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진단액

검색결과 363건 처리시간 0.024초

폐결핵환자에서 기관지 세척액의 Adenosine deaminase(ADA) 임상적 의의 (ADA Level in Bronchial Washing Fluid in Patients with Pulmonary Tuberculosis)

  • 김남수;천기태;이흥범;이용철;이양근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7권5호
    • /
    • pp.595-600
    • /
    • 1999
  • 목 적: 폐흉수에서 ADA 활성도의 측정은 결핵성 폐흉수의 진단에 유용한 검사로 증명되어왔다. 하지만 기관지 폐포 세척액에서 ADA의 유용성에 대해서는 논란이 많으며 또한 그 연구가 극히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폐결핵의 조기진단의 생화학적 지표로서 결핵환자의 기관지 세척액 ADA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폐결핵이 확진된 경우를 제 1군(25명)으로 하였고 폐암환자들을 제 2군(26명)으로 하였으며 대조군을 제 3군(10명)으로 하여 기관지 세척액 ADA 활성도에 있어서 세군 사이에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ADA 측정은 Giustils colorimetric 방법으로 시행하였다. 결 과: 기관지 세척액 ADA 활성도는 제 1군에서 제 2군과 제 3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1). 결 론: 기관지 세척액 ADA 활성도는 폐결핵이 의심되는 환자에서 폐결핵을 진단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벼 바이러스(RSV, RBSDV)와 애멸구의 간편한 VC/RT-PCR 유전자 진단기술 (Convenient Genetic Diagnosis of Virion Captured (VC)/RT-PCR for Rice Viruses (RSV, RBSDV) and Small Brown Plant Hopper)

  • 김정수;이수헌;최홍수;조점덕;노태환;김진영
    • 식물병연구
    • /
    • 제15권2호
    • /
    • pp.57-62
    • /
    • 2009
  • 우리나라 벼에 발생하는 주요 바이러스 중 애멸구에 의하여 전염하는 벼줄무의잎마름병(RSV)과 벼검은줄오갈병(RBSDV)에 대한 간편한 유전자 진단법인 VCHT-PCR 방법을 개발하였다. 벼 잎의 경우 즙액 추출 완충액은 0.5% sodium sulfite를 첨가한 0.01 M 인산완충액(pH 7.0)을 기본 완충액으로 이용하고 애멸구를 진단할 경우에는 기본 완충액에 2% PVP을 첨가하였을 때 VC/RT-PCR 진단이 잘 되었다. VC/RT-PCR을 이용한 진단에 적합한 RSV와 RBSDV 프라이머를 선발하였고 이것을 이용하여 동시진단으로 경기도 김포, 평택, 시흥지역에서 채집한 애멸구의 RSV와 RBSDV의 보독충을 쉽고 경제적으로 진단 할 수 있었다. ELISA에 의한 진단결과와 비교할 때 세 지역을 합하여 RSV에 대한 평균 보독충률은 9.2%로 동일하였으나 보독충 중 일부가 ELISA와 VC/RT-PCR 두 방법에 의한 진단결과가 다르게 나온 것은 RSV의 혈청학적, 유전적 계통 존재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포장에서 채집한 애멸구의 VC/RT-PCR 진단효율은 RSV와 RBSDV를 동시에 진단하므로 써 RSV만 진단이 가능한 ELISA 결과 보다 3.2% 높았다.

폐결핵에 있어서 기관지폐포세척액 결핵균검사 및 PCR의 진단적 가치 (The Diagnostic Value of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microscopic study and PCR in Pulmonary tuberculosis)

