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형발달과정

Search Result 176,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 Process Study on the Cave Deposits: Speleothems (동굴(洞窟) 퇴적물(堆積物)의 형성과정(形成過程)에 관한 연구(硏究))

  • Oh, Jong-Woo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89
    • /
    • pp.46-58
    • /
    • 2008
  • 동굴 퇴적물의 형성과정은 1단계 기권 (Atmosphere): 빗방울 (H2O) 이 대기중에서 CO2의 혼합으로 산성비 (H2CO2)가 되어 석회암 (CaCO3)에 떨어져서 최초의 용식작용이 시작된다. 2단계 토양권 (Pedosphere): 산성비와 석회암성분이 합쳐 형성된 가용성 화합물 (Ca(HCO3)2)은 식생부식(植生腐植)에 의한 토양 (Humic acidic soils) 에 의해 기반암의 용식이 촉진 되어 지표에는 Karren과 석문 (석문(石門) Natural Bridge), 와지 (Dolines, Sinkholes) 지형을 형성시키고, 암석의 분순물은 지표에 남겨져서 결국 적색풍화토 (Residuum, Risidual Redish Soils) 를 만든다. 3단계 암권 (Lithosphere): 용식작용에 의해 지상에서 지하 로 확대되어진 모암의 균열을 타고, 지하의 공간이 지하수의 유입과 유출에 의해 점차 확대되어 동공형의 Conduites; Voids; Shaft 이라는 특수지형을 형성시키고,동굴의 천정으로부터 나온 Ca(HCO3)2 는 탄산염의 지속적인 분해 공급에 의해 동굴내에는 종류석, 석순, 유착석 (Speleothem)등의 새로운 동굴지형 (Speleoscape)을 조성하게 된다. 4단계 수권 (Hydrosphere): 동굴의 형성작용을 거친 물은 동굴지하수로 잔여 Calcite를 함유한 채로 유출 (Spring) 된다. 동굴을 떠난 잔여 Calcite는 또다시 하천유역에 침전시켜서 석회화 단구형의 집적지형 (Tufa Formation: Tufa Dam, Tufa Flowstone)을 최종적으로 동굴을 나와 외벽 이나 하천의 바닦에 형성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카르스트 지형의 발달과정이 1차적인 순환을 마치게 된다.

A Study on Vegetation Expansion Process by Soil Survey in the Sand Bar of Movable Channel (이동상 하도의 모래사주에서 토양조사를 통한 식생역 발달과정의 평가)

  • Lee, Sam-Hee;Ock, Gi-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058-1062
    • /
    • 2007
  • 본 연구에서 이동상 모래하천에서 식생의 변화과정을 연구하였다. 연구 대상 하천은 낙동강 상류 하회지구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 지역은 우리나라에서 대표적인 모래하천으로서 지형적인 요인으로 형성된 사행하천의 만곡부에 해당하고 있다. 특히 상류에 댐과 취수보 등 수자원개발시설이 건설되면서 수십 년 동안 물과 유사의 공급이 조절되어 안동시권역에서부터 하류방향으로 향하면서 점차 바뀌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 가운데, 이동성을 지니고 있던 사주부에 식생이 유입되고, 식생역이 확장되면서 사주가 고정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이동상 하도에서 이동사주내 식생역의 발달과정을 파악하기 위하여 사주내 토양의 물리화학적 조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안동 하회지구내 모래사주에서 식생이 정착 발달 확장 되어가는 과정을 파악할 수 있었다. 하회지구의 식생역의 발달은 시기적으로 홍수기와 비홍수기의 반복적인 출현에 영향을 받고 있었다. 그리고 공간적으로는 홍수기 동안의 유사의 퇴적과 세굴과정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식생역의 확장과정은 이러한 시공간적 상황으로 인해 유발되는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높은 상관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The Distribution and Geomorphic Development of Alluvial Fans along the Bulguksa Fault System in Gyeongju and Ulsan City, Southeastern Korea (한국 남동부 경주 및 울산시 불국사단층선 지역의 선상지 분포와 지형발달)

  • 황상일;윤순옥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6 no.3
    • /
    • pp.217-232
    • /
    • 2001
  • One of the molt debatable Issues on geomorphological study in Korea should be the discussion over the formation process of gent1e slope surfaces on the piedmont area.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distribution and the formation process of geomorphic surfaces were investigated by classifying the alluvial fans as three geomorphic surfaces alluvial the Bulguksa fault-line The fan surfaces, distributed along the west slue of Bulguksa Mts, consists the confluent alluvial fans continuously along the N-S direction The surfaces of Sincheon-Hyomun district juxtaposed to the Ulsan Bay must be infulenced by sea-level chance during the Quaternary Taken together, these observation suggests that the major four factors contributed to the fan formation 1) rather longer freeze-and-thaw cycle during the Glacial period. 2) the steep mountain slope along the west side of Bulguksa Mts.. which had been resulted from the horizont stress of EAst Sea 3)the tectolinear fault system developed by structural movement along the Bulguksa Fault-line valley. and 4) the erosion-labile characteristics of bedrock In this urea which is consisted of the Bulguksa granite and the sedimentary rock formed in Cretaceous period.

