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직물(織物)

Search Result 1,955,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nalysis of Drapability of Men's & Women's Suit Fabrics (남녀 수트직물의 드레이프성 분석)

  • Lee, Mee-Sik;Kim, Eui-Ky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30 no.12 s.159
    • /
    • pp.1723-1729
    • /
    • 2006
  • Drapability is an important factor determining the end-use of fabrics. In this research, characteristics of drapability of men's and women's suit fabrics were analyzed. The hand and the preference for suit fabrics were measured by the subjective and objective evaluations. To find out the details of the drapability characteristics of suit fabrics, the drape was measured by using Cusick drape tester and was processed by image analysis software. Seasonal difference was obvious both in men's and women's fabrics. The average drape ratio of women's S/S suit fabrics showed the highest value, 0.724, then decreased in the order of men's F/W> men's S/S> women's FW. Wave amplitude showed the same order to the drape ratio. Men's fabrics were more drapable in spring and summer season rather than in fall and winter season. Women's fabrics showed the opposite trend, in other words, S/S suit fabrics were less drapable than F/W fabrics.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rape ratio between men's and women's fabrics regardless of season. For S/S, men's fabrics were more drapable than women's ones, whereas, for F/W, women's fabrics were more drapable.

Analysis of Morphological Degradation Examined in Bast Fibers of Archaeological Textiles (미국 Seip토루의 직물유물 중 인피섬유에서 관찰되는 형태학적 손상에 관한 연구)

  • 안춘순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2 no.6
    • /
    • pp.679-690
    • /
    • 1998
  • 미국 오하이오주 남서쪽에 위치한 Seip 토루군(100 B.C.-A.D. 500경)의 출토유물들에 대하여 현미경으로 관찰되는 인피섬유의 형태학적 손상을 분석하였다. 형태학적 손상이란 외부로부터의 물리적 혹은 화학적 요인에 의해 섬유은 표면과 내면에 발생하는 형태변형을 말한다. Seip직물에 포함된 인피섬유의 형태학적 손상 정도는 본 연구를 위해 제작된 인피섬유손상지로(IBFM)의 점수의 합으로 나타내었다. Seip직물들은 육안으로 보았을 때 우선 숯과 같이 검은 색을 띄고 있는 직물들과 그렇지 않은 직물군으로 분류되었는데 발굴보고서에 설명된 시신과 관련 부장품들의 수습상황으로 미루어 볼 때 검게 된 직물군은 부분적으로 하장된 시신의 부장품이었으며 검게 되지 않은 직물군은 일반매장된 시신의 부장품으로 보였다. Seip직물들은 다시 서로 다른 조직에 따라 분류되는 직물군으로 나뉘어 질 수 있었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들 중 가장 빈번히 보이는 교차쌍 위사 트와인조직(Spaced alternate-pair weft-twining)으로 만들어진 직물군과 그 밖의 조직으로 되어 있는 직물군으로 나누고 이들을 각각 얼터씨이트(Alternate)와 기타조직(Pooled)으로 명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eip직물들 간에 매장법에 의해 손상정도의 차이가 발생했으며 특히 부븐적으로 화장된 직물과 그대로 묻혀진 직물들 간에 섬유손상 정도의 차이가 있었을 것으로 좌고 이를 확인하기 위해 검게된 직물군과 검게 되지 않은 직물군 간에, 그리고 얼터네이트와 기타조직으로된 직물군들 간에 IBFM 점수의 차이가 있는지 조사하였다. 섬유의 형태학적 손상은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에 이용된 총 샘플수는 총 132개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t-test를 이응하여 분석 하였다. T-test의 분석결과 Seip 직물들은 검게된 직물군과 검게되지 않은 직물군 사이에서 유의한 손상 정도의 차이를 볼 수 있었으며 반면에 조직에 따른 분류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볼 수 없었다. IBFM의 평군점수를 비교하면 검게된 직물군보다 검게되지 않은 직물군이 더 높은 점수를 나타내어 후자가 더 많이 손상된 것으로 보여졌다. 7개의 손상형태를 독칩적으로 보았을 때 섬유속의 분리정도 (degree of bundle separation) , 횡금(transverse crack) , 그리고 횡선 (transverse striations) 이 검게된 직물군과 검게 되지 않은 직물군 사이에서, 섬유속의 분리정도, 종금(lengthwise striations)과 횡금이 얼터네이트와 기타조직 사이에서 각각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 PDF

