, isotropic resolution에 의한 reformation의 활용, 다중시기검사, 균일하게 조영된 3차원 혈관영상 획득이 가능해져 미세한 조기 복부암 진단에 주도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에 CT의 기술적 발전과정과 MDCT를 이용한 복부암 진단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 PDF

Recent Advances in Medical Image Processing and Diagnosis Technology for Capsule Endoscope Systems (캡슐 내시경 시스템의 최신 의료 영상처리 및 진단 기술)

  • Kim, Ki-Yun;Kim, Tae-Kwon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8C no.9
    • /
    • pp.802-812
    • /
    • 2013
  • Recently, Capsule Endoscope(CE) system is receiving great attention as a innovative convergence technology that allows doctors to examine the digestive tract of a human body in the minimum invasive way. Once patients swallow the vitamin pill-sized capsule, doctors can detect disease such as blood-based abnormalities, polyps, ulcers, and Crohn's disease through the image information delivered by wireless or human body communication module in CE. Although CE is really a innovative technology, it still suffers from some drawbacks in terms of correct diagnosis of lesion and analysis required time. Due to the massive images approximately 60~120 thousand frames taken by miniature camera in the CE, doctors spend too much time examining the images and analyzing the lesions. Therefore, to lighten the burden of doctors, software tools for fast diagnosis and medical image processing techniques for correct diagnosis of lesion are essential in CE system.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latest trends of diagnosis tools and image processing techniques based on major makers of CE systems, which are hardly known to the general public.

Abnormal Region Extraction of Brain MR Images Using Mean of White-grey Matter Thickness (회백질 두께 평균치를 이용한 뇌 MR영상의 비정상 영역 추출)

  • 조경은;채정숙;조형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b
    • /
    • pp.466-468
    • /
    • 2001
  • 의료 영상 처리 기술은 질병의 진단 및 치료를 위한 계획이나 방법을 결정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의료 영상 시스템과 같은 활용 분야에서는 질병이 있는 환자의 자동 진단을 위한 연구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여기서는 뇌 MR영상에서의 질병을 자동 진단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연구를 한다. 뇌 MR영상에서의 질병 진단을 위한 단계로서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단계가 비정상 영역의 추출 단계이다. 이 논문에서는 뇌의 질병 진단에 사용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전처리 단계로서 질병이 있는 환자의 뇌 영상에서 비정상적인 영역 추출 방법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비정상적인 영역의 명암간 분포는 회백질 영역의 분포와 유사하나 두께 차이로서 구분이 가능하다. 여기서는 이 정보를 활용하여 정상인의 뇌영상에 대해서 회백질의 평균 두께 분포를 구하여 테스트로 입력되어지는 영상에서 회백질의 평균 두께 이상의 영역만을 남김으로서 질병이 있는 환자의 뇌 영상에서 비정상적인 영역을 추출할 수 있음을 보인다. 또한 추출되어진 비정상 영역에 대해서 진단에 필요한 인자를 자동으로 측정하였고 뇌경색, 뇌종양 환자를 포함한 63명의 뇌 MR 영상 시리즈에 대해서 실험하여 비교적 정확한 추출결과를 유도할 수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 PDF

Ultrasound-optical imaging-based multimodal imaging technology for biomedical applications (바이오 응용을 위한 초음파 및 광학 기반 다중 모달 영상 기술)

  • Moon Hwan Lee;HeeYeon Park;Kyungsu Lee;Sewoong Kim;Jihun Kim;Jae Youn Hwang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42 no.5
    • /
    • pp.429-440
    • /
    • 2023
  • This study explores recent research trends and potential applications of ultrasound optical imaging-based multimodal technology. Ultrasound imaging has been widely utilized in medical diagnostics due to its real-time capability and relative safety. However, the drawback of low resolution in ultrasound imaging has prompted active research on multimodal imaging techniques that combine ultrasound with other imaging modalities to enhance diagnostic accuracy. In particular, ultrasound optical imaging-based multimodal technology enables the utilization of each modality's advantages while compensating for their limitations, offering a means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diagnosis. Various forms of multimodal imaging techniques have been proposed, including the fusion of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photoacoustic, fluorescence, fluorescence lifetime, and spectral technology with ultrasound. This study investigates recent research trends in ultrasound optical imaging-based multimodal technology, and its potential applications are demonstrated in the biomedical field. The ultrasound optical imaging-based multimodal technology provides insights into the progress of integrating ultrasound and optical technologies, laying the foundation for novel approaches to enhance diagnostic accuracy in the biomedical domain.

Development of atopy diagnostic system based on computer vision technology (비전 인식 기술을 이용한 아토피 진단 검사 시스템 개발)

  • Kwon, Sun-Min;Kim, Jeong-Rae;Jung, In-Bum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0.06c
    • /
    • pp.512-515
    • /
    • 2010
  • 환경오염으로 인해 아토피 등의 피부질환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국내에서는 인터넷을 통한 아토피 진단 서비스는 많다. 하지만 단순한 설문조사 형식으로 진단에 대한 객관성을 유지하기 어려워 신뢰도가 낮다. 이에 본 논문은 컴퓨터 비전 인식 기술을 활용하여, 컴퓨터에서 처리가능한 아토피 환자의 환부 영상을 수집 및 진단하는 시스템을 개발한다. 아토피 진단 시스템은 환부 영상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색상값에 대한 히스토그램을 만들어 정규화한다. 다음으로 정규화된 히스토그램의 확률적 분포를 이용해 역투영한 결과 영상을 만들어 내게 되며 이 역투영 영상을 바탕으로 피부색을 제외한 부분을 아토피 침범 영역이라 판단하게 된다. 최종적으로는 입력 영상으로부터 얻어진 침범 영역, 문진을 이용한 점수를 이용하여 SCORAD 지수 스코어링 하게 된다.

  • PDF

자기 공명 진단 장치의 기술 동향과 국내 개발 방향

  • 이홍규
    • The Magazine of the IEIE
    • /
    • v.23 no.6
    • /
    • pp.17-26
    • /
    • 1996
  • 첨단 영상 진단기기인 자기 공명 진단 장치는 복합적인 구성 기술 요소들이 필요하며 연구 개발을 거쳐 상용화 하는 데에는 충분한 임상 적용 뿐 아니라 충분한 시스템 기술이 필요하다. 먼저 국내외의 자기 공명 진단 장치 기술 발전 과정을 살펴 본 후, 각 구성 부분별로 최근 기술 동향을 정리하고, 자기 공명 진단 장치의 국내 개발 내용을 소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