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직접 접촉 열교환

Search Result 17,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Classification and Applications of Direct Contact Condensation Heat Exchanger (직접접촉응축 열교환기의 분류 및 응용)

  • 오후규;김성규
    • Journal of the KSME
    • /
    • v.35 no.7
    • /
    • pp.638-646
    • /
    • 1995
  • 직접접촉 얼교환 기술은 냉각탑, 접촉급수 가열기 및 공기분리기 등과 같은 장치에 예전부터 이용되어 왔는데, 그 주요한 적용이유는 가열유체와 수열유체의 사이에 일어나는 전열이 일반 열교환기와는 달리 고체벽(금속 열전달표면)을 통과하지 않고 열교환을 함으로써, 종래의 열교 환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설비의 간단화, 부식 및 스케일 부착문제가 경감됨에 따른 적은 유 지보수비 및 높은 열전달률을 얻을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저 온도차에서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직접접촉응축 현상의 장점을 이용하는 직접접촉식 교환기의 구조와 형태, 그리고 그 응용분야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Performance of a Direct Contact Heat Exchanger(DCHX) for Solar Application (태양열 이용을 위한 직접접촉식열교환기(DCHX)의 작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 Hyun, Young-Jin;Hyun, June-Ho;Chun, Won-Gee;Kang, Yong-Heack
    •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 /
    • v.24 no.2
    • /
    • pp.73-81
    • /
    • 2004
  • 태양열의 이용에 있어 직접접촉식 열교환기(DCHX)는 여러 가지 잇점을 제공한다. 그중에서도 제일 부각되는 것은 폐쇄형 열교환기의 대체에 다른 경비 절약과 작은 온도차에서도 열교환이 가능한 뛰어난 열성능일 것이다. 본 연구는 액-액 타입의 직접접촉식 열교환기에 대한 열성능 실측을 통하여 직접 접촉 열교환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 아울러 태양열에의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실측 시스템은 집열기와 펌프 그리고 직접접촉식 열교환기로 구성되어 있는데 작동유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두 가지 방법에 의해 열교환기 내로 유입되도록 하였다. 작동유체로는 Texatherm 46과 물이 사용되었는데 이는 이들 유체가 서로 전이지 않고 높은 온도$(<150^{\circ})$에서도 화학적으로도 안전하며 열적으로도 비교적 양호한 성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실측을 통해 열교환기 내에서의 미미한 열성층화 현상에 대한 메카니즘을 확인하였으며 아울러 열교환기의 작동유체에 따라 작동의 안정성과 열적 성능(11% 차이)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직접 접촉방식 열 및 물질교환장치의 전달현상(III)

  • 김석현
    • Journal of the KSME
    • /
    • v.26 no.1
    • /
    • pp.31-35
    • /
    • 1986
  • 물질전달이 포함되는 교환기의 설계목표도 단순열교환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여러 가지 주어진 제약조건(constraints; 예를들면 교환기의 제원이나 유체유동에 필요한 압력부하등)을 만족시키 면서 전달능력의 단위(number of transfer units, 이하 $N_{tu}$ 로 약함)를 최대로 해 주는데 있다. 그러나 교환장치들의 유형이나 형상에 따라 이같은 동일 목적을 위한 과정은 각양각색 이다. 본장에서는 직접 접촉식 교환기의 많은 종류중 물의 직접증발을 이용한 단열가습장치와 고체건조제 단열제습장치등 두가지의 해석과정을 예시하려고 한다.

