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직접냉각방식

Search Result 46,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A Study on Enhancement of Residual Heat Removal Capacity in KALIMER (KALIMER 피동 잔열제거계통 제열용량 증진 방안 연구)

  • 어재혁;김의광;김성오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2002.11a
    • /
    • pp.111-116
    • /
    • 2002
  • 고온의 소듐을 냉각재로 사용하는 풀형 액체금속로인KALIMER[1]는 기존의 경수로에 비해 고온에서 운전되므로, 잔열제거계통은 공기 자연순환에 의해 격납용기(CV) 외벽을 직접 냉각하는 방식의 PSDRS(Passive Safety-grade Decay Heat Removal System)[1]를 사용하며, 특히 고온의 구조물 표면온도에 의해 대류전열 외에도 복사전열과정이 활발히 일어난다.(중략)

  • PDF

식품가공에서 Impingement 기술의 응용

  • Lee, Bu-Yong
    • Bulletin of Food Technology
    • /
    • v.11 no.2
    • /
    • pp.70-78
    • /
    • 1998
  • 공기와 같은 유체를 식품의 표면에 직접 고압으로 분사하는 것은 그 식품을 가열하거나, 건조, 냉각, 냉동시키는데 큰 도움을 주고 있다. Impingement-분사(공기, 스팀), 조사(방사선, 레이저), 침투(당액, 냉매) 등의 식품가공기술 기술은 우리가 생활하고 있는 주변에서 일상적으로 나타는 현상이다. 지표면에 태양빛이 전달되는 것이나 상점에서 물건구입시 포장지에 붙은 바코드(barcode)에 레이저빔을 쏘는 것도 모두 Impingement현상이다. 레이더도 전자파를 발사하는것(Impinging)이며, 배나 잠수함도 음파를 발사하여 장애물을 탐지하면서 운항한다. 세차장에서 차를 세차하는 것도 고압의 물을 분사(Impinging)하는 기술이 동원 되는 것이다. Impingement 방식에 의해 식품을 가열하거나 냉각하는 것은 기존의 방법들보다 속도는 느리지만 그만한 값어치가 있는 유용한 식품가공 기법이다.

  • PDF

A Study on Regenerative Cooling System for Thrust Chamber Protection (연소실 보호를 위한 재생냉각 방식 연구)

  • Park, Hee-Ho;Kim, Jung-Hun;Choi, Young-Hwan;Kim, Y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3 no.3
    • /
    • pp.78-85
    • /
    • 2005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stablish the design procedure and develop the program for designing regenerative cooling system. To obtain the design parameter necessary for the realization of regenerative cooling system, water-cooled regenerative cooling system was designed from suggested procedure. To compare experimental results with a present method of analytically predicting the heat transfer loads, $250kg_{f}$ experimental LRE with water-cooled regenerative cooling system was investigated. Based on the investigation, the good correction between the predicted and measured data was verified. Developed design program can be used to designing Kerosene- cooled regenerative cooling system. The basic experimental data and correlations obtained in this study for 250kgf experimental LRE with water-cooled regenerative cooling system can be directly applicable to the real LRE.

용탕직접압연된 Al-Mg-Mn 합금판재의 기계적 특성

  • Kim, Hyeong-Uk;Kim, Min-Gyun;Im, Cha-Yong;Gang, Seok-Bong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9.11a
    • /
    • pp.43.2-43.2
    • /
    • 2009
  • Al-Mg 알루미늄 합금은 강도가 높고 성형성이 우수하여 수송기기 경량화용 소재로서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고강도 특성을 보이는 Al-Mg-Mn합금은 자동차, 선박및 철도차량등의 형재 및 판재로 그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결정립을 미세화 시킨 Al-Mg-Mn합금판재의 경우에는 온간성형으로 복잡한 형상의 판재부품제조에 사용되고 있다. 연속주조공정인 Twin roll strip casting(TRC)은용탕으로부터 직접 판재를 생산할 수 있는 공정으로 주로 순알루미늄계열의 판재 생산에 사용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고강도 판재의 저비용 생산을 위하여 고합금계 판재에 적용하는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합금량이 높은 고강도Al-Mg계 합금의 TRC 주조시 고액공존구간이 커서 더욱 정밀한 공정제어가 필요하다. 또한 기존의 슬라브주조방식보다 높은 냉각속도로 주조가 가능하기 때문에 결정립 및 정출상의 미세화공정으로 응용되기도한다. 본 연구에서는 TRC공정을 기초로 주조시 열간 압연의효과를 동시에 부여하는 용탕직접압연공정을 개발하였으며 상용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인 5083합금 판재를제조하였다. 또한 기존 Al-Mg 합금에 Mn을 첨가하여 용탕직접압연함으로서 정출상의 크기 및 밀도를 제어하여 강도가 우수한 Al-Mg-Mn 합금판재를 제조하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용탕직접압연된 Al-Mg-Mn계 합금의 경우에 주조시 높은 냉각속도로 인하여 결정립이 미세하고 Al6Mn과 같은 미세한 정출상이 다량 형성되었으며, 최종압연 및 열처리에 의하여 높은 강도를 갖는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 판재의 제조가 가능하였다.

