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형 변화

Search Result 2,415,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Revised Surface Gradient Method for the Hyperbolic-Type Shallow-Water Equations on Irregular Bathymetry (불규칙 지형상의 쌍곡선형 천수방정식 해석을 위한 개선 표면경사법)

  • Kim Dae-Hong;Yi Yong-Kon;Cho Yo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424-428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임의로 변화하는 지형상에 적용시에 보존 특성이 성립하는 쌍곡선형 천수방정식 해석 기법을 개발하였다. 일반적으로 쌍곡선형의 천수방정식은 상류와 사류를 쉽고 정확하게 해석할 수 있고, 또한 Euler 방정식 해석기법을 이용한 다양한 해석기법이 개발되어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바닥지형이 변화하는 경우, 생성항과 플럭스항 사이에 수치적 해석기법 차이에서 발생하는 수치적 불균형이 발생하여 수치모형의 적용성이 현저하게 저하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현상을 개선하기 위하여, 기존의 표면경사법을 개선한 기법을 제시하였다. MUSCL-Hancock 기법과 HLLC 근사 Riemann 기법을 이용하였으며, 플럭스항과 수치적 균형을 이루기 위한 이산화기법을 제안하였다. 모형의 검증을 위하여 정상류 상태의 상류와 사류 해석을 수행하였고, 마른바닥에서의 댐붕괴파와 수직한 지형 변화를 갖는 수로상의 서지의 진행 등과 같은 부정류에 대하여 적용하였다. 적용결과, 매우 정확하고 수치적으로 안정된 계산결과를 얻었다.

  • PDF

Detection and Analysis of Post-typhoon Three-dimensional Changes in Haeundae Beach Topography using RS and GIS Technology (RS.GIS 기법을 활용한 태풍 전후 해운대 해빈지형의 3차원 입체변화 탐지 및 분석)

  • Hong Hyun-Jung;Choi Chul-Uong;Yang Ji-Yeon;Kim Yeon-Soo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6.03a
    • /
    • pp.365-368
    • /
    • 2006
  • 국내 해빈지대의 경우, 인위적 개발과 기상학적 현상, 특히 태풍의 영향으로 다량의 모래가 유실되고 있다. 해안침식 종합대책 수립 및 사업실행에 있어 해안지형에 관한 정확한 자료 구축은 필히 요구된다. 그러나 현재까지, 연안에 관한 정확한 측량작업이 실행되지 않은 채, 모래 유실에 대한 문제 제기나 일시적 대책 마련에 급급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연구지역을 해운대 해빈지역으로 선정하고, GPS 측량기법을 이용하여 해안지대의 정확한 공간자료를 구축하였으며, 태풍으로 인한 3차원 지형변화를 정밀하게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태풍의 영향으로 호안벽 근처 해빈고도는 증가하였으나, 강풍과 북북동의 정온입사파로 $2320m^3$ 가량 해빈이 침식하였다. 특히 동측 해빈지대에서 침식현상이 뚜렷하게 발생하였다. RS, GPS, GIS 기법을 기반으로 해안지대의 정확한 공간DB 구축과 지형변화에 관한 정량적정성적 분석 작업은 국내 해안침식에 관한 체계적이며 효과적인 대책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Variation of Erosion and Deposition with Catchment Characteristic Factors (유역특성인자에 따른 침식 및 퇴적의 변화)

  • Yu, Wan-Sik;Lee, Gi-Ha;Lee, Kun-Hyuk;Lee, Bok-Hwan;Jung, Kwan-Su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95-299
    • /
    • 2011
  • 자연계에서 토양의 침식 및 퇴적 반복적 과정은 매우 복잡한 형태로 발생하며, 호우로 인한 토사유출은 유역의 지형 및 지질학적 특성과 수문기상학적 특성 등에 의해 매우 민감하게 반응한다. 즉, 토양 침식 및 퇴적은 유역의 형상, 토양종류, 토지 이용 및 피복상태, 강우사상 등에 따라 시 공간적 분포가 다양하게 변화한다. 따라서 유역내 침식 및 퇴적의 시·공간적 변동성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지형학적 특성인자와 수문기상학적 특성인자에 따른 유역내 수문학적 응답을 이해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분포형 강우-유사-유출 모형을 이용하여 용담댐 상류 천천유역을 대상으로 Strahler 하천차수구분법에 의해 유역을 차수별 소유역으로 구분하고, 지형학적 특성인자(유역면적, 지표흐름 이동거리, 국부경사)와 수문학적 특성인자(총 강우량)에 따른 침식 및 퇴적의 공간분포 변화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 PDF