  • PDF

Flow and Heat Transfer with Mesh in Direct Contact Liquid-Liquid Heat Exchanger for Solar Thermal System (태양열원을 위한 직접접촉식 액-액 열고환기에서 메쉬설치에 따른 유동 및 열전달)

  • 윤석만;김정보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9 no.1
    • /
    • pp.28-36
    • /
    • 2000
  • 태양열 시스템에 사용되는 간접접촉을 열교환기는 열전달률감소, 부식, 스케일링 등의 문제에 기인하는 단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직접접촉 열교환기의 사용이 제안된다. 본 연구에서는 직접접촉 열교환기로서 분사칼럼이 도입되었다. 열전달률을 증가기키기위하여 작동유체는 연속유체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기위하여 칼럼내에서 작고 균일한 방울들로 분산된다. 또한 작고 균일한 방울들로 만들기 위하여 열교환기 칼럼내에서 메쉬가 설치되었다. 디에틸 프탈레이트(Diethyl Pthalate , 밀도 : 1,052g/㎤)가 작동유체로 사용되었고, 메쉬가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로 비교 실험되었다. 실험중 칼럼의 길이방향으로 온도측정을 하였고, 두 유체간의 직접접촉 열교환 메카니즘을 알기 위하여 방울의 사진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방울이 제트형태로 형성될 때 방울은 작고 균일하였다. 한편 방울형태로 형성될 때는 크고 불균일하게 관찰되었으나 , 메쉬를 통해 칼럼내에서 효과적으로 작고 균일한 방울들로 되었다.

  • PDF

Mistakes of Cooling Tower Performance Analysis (냉각성능 분석오류)

  • 권오익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28 no.3
    • /
    • pp.397-404
    • /
    • 2004
  • 냉각탑이란 석유화학플랜트, 철강플랜트 등과 같은 생산 공정이나 냉동기를 비롯한 각종 기계장치에서 발생된 열을 수냉식 열 교환장치에서 물로 직접 냉각시킬 때 공정유체의 열을 전달받아 데워진 물을 대기의 공기와 직접 접촉시켜 물의 증발 잠열을 이용하여 원하는 온도로 냉각시켜 주는 기계장치이다.(중략)

직접 접촉방식 열 및 물질교환 장치의 전달현상(II)

  • 김석현
    • Journal of the KSME
    • /
    • v.25 no.5
    • /
    • pp.413-418
    • /
    • 1985
  • 직접 접촉식 교환장치(이하 직접 교환기라 함)에서 액체의 유통형태의 선택은 매우 다양하며 전달계수 역시 개별적인 상황이나 충전물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지므로 일률적으로 제시되지 못 하고 있다. 많은 경우 실험을 통하여 열전달 또는 물질전달계수를 측정하게 되나 개수로, 자유 낙하액체막, 액체분류와 같이 이상화가 가능한 경우, 이러한 전달계수를 구하기 위하여 이론적 또는 반실험적인 해석을 수행하기도 한다. 수많은 관련 연구결과들은 층류유동에 관한 것과 난류유동의 경우로 구분되고(예상되듯이 대부분의 직접교환기의 유통영역은 난류쪽이다), 난류 유통의 해석은 다시 표면갱신이론(surface renewal model), 와류확산계수모델(eddy diffusivity model-macroscopic), 미분형와류모델(differential eddy diffusivity model)로 대별된다. 여기서는 수많은 교환기형태의 자료정리보다 상기와 같이 대별된 액체측 유동영역별로 전달현상해석의 방법을 간단히 정리하고자 한다.

  • PDF

Analytical Investigation of In-direct Heater to Simulate Space Thermal Environment for Thermal Vacuum Test (열진공 시험용 비접촉식 우주 열환경 모사 장치의 해석적 검토)

  • Baek, Cheul-Woo;Shin, So-Min;Oh, Hyun-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0 no.2
    • /
    • pp.178-183
    • /
    • 2012
  • To simulate space thermal environment in thermal vacuum test, direct or in-direct heater has been applied on the radiator. Both of them, direct heater attached on the radiator and indirect heater with a distance from the radiator, simulate the heat fluxes from the Sun radiation, the Earth IR and Albedo. They also supply the heat fluxes to the radiator of spacecraft to achieve the target temperature according to thermal test conditions. In general, indirect heater is used when the heater is not allowed to attach on the radiator directly due to constraints of coating property or contamination. For in-direct heater design, it is needed to estimate the heat power to make the extreme test conditions and minimize the interference with heat exchange of radiator and shroud. In this study, optimized thermal design of in-direct heater is proposed and investigated by commercial S/W SINDA. The effective values of design factors are also derived.