  • PDF

Predictions of the Cooling Performance on an Air-Cooled EV Battery System According to the Air Flow Passage Shape (공기 유로 형상에 따른 공랭식 전기자동차 배터리 시스템의 냉각 성능 예측)

  • Jeong, Seok Hoon;Suh, Hyun Kyu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40 no.12
    • /
    • pp.801-807
    • /
    • 2016
  • This paper aims to compare and study the cooling performance of a battery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inlet and outlet geometry of the air passage in an EV. The arrangement and the heat source of the battery module were fixed, and the inlet/outlet area and its geometry were varied with the analysis of the cooling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suggestions for the air flow stream line inside of a battery, the velocity field, and the temperature distributions. It was confirmed that the volume flow rate of air should be over $400m^3/h$, in order to satisfy conditions under $50^{\circ}C$, which is the limit condition for stable operation. It was also revealed that the diffuser outlet geometry can improve the cooling performance of battery system.

A Reliability Study of Direct Flow Control Type Hydraulic Pump by the Electric Motor (전기모터에 의한 직접유량 제어방식 유압펌프의 신뢰성 연구)

  • Sung, Baek-Ju;Kim, Doh-Si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1033-1034
    • /
    • 2011
  • 공작기계에 유압동력을 공급하는 유압동력발생장치의 신뢰성은 공작기계 전체의 신뢰성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전기모터에 의해 유량을 직접제어하는 유압펌프의 시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성능시험, 내환경시험, 그리고 수명내구시험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2단계 품질기능 전개를 통해 전기모터에 의한 직접유량 제어방식 유압펌프의 신뢰성평가 시험항목을 결정하였다. 시험항목에는 전기모터에 대한 항목, 유압펌프에 대한 항목, 하우징 및 냉각시스템에 대한 항목이 포함되어 있다. 신뢰성평가 시험 항목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수명내구시험에 대해 무고장수명시험을 산출하고, 시험소요시간 단축을 위한 가속모델을 제안하고, 실제 구동 조건을 적용하여 가속수명시험시간을 산출하였다.

  • PDF

화력발전소 CWD(Cooling Water Discharge)를 활용한 해양소수력 개발의 기술적인 고찰(화력발전소 CWD와 조위특성과의 Harmony)

  • Eom, Bok-Jin
    • 열병합발전
    • /
    • s.69
    • /
    • pp.15-20
    • /
    • 2009
  • 소수력 계획 시 개발지점에 대하여 수많은 자료와 정보 등을 필요로 하게 되는데 특히 해당지역내의 유량분포에 대한 유황자료는 개발의 판단여부를 결정케 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소수력발전소의 설비용량에 직접 관계되는 설계유량의 결정과 재해방지를 위한 유출의 예측을 가능케 하고 발전소운영 시 가동률 및 경제성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용한 요소이나 여기서 논하는 소수력개발은 하천이나 댐과 같은 유형이 아니라 일정한 유량을 확보하여 배출하기 때문에 문제는 없다. 그러나 계절별 부하에 따른 냉각수량의 변화 및 소수력 발전유량의 변동, 조위(해수면) 변화 등에 따라 달라진다. 그러므로 수위조절을 위한 수문은 이들의 변화에 따라 자동운전이 가능해야 하지만 운전시 발전정격수위를 맞출 수 있도록 수문을 조절한 다음 Turbine Governor에 의해 유량 및 수위를 제어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 냉각수 순환수 계통에 영향이 미치지 않게 언제나 적정수위를 유지시킬 수 있는 운전모드로 구축하는 것이 안정이라 볼 수 있다. 소수력발전설비 및 수문의 오작동 및 고장이 발생할 때 수위가 상승하여 냉각계통에 손실수두 증가, 취수펌프의 양정고 증가와 Surge 발생 등으로 발전소의 정상 운전에 미치는 영향이 없어야 하므로 세밀한 검토가 필요하기 때문에 폐쇄시간과 수압상승 값 등 요인 분석후 설계하여야 한다. Figure A와 같이 국내 화력발전단지에서 냉각수로 사용되고 방류되는 해수는 발전소에 따라 ca.70~150 CMS로 ca.2,000~5000 kW 이상의 수력에너지(H=4m 형성 기준)를 보유하고 있으나, 현재 활용되지 못하고 그대로 해양으로 방류되고 있어 이 수력에너지의 개발 방안을 오래전부터 검토하여 왔다. 발전소 온배수의 원활한 배수를 위한 설계 낙차와 함께 남서해안의 조위변화에 따른 낙차를 이용하는 것으로 소수력 발전 방식과 조력발전 방식의 특징을 동시에 활용할 수 있다.

