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형변수

Search Result 642,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n analysis of the correlation for runoff characteristics with the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n the Han River basin (한강 유역의 지형학적 특성과 유출의 상관분석)

  • Lee, Ji Haeng;Lee, Woong Hee;Choi, He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6-36
    • /
    • 2017
  • 일반적으로 유역의 지형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인자들은 유역면적, 유로연장, 유로경사 등 여러가지가 있다. Horton (1945)은 수계의 발달 형태에 기초한 하천의 차수를 이용하여 분기비, 길이비, 면적비, 하천 밀도 등 지형학적인 매개변수로 제시하였다. 유역 지형학적 매개변수는 Horton이 제시한 유역내 하도망의 지형학적인 구성에 대한 특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유출에 지배적인 영향을 미친다. 한강 유역 19개 하천의 27개 지점을 대상으로 유출 특성과 지형학적 특성의 상관 분석을 위하여 유역과 하천의 지형학적 특성을 Arc-Map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하천차수법칙에 의한 지형학적인 매개변수로 분기비, 길이비, 함몰도, 면적비를 산정하였고, 유역의 지형학적 인자는 유역면적, 유로연장, 유로경사, 형상계수, 단일형상계수, 세장률, 수계밀도, 수계빈도를 산정하였다. 수계의 연간 유출률은 실측 유출량과 강수량 자료를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각각의 지형학적 특성인자에 대한 상관 매트릭스를 분석하고 그 상관특성을 분석하였다. 특히 지형학적 매개변수와 지형학적 요소와 연간 유출률과의 상관관계식을 제시하였다.

  • PDF

The Factor Analysis of Topography on Precipitation in Jeju-island (산악형 강수의 지형학적 영향 요인 추출에 관한 연구)

  • Yun, Hye-Seon;Um, Myoung-Jin;Cho, Won-Cheol;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2-16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산악형 강수의 특성을 보이는 제주도의 여러 지형 조건과 강수량의 관계를 확인하고 강수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인자를 분석하였다. 제주도는 원추형의 형태로 중심에 한라산이 있는 전형적인 산악형 지형이고 해발고도의 분포가 $EL.0^{\sim}1950m$로 다양하여 본 연구의 대상지역으로 선정하였다. 강우자료는 제주도 내 기상관서 4개소(제주, 서귀포, 성산포, 고산) 및 자동기상관측소(AWS) 13개소의 관측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짧은 자료기간을 보완하기 위해 지역빈도해석을 적용하여 확률강우량을 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강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지형인자 6개를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하여 추출하였으며, 추출된 지형인자에 대하여 요인분석으로 대표 인자를 추출하고 요인과 실제변수들의 강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검정결과 도출된 요인을 이용하면 강수량 산정 시 지형 변수들의 영향을 반영함과 동시에 보다 적은 수의 변수를 이용하여 지형 변수들을 모두 반영하였을 경우와 비슷한 결과를 얻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추후 지형 변수들을 추가로 확보하여 지형특성을 반영한 간편하고 합리적인 강수량을 산정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xtraction and Analysis of Topographic Variables from DTM: A Case Study in Jeju Island (DTM으로부터 지형변수의 추출 및 분석: 제주도 사례연구)

  • Kim Seok Choong;Cho Sung Hyen;Kim Hyoung Chan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
    • v.9 no.3
    • /
    • pp.56-61
    • /
    • 2004
  • The topographic variables, which influence the precipitation phenomena, are classified by elevation (ELEV), slope (SLOPE), distance to sea (SEA), obstruction (OBST), barrier (BAR), roughness (SHIELD), extracted and analysed according to resolutions. This study is performed through 100 m, 200 m, 400 m, 600 m, 800 m and 1,000 m based on 50 m DTM using TOVA (Topographic Variables Extraction Program). The result of a case study on Jeju weather station says that the variance according to resolution is generally less than that according to cardinal direction, but particularly SHIELD values and some cases for 600m resolution have a significant results.

