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진단기준

Search Result 2,241,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Review of the Metabolic Syndrome (대사증후군의 개요)

  • Lee, Eun-Mi
    • The Journal of the Korean life insurance medical association
    • /
    • v.26
    • /
    • pp.13-20
    • /
    • 2007
  • 대사증후군은 비만, 이상지혈증, 고혈압, 당뇨병이나 내당능 장애가 동반되어 나타나는 증후군이다. 근래 들어 우리나라도 점차 비만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이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 대사증후군에 대한 간단한 개념 정리를 하였다. 먼저 대사증후군의 정의와 진단기준을 살펴보았다. 1998년 대사증후군을 명명하고 진안기준을 제시한 WHO 진단기준, NCEP-ATP III 진단기준,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의 진단기준을 살펴보고, 기타 인종에 따른 허리 둘레 기준 및 IDF 정의를 살펴 보았다. 또한 대사증후군과 관련된 여러 인자들도 다시 확인해보고, AHA/NHLBI 진단 기준도 살펴 보았다. 우리나라는 대부분 연구에서 NCEP-ATP III 기준을 적용하고 있는데, 그 내용은 복부 비만 허리둘레 남자 102cm 이상, 여자 88cm 이상, 중성 지방 150mg/dl 이상, HDL-콜레스테롤 남자 40mg/dl 미만, 여자 50mg/dl 미만, 혈압 130/85 mmHg 이상, 공복 혈당 110mg/dl 이상이다. 복부 비만의 경우는 2000년 제정된 WHO 서태평양 지역 기준인 남자 90cm, 여자 80cm 이상으로 적용하고 있다. 다음 치료의 기본 개념을 간단히 언급 하였는데, 가장 중요한 치료는 우선적으로 생활 습관의 개선을 꼽을 수 있으며, 기타 약물요법 및 인슐린 저항성 개선제 등이 있다. 우리나라 에서도 심혈관계 질환과 당뇨병이 점차 사망 원인의 우위를 차지 하고 있으므로 대사증후군을 초기에 진단하고 관리하는 노력이 매우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생명보험사도 대사증후군을 하나의 증후군으로 인식하여 대사증후군의 전반적인 이해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해상교통안전진단서 작성 등에 관한 고찰

  • Kim, Yeong-Du;Jo, Ik-Sun;Kim, Bu-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06a
    • /
    • pp.536-538
    • /
    • 2013
  • 해상교통안전진단은 해상교통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사업으로 발생할 수 있는 항행안전 위험 요인을 전문적으로 조사 측정하고 평가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이에 사업자는 안전진단대상사업에 대하여 안전진단을 할 수 있는 안전진단대행업자에게 안전진단을 의뢰하며, 안전진단대행업자는 해상교통안전진단기준, 안전진단서 작성기준 및 안전진단항목별 기술기준에 따라 안전진단을 실시하고 안전진단서를 작성하여야 한다. 하지만, 제출된 안전진단서는 안전진단서 작성의 적합성을 포함하여 안전진단서의 보완 등이 필요하여 심사/평가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관련 규정에 따른 현 안전진단서의 실태를 분석하고 안전진단 실시 및 안전진단서 작성 향상을 위한 안을 제시하였다.

  • PDF

Influence of Different Diagnostic Criteria on Frequency of Convergence Insufficiency (진단기준 차이가 폭주부족의 빈도에 미치는 영향)