  • PDF

Comparison of Counter-Current Cooling and Pool Boiling System Through Modeling and Simulation of a Pilot-Scale Fixed bed Reactor for Dimethyl Ether(DME) Synthesis (Dimethyl Ether(DME) 합성을 위한 파일럿 규모의 고정층 반응기의 모델링과 모사를 통한 향류 냉각방식과 포화액체 풀비등 방식의 비교)

  • Song, Daesung;Go, Jae Wook;Yoon, En Sup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47 no.4
    • /
    • pp.446-452
    • /
    • 2009
  • The behavior of a one-step fixed bed reactor which directly synthesizes dimethyl ether(DME) from Natural Gas was simulated. In the reactor, the prevention of the occurrence of hot spots which can cause deactivation of catalysts is pivotal, since methanol synthesis and dehydration reaction involved in the synthesis of DME are highly exothermic. Therefore, we simulated and compared performance of the reactor with counter-current cooling and pool boiling system that can be applied to a commercial plant. As a result, we found that counter-current cooling system is more effective in terms of CO conversion and DME productivity. However, pool boiling system can operate in a small temperature gradient that can decrease problems caused by hot spot. And, the system can operate in a safer range.

Development of Autonomous Navigation Algorithm for Very Small Unmanned Surface Vehicle based on GPS (GPS 기반의 초소형 무인선박을 위한 자율항법 알고리즘 개발)

  • Kim, Hyo-Il;Jun, Seung-Hwan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3 no.5
    • /
    • pp.303-308
    • /
    • 2009
  • Recently, unmanned systems have been studied and developed in various areas including aircrafts, automobiles and vessels. In addition, many researches about unmanned systems in Korea have been studying actively with the advancement of IT However, it is not satisfied with the result of the researches and developments. Bemuse of the reason we've here tried to make a very small USV which is a barge type. We applied the Great circle navigation calculation based on GPS to the autonomous navigation algorithm and used the LabVIEW 8.2 developed by NI corp. for programming The engine and rudder were controlled by pulse width modulation method. The engine system was composed of the DC motor and ESC(Electronic Speed Controller). It was also applied by the direct cooling system using DC motor pump. A very small USV was designed and made by ourself and it was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autonomous navigation algorithm through the tests at the sea.

Refriferator Temperature Control Using Fuzzy Adaptive Temperature Model (퍼지적응온도모델을 이용한 냉기집중제어)

  • 김지관;이정용;이홍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1997.11a
    • /
    • pp.93-97
    • /
    • 1997
  • 본 연구는 새로운 부하(고온의 저장물)가 냉장실 내부에 인입됨에 따라 발생하는 온도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채택된 집중냉각 방식에 있어서의 회전날개의 정지각도 결정 알고리즘 관한 것으로, 특히 냉장실내의 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압축기 (Compressor) 및 냉기팬(냉기를 냉장실내에 불어넣기 위한 팬)의 운전상황을 입력으로 냉장실내 여러 영역에서의 온도를 추정하는 퍼지적응모델을 이용하여 온도불균형 영역을 검지하고, 이에 따라 회전날개의 각도를 제어함으로서 냉장실 내부의 온도평형을 신속히 이루게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