  • 박문환;최춘한;김남진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3권2호
    • /
    • pp.128-137
    • /
    • 1996
  • 연구배경: 폐결핵은 고전적인 방법인 객담 도말 검사 및 배양검사로 전단할 수 있지만 객담 도말 민감도가 낮고 배양검사는 시일이 오래걸리는 단점이 있고 효과적인 객담배출이 되지 않는 환자에서는 검사가 불가능하기도 하다. 또한 최근에 개발된 PCR법은 신속하기는 하지만 위양성과 위음성이 문제가 되고 있다. 그래서 기관지내시경을 통한 기관지폐포세척액을 이용하여 세균학적 검사 및 PCR을 시행하여 폐결핵진단에 있어서 민감도와 예민도를 높이고 보다 신속한 진단을 할 수 있는지 연구하였다. 방법: 폐결핵 67예와 폐결핵이외의 폐질환을 가진 43예를 대상으로 객담 도말검사 및 배양검사를 시행하고, 기관지내시경을 시행하여 흉부 X-선상 병변이 보이는 엽상기관지에 기관지내시경을 위치하고 생리식염수 5cc로 3-5회에 걸쳐서 세척을 시행하여 세척액을 채취한 후 세균학적검사 및 PCR을 시행하였다. 결과: 1) 폐결핵환자의 기관지폐포세척액 결핵균 도말 검사 및 배양검사의 민감도는 각각 47.8% 및 80.6%로서, 객담 도말검사 및 배양검사의 민감도인 32.8% 및 57.4%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2) 폐결핵환자의 기관지폐포세척액 PCR의 민감도는 80.6%로서 배양검사의 민감도와 같았고, PCR의 배양검사에 대한 양성예측율은 81.5%였다. 3) 객담 도말검사 및 배양검사상 음성을 보인 폐결핵환자에서 시행한 기관지내시경을 통한 기관지폐포세척액 도말검사의 민감도는 23.1%였으며, 배양검사의 민감도는 100%였고, PCR의 민감도는 88.5%였으며, PCR의 배양검사에 대한 양성예측율 82.4%였다. 4) 기관지폐포세척액 PCR의 특이도는 77.0%였다. 5) 폐결핵의 최초 진단 후 치료시작까지의 기간은 객담 도말검사로 최초 진단이 된 경우가 평균 5일로 가장 빨랐고, 기관지폐포세척액 도말검사가 평균 9일, 기관지폐포세척액 PCR이 평균 26일이었으며, 객담배양검사는 평균 32일이었고, 기관지 폐포세척액 배양검사는 평균 56일로 가장 길었다. 결론: 폐결핵환자에서 기관지내시경을 통한 기관지폐포세척액의 결핵균 도말검사 및 배양검사는 객담을 이용한 검사보다 민감도가 높다. 그러므로, 객담을 배출하지 못하는 환자나 객담의 세균학적 검사가 음성인 환자에서 기관지내시경이 고려되어야 하며, 기관지폐포세척액의 PCR법까지 병행할 때에는 보다 신속하고 높은 진단율을 나타내므로, 조기에 적절한 항결핵제 투여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국내에서 이용한 Toxoplasma병의 진단법과 그 응용방향 (Diagnostic Methods for Toxoplasmosis and Its Applicability in Korea)

  • 전영
    • 대한수의사회지
    • /
    • 제18권4호
    • /
    • pp.52-61
    • /
    • 1982
  • 이 논문은 우리나라에서 지금까지 응용한 바있는 Toxoplasma병의 진단에 관한 시험연구의 성적을 기술하였다. 가. 우리나라에서 1957년 돈으로부터 Toxoplasma 원충을 분류한 것이 최초의 보고였다. 나. Toxoplasma병의 사후진단을 하기 위하여 동물접종시험 (1957), 조직배양시험 (1961), Acridine orange 염색법(1974) 그리고 직접형광항체법(1974)을 이용하였다. 다. Toxoplasma병의 생전진단을 하기 위하여 보체결합조지반응시험(1965), 색소시험(1965), 적혈구응집반응시험(1972) 그리고 피내반응시험(1972)을 응용하였다. 라. 야외돈에 대한 항체보유율 조사성적은 보체결합조지반응시험(1965)에서 $13.4\%$ 적혈구응집반응시험(1972)에서 $25.3\%$ 그리고 피내반응시험(1972)에서 $5.3\%$였으며 점차적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마. Toxoplasma병에 대한 방역대책의 일단으로서 본병의 신속 정확한 진단을 하기 위하여 가축위생연구소에서는 매년 생산하는 피내반응진단액은 동물검역소에 그리고 직접형광항체진단액은 각도 가축위생시험소에 공급하고 있다.

  • PDF

흉막액내 Cholesterol치 측정의 진단적 의의 (Diagnostic Significance of Cholesterol in Pleural Effusion)

  • 여동승;이동일;이수걸;문창형;박순규;신영기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39권3호
    • /
    • pp.248-254
    • /
    • 1992
  • 연구배경 : 우리나라에서는 폐결핵과 폐암의 유병율이 높으므로 흉막삼줄은 호흡기 분야에서 경험하게되는 가장 흔한 입상척 문제중의 하나이다. 흉막여출액과 삼출액의 감별진단은 매우 중요하나 일부 환자에 있어서는 이의감별이 매우 어려운 경우도 있다. 방법 : 저자들은 흉막삼출액과 여출액의 감별에 있어서 흉막액내 cholesterol 측정의 진단적 의의를 알아보기 위하여 흉막액 저류를 동반한 각 질환 환자 45명을 대상으로하여 효소법으로 흉막액내 cholesterol 치를 측정 분석하였다. 결과 : 흉막액내 cholester이 평균치는 여출액군 $33.1{\pm}12.9\;mg%$, 결핵성 삼출액군 $105.6{\pm}41.7\;mg%$, 악성 삼출액군 $97.3{\pm}28.2\;mg%$였으며 이들은 모두 혈청 cholesterol 치와는 유의한 상관성을 인정할 수 없었다. 여출액과 삼출액의 감별을 위한 흉막액내 cholesterol 치의 기준을 60 mg%로 하였을 때 결핵성 삼출액에서는 1예(6.7%), 악성 삼출액에서는 2예(13.3%)가 부적합하게 분류되었으며 여출액은 전예가 적합하게 분류되었다. 흉막 여출액과 삼출액의 감별을 위한 흉막액과 혈청의 cholesterol치 비율기준을 0.3으로 하였을 때 여출액에서는 1예(6.7%), 악성 삼출액에서는 2예(6.7%), 악성 삼출액에서는 2예(13.3%)가 부적합하게 분류되었으며 결핵성 삼출액은 전예가 적합하게 분류되었다. 흉막 삼출액으로 판정하는 흉막액내 cholesterol치의 기준을 60 mg% 이상으로 하였을 때 예민도 90%, 특이도 100%였다. 흉막 삼출액으로 판정하는 흉막액과 혈청의 cholesterol 치의 비율기준을 0.3이상으로 하였을때 예민도 93%, 특이도 93%였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 볼때 흉막액내 cholesterol 측정은 흉막 여출액과 삼출액의 감별진단에 상당히 유용한 검사로 사료되었다.