  • Yu, Dong-Sik;Cho, Hyun Gug;Moon, Byeong-Yeon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 /
    • v.21 no.3
    • /
    • pp.235-242
    • /
    • 2016
  •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 application of different diagnostic criteria affected the frequency of convergence insufficiency (CI). Methods: Eighty one subjects with mean age of 22.54 years (20 to 27 years) were evaluated. Binocularity tests after refraction were performed as the following tests: near point of convergence (NPC) with an accommodative target, phoria using von Graefe method, positive fusional vergence (PFV) with a phoropter. Subjects with CI were diagnosed when exophoria (exo) was greater at near than at distance ($exo{\geq}4{\Delta}$, or >$6{\Delta}$), fusional vergence was $PFV{\leq}11{\Delta}$ for blur, $PFV{\leq}15{\Delta}$ for break, Sheard's or Percival's criterion, and NPC was $NPC{\geq}6cm$, ${\geq}7.5cm$ or >10 cm. Results: Frequency of CI with one diagnostic criterion was ranged from 6.2% to 77.8%, and was overestimated or underestimated according to criteria. It was reduced to the range of 6.2% to 43.2% with diagnostic criteria more than two, especially to the range of 24.7% to 28.4% with lower variability in diagnostic criteria including phoria and Sheard's criterion. There were high relationship between total score of signs and phoria score (r = 0.772, p<0.001), and measured phoria and Sheard's criterion (r = -0.654, p<0.001), but NPC had a high variability and a weak or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other diagnostic criteria. Results suggested $exo{\geq}4{\Delta}$, Sheard's criterion and $NPC{\geq}7.5cm$ for diagnostic criteria of signs and sequence for CI. Conclusions: Frequency of CI is likely to be over- and underestimated with diagnostic criteria. Cutoff values and procedures for phoria, Sheard's criterion and NPC as clinical signs should be suggested definitely in diagnosis associated with CI.

Early Detection of Atypical Kawasaki Disease (비정형 가와사끼병의 조기발견 - 외래에서 점검할 사항을 중심으로 -)

  • Han, Ji Whan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v.46 no.11
    • /
    • pp.1055-1060
    • /
    • 2003
  • KD는 아직 발병인자가 밝혀져 있지 않아 특별한 검사방법 없이 임상소견에 의존하여 진단하여야 하고 조기진단만이 CAD을 예방할 수 있는 중요한 후천성 심장질환이다. 그러나 발열과 5가지의 고전적인 진단기준에 부합되지 않고 발열과 4가지 미만의 진단기준 또는 전체 6가지 중 3-4가지 진단기준 만이 관찰되는 AKD는 조기진단이 어려워 전형적인 KD보다 CAL의 발생률이 높다. 특히 1세 미만의 영아에서는 모든 임상소견이 사라진 후 아급성기에 나타나는 손과 발의 낙설을 보고 후향적으로 진단을 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AKD에서 관상동맥합병증을 예방하려면 오랜 기간 동안 원인을 찾을 수 없고, 항생제에 반응하지 않는 발열이 있을 때에는 고전적인 진단기준에 얽매이지 말고 항상 high index of suspicion을 적용하여 필요할 때마다 CAL의 유무를 조사하고 가능한 빠른 시기에 치료하여야 할 것이다.

Diagnostic Criteria to Differentiate Medial Meniscal Injury from Degenerative Changes on $^{99m}Tc-MDP$ Knee SPECT in Patients with Chronic Knee Pain (만성 무릎관절 통증환자에서 내측 반월상연골 손상과 관절 퇴행성 변화의 감별을 위한 $^{99m}Tc-MDP$ 무릎관절 SPECT의 진단기준)

  • Paeng, Jin-Chul;Chung, June-Key;Jeong, Hwan-Jeong;Yoo, Jae-Ho;Kang, Won-Jun;So, Young;Lee, Dong-Soo;Lee, Myung-Chul;Seong, Sang-Cheol;Lee, Myung-Chul
    • The Korean Journal of Nuclear Medicine
    • /
    • v.37 no.2
    • /
    • pp.103-109
    • /
    • 2003
  • Purpose: In patients with chronic knee pain, the diagnostic performance of $^{99m}Tc-MDP$ knee SPECT for internal derangement of knee is deteriorated due to degenerative changes. In this study, we tried to establish diagnostic criteria to differentiate medial meniscal injury (MMI) from degenerative change (DC) when the uptake is increased in medial compartment.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49 knee SPECT of the patients with chronic (more than 3 months) knee pain, which showed increased $^{99m}Tc-MDP$ uptake in the medial compartment,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diagnosis was confirmed by arthroscopy. On knee SPECT, 3 diagnosic criteria for MMI were investigated. In Criterion I, MMI was diagnosed when crescentic uptake was observed in the medial tibial plateau. In Criterion II, crescentic uptake was further classified into anterior, mid, posterior, and diffuse patterns,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maximal uptake; and only crescentic mid, posterior, and diffuse patterns were diagnosed as MMI. In Criterion III, MMI was diagnosed when medial tibial plateau showed higher activity then medial femoral condyle. The diagnostic performance of the 3 criteria was compared. Results: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were 93% and 14% in Criterion I, 89% and 38% in Criterion II, and 75% and 67% in Criterion III, respectively. Criterion III had significantly improved diagnostic performance, especially, specificity. Conclusion: In this study, we established a practical diagnostic criterion to differentiate MMI from DC on knee SPECT. The result is helpful to improve the diagnostic value of knee SPECT as a screening test for chronic knee pain.