A Study on Terrain Classification and Interpolation in Digital Terrain Model (수치지형모델에 있어서 지형분류와 보간에 관한 연구)

  • Yeu, Bock-Mo;Kwon, Hyon;Kim, In-Sup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7 no.2
    • /
    • pp.53-61
    • /
    • 1989
  • In this paper the quantitative classification parameters of terrain which can be practicable to the interpolation of digital terrain model forming a regular grid pattern have been suggested and objective terrain classification have been established by making a cluster analysis using these parameters. Also, interpolation suitable to the classification of terrain has been used by making a descriminant alaysis from description parameters of terrains. The terrain classification in this paper was dependent upon two parameters of the ratio horizontal area to inclined area and the magnitude of harmonic vectors. And the studying area was seperated to three groups of terrains by these two parameters. Three groups of terrains could be classified into the discriminant functions. By determining the ratio of area and harmonic vector magnitude in any terrains using the above discriminant function, it was possible to discriminate the terrains to apply the interpolation practicable to the terrain characteristics.

  • PDF

Optimal Parameters Estimation of Diffusion Analogy-GIUH Model for Estimation of Reservoir Flood Inflow (저수지 홍수유입량 산정을 위한 확산-유추 지형학적 순간단위도 모형의 최적매개변수 추정)

  • Choi, Yong-Joon;Kim, Joo-Cheol;Lee, Gi-Ha;Jeong, Kwan-Su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322-1326
    • /
    • 2010
  • 확산-유추 지형학적 순간단위도는 통계물리적인 모형으로 이론적 물리적으로 뛰어난 모형임에도 불구하고 유역의 동적 매개변수인 특성유속과 확산계수의 산정이 어려워 실제적인 사용이 제한되어 왔다. 이러한 난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금강수계의 보청천 산성유역을 대상으로 전역최적화 기법인 SCE-UA를 이용하여 확산-유추 지형학적 순간단위도 모형의 동적 매개변수 산정하였으며, 모형의 재현성을 3개의 수문사상을 이용하여 검토하였다. 매개변수의 최적화 결과 차수 단계별 특성유속 및 확산계수의 증감은 변동을 보이지만, 전체적인 경향성은 특성유속의 경우 하천차수가 커질수록, 즉 하류방향에 대해 증가 경향을 나타내며, 반대로 확산계수는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최적화 방법에 향후 지체시간, 분산 및 왜곡도 등의 통계적인 제약조건과 동적 매개변수의 공간적 변화 등의 물리적인 의미를 갖는 제약조건 등이 결합된다면 좀 더 발전된 모형으로 개선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he Application of Digital Terrain Model with respect to the Quantitative Measurement of the Terrain Roughness (지형변화의 양적측정에 의한 수치지형모델의 적용)

  • Yeu, Bock-Mo;Kwon, Hy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5 no.1
    • /
    • pp.43-48
    • /
    • 1987
  • The terrain is classified by the parameters-gradient, curuature, bump frequency and the ratio of the surface area to the corresponding planar area- that indicate the quantitative measurement of the terrain roughness, and the terrain is fitted to the polynomial function. According to the terrain roughness, the flat terrain, the gently undulating terrain, the rough terrain are classified The flat terrain, the gently undulating terrain and the rough terrain are fitted to the plane function, the 3th or 5th polynomial function and the 5th polynomial function, respectively.

  • PDF

Comparison of Topographical Parameter for DTED and Grid DEM from 1:50,000 Digital Map (DTED와 1:50,000 수치지형도에 의한 격자 DEM의 지형 매개변수 비교)

  • Kim, Yeon-Jun;Shin, Ke-Jo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5 no.3
    • /
    • pp.19-32
    • /
    • 2002
  • Topographic information is indispensable in the applications that require elevational data. These applications are exemplified by watershed partition, extraction of drainage networks, viewshed analysis, derivation of geomorphologic features, quantification of landslide-terrain, and identification of topographic settings susceptible to landsliding. Therefore, we study the accuracy of data on topographic parameters derived from digital elevation models(DEMs). This research wished to analyze the effect that data source and grid size get in topography parameter using gridded DEM. An analysis of topography parameter extract and compared drainage basin, watershed slope, stream network using DEM is constructed by digital map and DTED DEM. Especially, when extract stream network from gridded DEM, received much effects according to threshold value of flowaccumulation regardless of DEM grid size. Therefore, this study applied equal threshold value of flowaccumulation for two data sources, and compare and analyzed stream network.