A Study on Therm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Aramid Fabrics (아라미드 직물의 열적 성질과 역학 성질에 관한 연구)

  • An, Seung-Kook
    • Textile Coloration and Finishing
    • /
    • v.11 no.1
    • /
    • pp.42-47
    • /
    • 1999
  • 본 연구는 노멕스 직물과 일반 방염직물의 쾌적성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인자를 찾기 위하여 직물의 열적 성질과 역학 성질에 관하여 연구한 것이다. 사용된 직물은 재해를 일으킬 수 있는 환경에서 방호용 의복으로 사용되는 노멕스 직물이 주를 이루며, 비교를 위하여 방염직물과 쾌적성이 좋은 일반직물을 포함시켰다. 직물의 물리적 성질과 열 특성을 측정하였으며, 역학 성질을 측정하여 노멕스 직물과 다른 직물을 서로 비교 분석하였다. 노멕스 직물은 파이버 자체가 뻣뻣하기 때문에 쾌적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소프트감을 높이는 것이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같은 노멕스 직물이라도 쾌적성 면에서 서로 차이를 보여주므로 직물의 구조적 성질이 직물을 구성하고 있는 파이버 성질보다 쾌적성에 더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the Data Base of Fabric Design on the PET Woven Fabric for Sensitive Clothing -Comparison between Japanese and Domestic Fabrics- (감성 의류용 PET직물설계 DB에 관한 연구 - 일본과 국내 직물 비교 -)

  • 김승진;강지만;정기진;박경순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2003.04a
    • /
    • pp.255-258
    • /
    • 2003
  • 합섬소재를 이용한 의류용 직물설계1)에 있어 원료의 특성과 경ㆍ위사의 번수, 직물의 조직 및 밀도에 따른 직물설계 조건$^{2)}$ 은 다양하게 변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이론적 배경과 실제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데이터는 미흡한 수준이다. 따라서 다품종 소량 생산 체제에 대비하는 다양한 소재의 설계에 필요한 Data Base 구축이 필요한 실정$^{3)}$ 이다. 본 연구는 직물용 CAD System에서의 합섬 의류용 직물설계에 응용 가능한 DB를 구축하기 위해 국내 직물설계$^{4)}$ 와 일본 직물설계$^{5}$)를 비교하여 국내직물의 수준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실제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각각 100여 종류의 직물설계조건들을 조사ㆍ분석하여 국내와 일본 직물설계를 비교함으로써 감성 의류용 합섬 소재 설계에 있어 체계적인 지표가 되고 보다 우수한 품질을 위한 직물설계의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현업에 있는 업체와 기관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중략)

  • PDF

A Study on the Data Base of Fabric Design on the PET Woven Fabric for Sensitive Clothing (감성 의류용 PET 직물설계 DB에 관한 연구)