Efficient Transformer Dissolved Gas Analysis and Classification Method (효율적인 변압기 유중가스 분석 및 분류 방법)

  • Cho, Yoon-Jeong;Kim, Jae-Young;Kim, Jong-Myon
    •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 /
    • v.8 no.3
    • /
    • pp.563-570
    • /
    • 2018
  • This paper proposes an efficient dissolved gas analysis(DGA) and classification method of an oil-filled transformer using machine learning algorithms to solve problems inherent in IEC 60599. In IEC 60599, a certain diagnosis criteria do not exist, and duplication area is existed. Thus, it is difficult to make a decision without any experts since the IEC 60599 standard can not support analysis and classification of gas date of a power transformer in that criteria. To address these issue. we propose a dissolved gas analysis(DGA) and classification method using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We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using support vector machines with dissolved gas dataset extracted from a power transformer in the real industry. To valid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we compares the proposed method with the IEC 60599 standard.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outperforms the IEC 60599 in the classification accuracy.

자가용발전설비의 고장진단

  • 대한전기협회
    • JOURNAL OF ELECTRICAL WORLD
    • /
    • no.7 s.127
    • /
    • pp.96-99
    • /
    • 1987
  • 최근설비를 계획하는데 있어서는 설계에서 건설 운용, 갱신에 이르기까지 라이프사이클코스트, 미니멈의 관점에서 시스템토틀로서 검토되는 일이 많다. 그러한 의미에서 설비의 보전기술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일반적으로 보전의 종류는 사후, 예방, 예지()의 각 보전에, 또 보전의 방식으로는 시간기준보전과 상태기준보전으로 대별할 수가 있다. 설비가 복잡하고 고도화되어가고 있는 가운데 경비효율, 가동율, 신뢰도 등 토틀 시스템 효율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상태기준에 의한 예지보전이 요구되는 경향에 있다. 또 온라인으로 리어얼타임인 설비진단기술의 진전이 이를 가능케 해가고 있다. 여기서는 음행분석에 의한 설비진단에 대해 자가발전장치의 음향진단을 예로 하여 기술키로 한다.

  • PDF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nd health behaviors among Koreans (한국인에서 대사증후군의 유병상태와 보건의식행태)

  • Lee, Eun-Hui
    • Journal of Korea Association of Health Promotion
    • /
    • v.3 no.2
    • /
    • pp.199-218
    • /
    • 2005
  • 이 연구는 우리나라 20세 이상 성인에서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을 파악하고 보건의식행태와 대사증후군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대사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보건교육·건강증진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코자 시행되었다. 연구재료로 1998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20세 이상 성인 24,469명 중 건강검진조사를 받았고 건강면접조사, 보건의식행태조사, 식생활조사에 응답한 7,854명의 조사결과를 활용하였으며, 2001년 미국에서 발포된 제 3차 콜레스테롤 관리지침(NCEP-ATP3)에서 제시된 대사증후군 진단기준 및 WH0 아시아/태평양지역 허리둘레를 기준으로 대사증후군 유병률을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 20세이상 성인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NCEP-ATP3 기준에서 13.3%(남자 10.1%, 여자 16.0%), 아시아/태평양지역기준에서 19.8%(남자 16.7%, 여자 22.4%)로 아시아/태평양지역 기준에서, 남자보다는 여자에서 더 높았다. 대사증후군 진단항목 중복부비만, 저 HDL-콜레스테롤의 유병를은 여자에서, 고중성지방혈증, 공복시고혈당 유병률은 남자에서 더 높았고, 연령이 증가할수록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이 증가하였다. 또 대사증후근 진단할목의 보유경향은 ATP3진단기준에서 남자는 복부비만을 제외한 4개항목을 70%이상에서, 특히 고중성지방혈증은 95.0%에서 보유하였다 여자는 저HDL-콜레스테롤과 고중성지방혈증을 70%이상에서 보유하였다. 아시아/태평양 진단기준에서는 남자의 경우 고중성지방혈증을 88.0%에서, 여자의 경우 복부비만 및 저 HDL-콜레스테롤을 80%이상에서 보유하고 있었다. 대사증후군과 보건의식행태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결혼하지 않은 사람에 비해 결혼한 사람에서대사증후군 위험이 증가하였으며, BMI가 증가할수록 대사증후군 위험이 급격히 증가하였고, 고혈압·뇌졸중, 당뇨병 가족력이 있는 남자에서 대사증후군 위험이 증가하였다. 또 스스로 건강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사람일수록 현재 흡연자의 PACK- YEAR가높을수록, 자주 술을 마실수록, )회 음주량이 많을수록, 과음빈도가 많을수록 대사증후근 위험이 증가하였으며, 알코올 의존 경향이 있는 경우에서도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최근 1년간 체중이 감소 혹은 증가된 경우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였으며, 체증감소정도가 클수록 대사증후군 위험이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우리나라 성인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비교적 높으며 대사증후근의 발생에는 보건의식행태, 특히 음주 흡연비만 연령 교육수준 등이 밀접하게 관여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앞으로 대사증후군의 예방을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기획 및 치료방침 수립을 위해서는 우리 나라대사증후군의 유병에 영향을 미치는 진단기준항목 및 관련요인의 상호 연관성, 우리나라에 적합한 진단기준 설정 등에 대한 지속적이고 깊이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A clinical study of migraines without aura in children : based on revised international headache society criteria (소아 편두통에 대한 임상적 고찰 : 개정된 편두통 진단기준에 근거하여)