  • PDF

A Study on the extraction of hydrologic-Model input parameter using GSIS (GSIS를 이용한 수문모형 입력매개변수 추출에 관한 연구)

  • Lee, Geung-Sang;Chae, Hyo-Seok;Park, Jeong-Nam;Cho, Gi-S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8 no.2 s.16
    • /
    • pp.11-22
    • /
    • 2000
  • It needs to extract the accurate topological characteristics and hydrological parameters of watershed in order to manage water resource efficiently. But, these data are processed yet by manual wok and simple operation in hydrologic fields. In this paper, we presented algorithm that could extract topological characteristics and hydrological parameters over watershed using GSIS and it gives the saving of data processing tin and the confidency of data. We presented coupling method between GSIS and hydrologic model by using extracted parameters into the input parameter of HEC-HMS hydrologic model. The extraction procedure of topological characteristics and hydrological parameters is as below. First, watershed and stream are extracted by DEM and curve unmber is extracted throughout the overlay of landuse map and soil map. Also, we extracted surface parameters like the length of the longest flow path and the slope of the longest flow path by Grid computation into watershed and stream. And we gave the method that could extract hydrologic parameters like Muskingum K and sub-basin lag tin by executing computation into surface parameters and average Sn curve number being extracted.

  • PDF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Combined Interpolation and Terrain Classification in Digital Terrain Model (수치지형모형에 있어 지형의 분석과 조합보관법의 적용에 관한 연구)

  • Yeu, Bock-Mo;Park, Woon-Yong;Kwon, Hyon;Mun, Du-Yeou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8 no.2
    • /
    • pp.53-61
    • /
    • 1990
  • In this study, terrain classification was done by using the quantitative classification parameter and suitable interpolation method was applied to improve the accuracy of digital terrain models and to increase its practical applications. A study area was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using the quantitative classification parameters and an interpolation equation suitable for each group was used for economical application of the interpolation method. The accuracy of digital terrain models was improved in case of large grid intervals by applying combined interpolation method suitable for each terrain group.

  • PDF

A Study on Estimation of Flood Discharge by Extraction Method of Geomorphological Factors (지형인자 추출방법에 따른 홍수유출량 추정에 관한 연구)

  • Jeong, Ha-Ok;Park, Sang-Woo;Jang, Suk-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699-703
    • /
    • 2008
  • 현재 홍수유출량을 산정하기 위해서 실무에선 각 하천마다 유출량에 대한 자료들이 부족한 실정으로 Clark 및 Snyder 등의 여러 가지 합성단위도법을 이용하여 홍수유출량을 추정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합성단위도법을 이용하여 유출량 추정시 가장 중요시 되는 도달시간 및 저류상수 등의 매개변수를 산정하기 위하여 수자원분야에서도 GIS의 기법을 도입하여 대상유역의 수문학적 지형인자들을 추출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이는 과거의 방법에 비하여 손쉽고 정확하며 신뢰성 있는 자료들을 제공하고 있지만 하천망 생성 및 유역분할 등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각 적용시킨 모형마다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각 방법들에 의해 추출되어지고 있는 지형인자들을 보다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수문학적 지형인자를 추출하고 이를 강우-유출모형에 적용시켜 자연하천유역의 홍수유출량을 추정하기 위하여 적절한 지형인자 추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강우-유출 모의시 중요시되는 매개변수 산정을 위해 수자원종합관리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 국내기술로 개발된 HyGIS 모형과 기존의 지형인자 추출 방법 중에 하나인 Arcview GIS 모형을 적용하여 분할된 소유역 및 격자크기별로 지형인자들을 추출하여 두 모형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매개변수 및 홍수유출량 추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하였다. 추정된 유출량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측된 유량자료로 개발된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을 이용한 홍수량과 비교 검토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