  • 심승범;김승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2.11a
    • /
    • pp.172-176
    • /
    • 2002
  • 본 연구는 감성 의류용 PET 직물 소재별 직물설계 조건의 DB 구축을 목적으로 하여 직물 소재 설계시 보다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의류용 합섬 소재 설계 방향을 제시하고 이들을 의류용 합섬 직물 설계시 적용가능한 기존의 CAD System에 응용할 수 있는 기초 연구를 수행하고자 국내 현업에서 적용되고 있는 100여 종류의 합섬직물의 설계 조건을 Data Base 化하여 경사, 위사의 굵기와 밀도계수 그리고 조직에 따른 이들 직물의 설계조건을 조사분석하였다. 그 결과 경위사 번수별, 조직별로 다양한 경·위사밀도를 가짐으로서 최종용도에 따라 다양한 밀도계수 분포를 보임을 확인하였으며 경·위사 번수별로 다양한 직물 조직에 따른 밀도계수 값으로 경·위사의 밀도 분포를 도시화함으로서 현업의 직물설계시 밀도선정에 보다 용이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향후 보다 많은 Data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소재별 합섬 직물의 설계에 필요한 Data Base를 더 보완하고 기존의 직물 CAD 시스템에 접목시킴으로서 기존의 직물CAD의 효율적인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Relationship between Rustling sounds and Physical Properties of Suiting Fabrics (슈트용 직물의 스치는 소리와 물성간의 관계)

  • 조질수;이은주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2 no.1
    • /
    • pp.157-168
    • /
    • 1999
  • 슈트용 직물을 대상으로 직물이 스치는 소리를 재현하여 이를 녹은하고 FFT 분석을 통하여 얻은 음향 스펙트럼을 기초로 음색을 정량화할 수 있는 요인을 개발하여, 음색 요인과 KES system에 의해 측정한 직물의 물리적 성진 간의 관계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직물 소리의 음향 스펙트럼을 기초로 하여 최고 음압과 최저 음압의 차이인 ΔL과 최고와 최저 음압에 해당되는 주파수 간 차이인 Δf, 총음압 LPT의 세가지 요인을 음색 요인으로 정하여 각 직물의 음색 요인 값을 추출하였고, KES를 이용하여 각 직물의 17개의 물리적 성질의 수치를 구하였다. 세 가지 음색 요인과 직물의 물리적 성질 간의 상관관계에서 ΔL은 직물의 인장 회복력과 두께와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Δf는 직물의 인장 선형성화 전단성질, 압축에너지, 무게와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보이며, LPT는 최대하중시 신장성, 인장 선형성, 인장 에너지와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가지 음색 요인과 직물의 물리적 성질 간의 단계별 희귀관계에서는 LPT가 직물의 물리적 성직(EM, MIU, RC, LT)에 의해 가장 잘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시도한 절량화된 음색은 직물의 물리적 성질과 유의한 관계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 PDF

Thermal Characteristics of Silk/Cotton Fabric by PCM and Chitosan Treatment (PCM과 키토산 처리된 실크혼방 직물의 열적특성)

  • Ma, Jae-Hyuk;Yang, Kyoung-Suk;Koo, K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12.03a
    • /
    • pp.59-59
    • /
    • 2012
  • 의류용 섬유제품은 고유의 기능인 보온성을 비롯하여, 태나 착용감, 또는 패션에 부응하는 다양한 성능이 요구되고 있다. 섬유 직물의 보온기능은 경량 보온과 축열 보온 그리고 발열 등이 중요한 기능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특히 적극적인 보온성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그 개선책으로서 패션소재표면에 상전이물질을 코팅하여 보온성을 조사했다. 상전 이물질 (PCM,Phase change materials) 입자를 DSC분석기로 측정하여 열거동을 관찰하였고, 실크직물과 실크혼방 직물에 PCM과 키토산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보온성 테스트와 SEM을 측정하였다. 실크직물과 실크혼방 직물에 PCM과 키토산 처리하여 직물의 보온성을 측정해 본 결과, 실크직물 9.1% 실크혼방 직물은 29.9%로 실크혼방 직물이 실크직물보다 우수한 보온성을 보였다. SEM 관찰에서도 실크직물과 실크혼방 직물의 표면에 PCM입자의 침투정도도 확연한 차이를 보였다. 이를 미루어 볼 때 실크직물보다 실크혼방 직물에 PCM과 키토산을 처리하였을 경우 우수한 보온성을 보인다고 생각된다.