  • Seo, Bo Gil;Yoo, Myung Hwan;Shim, Jae Won;Shim, Jung Yeon;Jung, Hye Lim;Park, Moon Soo;Kim, Deok-soo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v.49 no.1
    • /
    • pp.71-75
    • /
    • 2006
  • Purpose : Because migraine in children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hat in adults, it is inappropriate to apply migraine criteria for adults to children. Recently, the International Headache Society(IHS) revised criteria regarding children's characteristics. Therefore, we reviewed the characteristics of childhood migraines without auras based on the revised criteria and compared the data with the findings of childhood migraine by the previous criteria. Methods : Among 102 children who visited the outpatient clinic of Kangbuk Samsung Hospital for the chief complaint of headache, we analyzed the clinical findings of 34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migraine without aura, and probable migraine based on the revised criteria. Results : Migraines without aura were diagnosed in 27 patients(26.5 percent) and probable migraines were observed in seven patients(6.8 percent). The usual duration of headache attacks over 2 hours was observed in 12 patients(44.4 percent). On the contrary, 15 patients(55.6 percent) usually experienced headaches for one to two hours.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headaches, there were temporal areas in 14 cases, frontal areas in nine cases, occipital areas in two cases and diffuse areas in two cases. The striking point in probable migraines is that the length of headache was below one hour in five patients. Nine patients were diagnosed as migraine without aura, when the first edition criteria was applied to same patients. Conclusion : We found that the prevalence of migraine without aura increased by the revision of IHS criteria. We hope that migraines in children will be diagnosed correctly by the new IHS criteria.

A Study on the Durability Evaluation Criteria for the Vertical Extension Remodeling of Apartment (수직 중축형 리모델링 안전진단 내구성 평가기준 합리화에 관한 연구)

  • Yoon, Sang-Chun;Shin, Dong-Cheol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24 no.6
    • /
    • pp.197-205
    • /
    • 2020
  • In 2014, The Housing Act amended to allows vertical extension and increases the units of housing (or total floor area) to site. Currently, the feasibility of performing vertical extension is evaluated based on safety diagnosis provisions and manuals with 1st investigation stage on slope, uneven settlement, load-bearing capacity, and durability. However, a need for more reasonable evaluation criteria for the investigation is still required because there had not been any other case study on the diagnosis for the vertical extension, and the engineering basis on evaluation criteria were not suggested. Accordingly, this study is intended to suggest feasible evaluation criteria on the carbonation, chloride ion contents, corrosion of reinforcements, crack and surface deterioration of concrete for durability assessment by codes and standards of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beneficial for establishing more reasonable durability evaluation criteria, and in turn, more reliable assessment protocol for vertical exten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