  • PDF

Holocene Sea Level Reflected from Marine Terrace in Geoje Island and its Influences on Coastal Morphogenesis (거제도 동부해안에서 파악되는 홀로세 고해수준면과 지형발달과정)

  • YANG, Jae-Hyuk
    •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 /
    • v.18 no.1
    • /
    • pp.101-112
    • /
    • 2011
  • Coastal terrace was developed at 7.2m height near Shinchon village in Geoje Island. It is located on the east side of southern coast in Korean Peninsula, where sea-level changes caused by ebb and flow of the tide, embayment are relatively low. Due to the breccia layer by mass-movement, dark grayish clayey formation, marine origin's rounded gravel are deposited sequentially in a cross-section of coastal terrace, so it provides a good example which understand Holocene sea level changes to determine the effect on the various sedimentary environments. For the purpose of identifying the morphogenetic process, Grain size, Roundness, XRD, AMS dating analysis was attempted. As a result, after last glacial age, Holocene sea level rise to +5.6m(4,740±100yrs BP). At that time, various geomorphological features are considered to be formed.

Experimental Analysis of Geomorphic Changes in the Vegetated Channel with Erodibel Banks (식생대에서 하안침식과 하도변화 실험적 분석)

  • Chang-Lae Jang;David O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32-132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식생대 퇴적과 침식, 하안침식을 고려한 식생대의 발달과정을 실내실험을 수행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하도의 지형변화를 해석하는데 중요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식생대 입구와 중류부에서 식생대 좌완과 우안으로 흐름이 집중되며, 유속이 빠르다. 식생대와 식생이 없는 좌안과 우안의 유속차에 의하여 전단층이 형성되고 조직와가 발생하였다. 식생하도의 지형변화는 초기에 하안침식이 발생하고, 하폭이 증가하면 상류 유입구에서 중앙사주가 발달하였다. 시간이 증가하면서 사주는 하류로 이동하였다. 식생대에서 흐름이 분리되면서, 좌안와 우안에서수충부가 형성되고 하안이 침식되었다. 식생대 전면부에서 유사가 퇴적되며, 후면부에서 침식이 발생하였다. 식생밀도가 증가하면서 퇴적량은 증가하지만, 한계 이상으로 증가하면 퇴적량은 감소하였다. 수치모의 결과, 식생의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식생대 전면부에서 유사가 퇴적이 되고, 사주가 상류로 성장하면서 하안침식이 발생하였다. 또한 식생대에 의해 유사가 포착되면서, 식생대 후미에서 하상이 침식되었다. 식생대의 밀도가 증가하면서, 식생대 후미에서 침식이 발생하는 지점은 상류로 전파되었다. 식생대에 의해 발달한 사주는 실내실험에서 식생대 하류에서 성장하지만, 수치모의 결과는 식생대 상류에서 성장하는 특성을 보여주었다.

  • PDF

Tidal depositional processes and late Quaternary (Holocene and pre Holocene) stratigraphy in the western coasts of Korea (한국 서해안 조수 퇴적과정과 제4기 후기(현세와 선현세) 층서)