  • PDF

Water Vapour Transfer through Fabrics for Outdoor Activities (야외 운동복용 직물에서의 수분전달)

  • O, Ae Gyeong;Park, Jeong Wan
    • Textile Coloration and Finishing
    • /
    • v.15 no.3
    • /
    • pp.66-66
    • /
    • 2003
  • 야외 운동(outdoor activities)복에 사용되는 소재들은 외부로부터 신체를 안전하게 보호해 주어야 될 뿐 아니라 쾌적하게 유지시켜 주어야 한다. 의복착용시 쾌적감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몸의 열적 평형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인 수분전달 특성이다. 본 연구는 여러 종류의 야외 운동복용 직물에서의 수분전달 현상을 조사하여 규명하므로써 이 직물들이 실제 의복생활에 응용될 의복계 (clothing system)를 형성하였을 때의 수분전달 현상을 설명하고자 하는 기초연구이다. 연구의 결과는 base layer용, mid layer용 직물들이 shell layer로 쓰이는 waterproof breathable 직물보다 수분 전달률이 높았으며, waterproof breathable 직물의 수분 전달률은 microfibre 직물, PTFE-laminated 직물 그리고 polyurethane coated 직물 순 이었다. 또한 polyurethane 직물에서는 back coated 직물이 face-coated 직물보다 수분 전달률이 높았다.

Water Vapour Transfer through Fabrics for Outdoor Activities (야외 운동복용 직물에서의 수분전달)

  • Oh, Ae-gyeong;Park, Jung-whan
    • Textile Coloration and Finishing
    • /
    • v.15 no.3
    • /
    • pp.192-196
    • /
    • 2003
  • 야외 운동(outdoor activities)복에 사용되는 소재들은 외부로부터 신체를 안전하게 보호해 주어야 될 뿐 아니라 쾌적하게 유지시켜 주어야 한다. 의복착용시 쾌적감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몸의 열적 평형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인 수분전달 특성이다. 본 연구는 여러 종류의 야외 운동복용 직물에서의 수분전달 현상을 조사하여 규명하므로써 이 직물들이 실제 의복생활에 응용될 의복계(clothing system)를 형성하였을 때의 수분전달 현상을 설명하고자 하는 기초연구이다. 연구의 결과는 base layer용, mid layer용 직물들이 shell layer로 쓰이는 waterproof breathable 직물보다 수분 전달률이 높았으며, waterproof breathable 직물의 수분 전달률은 microfibre 직물, PTFE-laminated 직물 그리고 polyurethane coated 직물 순 이었다. 또한 polyurethane 직물에서는 back coated 직물이 face-coated 직물보다 수분 전달률이 높았다.

A study of Luminescence effects of POF-woven Fabric Display by Method of Weaving (직물화 방식에 따른 유연 광섬유 직물 디스플레이의 광원 색채별 발광효과에 관한 연구)

  • Yang, Jin-Hee;Park, Sun-Hyung;Cho, Hyun-Seung;Lee, Joo-Hyeon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6 no.4
    • /
    • pp.517-526
    • /
    • 2013
  • This paper reports on flexible plastic optical fiber (POF) fabric displays which are used to develop light-emitting clothing from photonic fabric. We first evaluated the luminescence value corresponding to different methods of processing flexible optical fibers, types of reflective fabric structure, and colors of the light. Moreover, we tried to identify the optimum conditions of the flexible POF fabric displays to realize high luminescence value. The processing methods that were compared were the "Pre-etching" method and the "Post-etching" method. On the basis of the reflective structure of the fabric, the fabrics were categorized as the "White fabric" and the "Reflective fabric."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effect of the processing method is more dominant than that of the types of reflective fabric structure. Further, the capability of the Post-etching method to increase luminescence value i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the Pre-etching method. Further, the 'Reflective fabric' is slightly more efficacious as the base fabric to increase the luminescence value, than the White fabric is. Thus, optimum increase in luminance can be realized by employing the Post-etching method and the Reflective fabric as the base fabr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