Effect of Sound Velocity on Bathymetric Data Aquired by EM120(multi-beam echo sounder) (EM120(multi-beam echo sounder)을 이용한 지형조사 시 적용되는 해수 중 음속 측정의 중요성; 수중음속 측정장비의 특성 비교)

  • Ham, Dong-Jin;Kim, Hyun-Sub;Lee, Gun-Chang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13 no.3
    • /
    • pp.295-301
    • /
    • 2008
  • Bathymetric data collected using a multi-beam echo sounder during marine scientific survey is essential for geologic and oceanographic research works. Accurate measurment of sound velocity profile(SVP) in water-column is important for bathymetric data processing. SVP can vary at different locations during the survey undertaken for wide areas. In addition, an observational error can occur when different equipments(Sound Velocity Profiler, Conductivity Temperature Depth, eXpendable BathyThermograph) are used for measuring SVP at the same water column. In this study, we used an MB-system software to show changes in bathymetry caused by variation of SVP. The analyses showed that the sound velocity(SV) changes due to the depth and thickness of thermocline had more significant effects on the resulting bathymetric data than those of surface mixed layer. The observational errors between SVP measuring instruments did not cause much differneces in the processed bathymetric data. Bathymetric survey line is better to be established to the direction that the change of temperature can be minimize to reduce the variation of SVP during the data acquisition along the survey line.

Bathymetric Change of a Sand Mining Site within EEZ, West Sea of Korea (서해 배타적경제수역[EEZ]내 해사채취구역의 지형변화)

  • Kim, Baeck-Oon;Lee, Sang-Ho;Yang, Jae-Sam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6 no.8
    • /
    • pp.836-843
    • /
    • 2005
  • Two data sets of repeated hydrographic surveys with a single beam echo-sounder were obtained to investigate morphological changes on a sand mining site within EEZ near the Eocheong Islands, West Sea of Korea. Their accuracies of depth measurement, estimated from the crossover analysis, correspond to the Oder 2 of IHO standards. Bathymetric maps show a feature of 300m wide and 10m deep hollow, whose evolution can be seen in difference grids of the two bathymetric maps. However, data of higher accuracy and resolution enable precise quantification of extracted sand volume. Since this morphological change could affect sedimentary environment as well as benthic ecology,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based on scientific research data is required for management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f limited sand resource.

Sensitivity Analysis of Sediment Transport Scaling Factors on Cross-Shore Beach Profile Changes using Deflt3D (해빈 단면의 지형변화 모의를 위한 Delft3D 내의 표사이동 관련 매개변수의 민감도 분석)

  • Yang, Jung-A;Son, Sangyo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31 no.6
    • /
    • pp.493-500
    • /
    • 2019
  • In this study, sensitivity analysis of sediment transport scaling factors in Delft3D-Morpholog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effect those parameters on simulation results of cross-shore profile changes. For numerical experiments, one-year wave time series data which were observed in 2018 on the Maengbang coast in Gangwon prefecture were applied as external force. Bathymetric data observed in January and October of the same year were used as initial bathymetric data and annual bathymetric change data, respectively. The simulation performance of the model was evaluated based on the Brier Skill Score index for each part by dividing an arbitrary cross section within the calculation domain into the onshore and offshore parts. As a result, it was found thet the fBED variable has a slight effect on the simulation results. The fBEDW and fSUSW variables show good simulation performance in onshore part when the value less than 0.5 is applied and vice versa. Among the experimental conditions, the optimal combinations of variables are fBED = 1.0, fBEDW = 1.0, fSUSW = 0.1 for the onshore region and fBED = 1.0, fBEDW = 1.0, fSUSW = 0.5 for the offshore region. However, since these combinations were derived based on the observation data on Maengbang beach in 2018, users should be careful when applying those results to other areas.