Experiments on the Characteristic of Storage Tank in In-Water Harvest-Type Ice Storage System (수중 하베스트형 빙축열시스템의 축열조 특성 실험)

  • 최인수;김재돌;윤정인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9 no.4
    • /
    • pp.366-371
    • /
    • 2000
  • 본 연구는 동적형 빙축열시스템에 있어서 증발판이 축열조 상부에 설치되어 생성된 얼음을 주기적으로 분리, 이탈시켜 하부에 설치된 축열조에 저장하는 기존의 하베스트형 빙축열시스템과는 반대로 축열조 내에 증발판을 설치하여 수중에서 얼음을 생성시키고 분리시켜 부럭에 의해 얼음을 띄워 저장하는 새로운 방식의 수중 하베스트형 빙축열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이다. 본 방식은 축열조 내에 증발판이 설치되어 제빙과 탈빙이 이루어짐으로서 기존 시스템에 설치되는 순환펌프나 순환수 분배기 및 배관 등의 설비가 불필요하고, 또한 조내 물과 증발판이 직접접촉에 의해 열교환이 이루어지므로 기존 공기 중에서의 열교환 방식보다 전열효율이 우수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기의 수중 빙제조 방식에있어 빙 제조시와 방냉시 축열조의 열특성을 실험적으로 밝혀 시스템 최적화 및 성능 향상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PDF

입구 압력에 따른 열진공 시험용 베이스플레이트의 열유동 특성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 Go, Tae-Sik;Seo, Hui-Jun;Jo, Hyeok-Jin;Park, Seong-Uk;Im, Seong-Jin;Mun, Gwi-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4.02a
    • /
    • pp.140.2-140.2
    • /
    • 2014
  • 인공위성은 우주공간의 고진공 상태와 태양 복사열에 의한 고온 및 극저온이 반복되는 가혹한 환경으로 인해 주요 부품의 기능장애가 초래되므로 발사전 지상에서 열진공 시험장비를 이용한 열진공시험을 수행한다. 위성체의 열진공 시험에 사용되는 열교환기인 베이스플레이트(Baseplate)는 우주 열환경을 모사하기 위하여 직접 방열판 표면에 고온 및 저온의 유체를 공급하여 시험 요구에 따른 필요한 열을 공급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우수한 성능의 위성체 부품의 검증을 위해서 지상의 열환경 시험은 접촉식 히터 및 열교환기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적절한 히터 및 블로워 파워를 선정하고 챔버 슈라우드와 열교환에 있어 간섭이 없도록 장비를 운용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상용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열진공 시험용 베이스플레이트에 대하여 전산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베이스플레이트 내의 작동 유체의 입구 압력에 의한 열진공 시험용 열교환기의 성능 특성을 관찰하였다.

  • PDF

Air handling unit utilizing water/air direct contact heat exchanger with mesh (공기조화기내 메쉬삽입 물-공기 직접접촉의 열전달 특성 연구)

  • Jeon, Yong-Han;Mun, Myeong-Hun;Kim, Jong-Yoon;Kim, Nam-Jin;Seo, Tae-Boem;Kim, Chong-Bo
    • Proceedings of the SAREK Conference
    • /
    • 2008.06a
    • /
    • pp.1161-1166
    • /
    • 2008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enhancement of heat transfer by mesh in water/air direct contact air conditioning system. Mesh is inserted as a turbulent promoter in front of the water injection nozzle. Th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with and without mesh and the effect of the number of inserted mesh and mesh porosity size have been studied experimentally. Inserted mesh improves heat transfer efficiency compared to non-inserted mesh system and heat transfer efficiency increased as the number of mesh is increased. Meanwhile, heat transfer efficiency decreased as the porosity of the mesh is increased. With inserted mesh, inlet and outlet temperature difference of air increased more than 50%. Heat exchange time of water/air to reach the 100% humidity decreased less than 30%. This result shows inserted mesh can enhance the performance of the water/air direct contact air conditioning syste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