  • PDF

효소면역전기영동이적법을 이용한 유조설고충 단세후군항체 및 환기혈청에 대한 항원특리성 분석 (Analysis of antigen specificity using monoclonal and polyclonal antibodies to cysticercus cellulosae by enzyme-linked immunoelectrotransfer blot technique)

  • 조승열;강신영;김석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5권2호
    • /
    • pp.159-167
    • /
    • 1987
  • 기생충질환의 진단에도 이용하는 혈청학적 진단에서는 근록기생충항원과 교우반응이 나타나 특이도를 떨어뜨리는 경우가 있어 문제가 되고 있다. 진단용으로 사용하는 기생충노항원의 단백질 구성성분중 교*반응을 가장 잘 일으키는 것이 어떤 것인지를 알 수 있다면 특이도가 높은 항원을 제작하는 기본정보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 SDS-폴리아크릴아마이드젤 전기영동(SDS-PAGE)과 효소면역전기영동이적법(EITB)을 이용하여 항원항체반응을 일으키는 단백질성분을 노항원중에서 구별할 수 있게 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유구낭미충의 낭액, 두절의 생리식염수추출액, 전낭미충추출액과 스파르가눔추출액, 포충낭액, 간질추출액, 간흡충추출액, 폐흡충추출액 등 8종의 항원에 대하여 유약낭미충증 환자 24명의 혈청과 본교실에서 제작한 단세포군항체가 어떻게 반응하는지 관찰하여 항원특이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SDS-폴리아크릴아마이드젤 전기영동은 길이 9cm, 두께 1.5mm인 10~15% linear gradient gel을 사용하였고 시료 $30{mu}l$를 sample buffier와 합께 $95^{\circ}C$에서 5분간 가열한 후 3~4시간 전기영동하였다. 분리된 단백질을 다시 100V에서 2시간 동안 Towbin buffer에서 전기영동하여 nitrocellulose 종이로 이적하였다. 그후 환자혈청(1 : 100), 단세포군항체(1 : 100)과 반응시키고 peroBidase-conjugated antihuman IgG(또는 perozidase-conjugated antimouse IgG), 기질의 순으로 반응시켜 발색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SDS-폴리아크릴아마이드젤 전기영동후 Coomassie brilliant blue R-250으로 염색한 바 유구낭미충 낭액에는 단백질대가 최소 23개 나타나고 그중 94, 64, 48, 39, 34, 24, 15, 10, 7kDa가 주단백질이었다. 두절추출액에는 단백질대 34개가 보였고 그중 94, 64, 39, 34, 26, 24, 21, 15, 10, 7kDa가 주단백질대이었다. 전낭미충추출액도 두절추출액과 동일한 소견을 보였다. 낭액항원과 충체추출액간에는 단백질 구성성분보다는 구성비의 차이가 심하였다. 스파르가눔 추출액은 28%, 포충낭액은 15%, 간질추출액은 22%, 간흡충추출액은 6개, 폐흡충추출액은 11개의 단백질대를 보였다. 2. 환자혈청 24개를 SDS-PAGE로 분리된 단백질대와 반응시킨 결과, 낭액항원에서는 평균 7.4개와 반응하였는 바 그중 152, 94, 72, 64, 48, 24, 15, 10, 7kDa 단백질이 가장 중요하였다. 두절 추출액과는 평균 6.3개와 반응하였고 그중 94, 64, 52, 39, 34, 15, 10kDa가 중요하였다. 스파르가눔추출액과는 평균 2.7개가 반응하였고 그중 130, 64kDa가 중요하였으며 포충낭액과는 평균 1개가 반응하였고 52, 27kDa가 중요하였다. 간질, 간흡충 및 폐흡충추출액과는 반응대가 관찰되지 않았다. 3. 단세포군항체는 낭미충낭액의 15, 10, 7kDa 및 두절추출액 10kDa와 반응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유구낭미충의 구성단백질중 15, 10, 7kDa 등 저분자량단백질이 진단특이성이 높은 분획으로 판단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