The Analysis of Regional Scale Topographic Effect Using MM5-A2C Coupling Modeling (국지규모 지형영향을 고려하기 위한 MM5-A2C 결합 모델링 특성 분석)

  • Choi, Hyun-Jeong;Lee, Soon-Hwan;Kim, Hak-Sung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6 no.3
    • /
    • pp.210-221
    • /
    • 2015
  • The terrain features and surface characteristics are the most important elements not only in meteorological modeling but also in air quality modeling. The diurnal evolution of local climate over complex terrain may be significantly controlled by the ground irregularities. Such topographic features can affect a thermally driven flow, either directly by causing changes in the wind direction or indirectly, by inducing significant variations in the ground temperature. Over a complex terrain, these variations are due to the nonuniform distribution of solar radiation, which is highly determined by the ground geometrical characteristics, i.e. slope and orientation. Therefore, the accuracy of prediction of regional scale circulation is strong associated with the accuracy of land-use and topographic information in meso-scale circulation assessment. The objective of this work is a numerical simulation using MM5-A2C model with the detailed topography and land-use information as the surface boundary conditions of the air flow field in mountain regions. Meteorological conditions estimated by MM5-A2C command a great influence on the dispersion of mountain areas with the reasonable feature of topography where there is an important difference in orographic forcing.

An analysis of the coastal topography and land cover changes in the Haeundae Beach using GIS/RS (GIS/RS를 이용한 해운대 해수욕장의 해안지형 및 토지피복 변화 분석)

  • Yang Ji-Yeon;Choi Chul-Uong;Hong Hyun-Jung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6.03a
    • /
    • pp.63-67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해안침식이 진행되고 있는 해운대 해수욕장의 장기 해안지형 변화 및 인근지역의 토지피복 변화에 대해 분석하였다. 지난 60여 년간의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해안선을 추출하고 이를 수심측량 및 GPS측량 자료를 이용하여 조위보정한 후, 해빈면적을 추출하여 해안지형 변화를 분석하였다. 또한 환경부 토지피복 세분류를 기준으로 하여 육안판독을 통해 13개년도의 토지피복도를 제작하고 토양유실량을 산정하여 연도별 토지피복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해운대 해수욕장의 해안선이 점진적으로 후퇴하고 있으며 해수욕장 면적이 전체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춘천천 복개 및 도시개발에 의한 모래 공급원 차단이 이러한 해안침식에 영향을 주는 인위적 원인이라고 사료된다.

  • PDF

A Study on the Tidal Flow Characteristics of Before and After Constructed Keum River Estuary Dike (금강하구둑 건설 전${\cdot}$후의 흐름특성에 관한연구)

  • Shin, Moon Seup;Lee, Dong Joo;Hong, Sung Kun;Kim, Jae Hyoung;Park, Sung Yo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992-996
    • /
    • 2004
  • 천해역(shallow sea area)에서의 조류 형태(tidal flow regime)는 주로 만(bay)이나 해안선(shoreline)의 형태, 해저 지형(bottom topography), 수로(channel), 천퇴(sand bar)나 간석지(tidal flat) 등의 지형적인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본 연구는 복잡한 지형적 변화 및 천해특성에 기인된 조석(tide)의 현상이 뚜렷이 나타나는 금강하구(Keum River Estuary)를 하구둑(Estuary Dike) 건설 전${\cdot}$후(Before and After Constructed)의 수심(depth)변화 및 유속(current)변화를 수치실험(numerical experiments)으로 고찰했다.

  • PDF

Analysis of Principal Storm Surge in the Downstream of Nakdong River (낙동강 하류역의 주요 폭풍해일고 검토)

  • Kim, Da-In;Kim, Kang-Min;Lee, Joong-Woo;Kwon, So-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11a
    • /
    • pp.34-35
    • /
    • 2018
  • 낙동강 하류역은 최근의 퇴적우세 지형변화와 더불어, 기후변화에 따른 태풍강도 강화 등으로 인한 해일고 증가가 우려된다. 따라서, 과거 태풍자료를 수집 분석한 후 연구지역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태풍을 모델 태풍으로 선정하여 낙동강 하류역에 위치한 주요지점별 폭풍해일고 변화를 파악하였다. 실험결과, 최대 폭풍해일고는 태풍 매미 내습시에 나타났으며, 하단 매립지 전면에서 1.1~1.5m, 명지주거단지 전면에서 1.2~1.3m, 녹산국가산업단지 전면에서 1.3~1.5m로 하단 매립지 전면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향후, 과거 지형변화를 고려한 폭풍해일고 검토를 통하여 최근의 급격한 지형변화로 인한 영향을 파악한 대비를 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