  • 박용안
    •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 /
    • v.9 no.1
    • /
    • pp.33-42
    • /
    • 1995
  • 우리나라의 서해(West Sea)는 일명 황해(Yellow Sea)라고 일컬어지는 약 40여 m의 평균 수심을 갖는 대륙붕 해저지형 분지에 의하여 지배되는 전형적 육연해이다, 그런데 이 바다는 중심부(황해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하여 중국 대륙의 산동반도에서 양가강 하구에 이르는 서부 해안을 가지며 북부에는 발해만의 해안이 있고 동부에는 서해(황해) 특유의 넓 은 조수환경(tidal environment)과 조수해안이 발달한다. 그러나 남쪽으로는 북서태평양과 연결된다. 한국 서해안이 평균 4m 이상의 조차(tidal range)를 나타내는 조간대 조수환경이 며 조간대 해저지형(intertidal morphology)이 전형적인 퇴적층(체)에 의하여 지배되는 여러 가지 특징을 나타낸다. 서해안 조수환경은 네델란드, 독일 또는 지배되는 여러 가지 특징을 나타낸다. 서해안 조수환경은 네델란드 독일 또는 미국의 경우와 같이 연구가 잘되어 세계 적으로 널리 알려진 소위 barrier island system and tidal depositional environments와는 크 게 다른 퇴적과정과 환경이다. 경기도 남양만의 조수 환경의 경우, 조간대 해저지형 요소인 조류로(tidal channel)와 조간대 정규해저(intertidal zone proper)에 관한 동력적 퇴적과정 연 구결과 조간대 특유의 lateral sedimentation 과 vertical sedimentation 2가지 퇴적과정중 후 자의 퇴적과정이 우세한 것으로 밝혀졌고 이러한 퇴적과정의 진행이 매우 안정한 지속성을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퇴적과정의 조간대 퇴적물의 쇄설 입자는 약 20% 미만의 모 래(sand) 입자 50~70%의 실트(silt) 와 점토(clay) 입자가 20~30%에 달하는 입자조직 (grain texture)의 퇴적상을 나타낸다. 결과적으로 조간대의 동력적인 조수수괴의 수위(level of tidal water)는 평균 만조선과 평균 저조선으로 한정되며 이것은 퇴적과정과 퇴적작용의 조정(control) 요인으로 조간대 퇴적상의 발달과 분포에 큰 영향을 미친다, 예를들면 남양만 등의 대부분의 서해안 조간대 표층 퇴적상(녁\ulcorner미 sedimentary faci-es)은 만조선에서 간조 선에 가까울수록 조립화현상(coarsening trend)을 나타낸다. 이러한 퇴적상 변화는 저조선에 서 만조선으로의 조간대 지형과 주조수로의 지형.수력학적 특성이 다음과 같기 때문이다. a) a general decrease in width b) a general decrease in depth c) a general decrease in maximum and average current velocities d) a general increase in contents of suspended mud e) a general decrease in grain size of the bottom sand and an increasing abundance of muddy deposits. 우리나라 서해안 조간대 퇴적층(체)의 수직 층서(vertical stratigraphy)는 지난 3여년동안의 수십개의 vibracoring(주상시추)에 의하여 매우 흥미롭고 중요하게 밝혀지고 있는바 이것은 현세(Holocene)와 선현세(preHolocene: 11000 years BP)의 오랜시간 경과에 따른 조수환경 변화의 수직퇴적 과정과 기후 해수면 변화의 현상에 원인이 있다고 해석된다.(박용안 외, 1992-1995)결과적으로 서해안 조수퇴적체(층)의 분지주변(basim margin)진화과정이 밝혀지 고 있다.

  • PDF

The Expansion of Urbanized Area and Geomorphic Environments in Seoul (서울의 시가지 확대와 지형적 배경)

  • Kim, Dong-Sil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2 no.1
    • /
    • pp.1-15
    • /
    • 2006
  • This study is to review the site of Seoul and its urbanized area expansion in relation with a geomorphic environments. Surveying on the urbanized area of Seoul by period and related geomorphic conditions found the following conclusions. Seoul urbanized area had been expanded from the cheonggyecheon drainage basin to its surrounding hills and marshland. The marshland development began during the Japanese period from around the tributaries of the Hangang river and expanded to the areas by the main stream of the river. The extensive marshland at the point where the main stream and its tributaries of the river join has been developed relatively new. The marshland development, which took advanced engineering skills and a huge investment, is comparatively later and also involves large additional expenses to keep the areas from food damages. Judging from the above findings,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urbanized area expansions in a big metropolitan city such as Seoul, are greatly influenced by geomorphic environments and the importance of geomorphic conditions still hold true even today when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s have reached unprecedented heights.

  • PDF

Topographic characteristics of Yeonho lake, Uljin-gun, Gyeongsangbuk-do (경북 울진 연호(蓮湖)의 지형적 특성)

  • Woo, Seung-Hy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22 no.1
    • /
    • pp.211-224
    • /
    • 2016
  • Natural lakes are estimated in variety with that's function or value depending on age environment or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There are many kind of natural lakes, but the kind of natural lake is limited in rivers in korea flowing into East Sea. However, Yeonho lake in Uljin has different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with oxbow lake or lagoon which is common in korea's river flowing into East Sea.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due to the process of Yeonho's formation. Further more research for protecting wetland is needed to adequately preserve, depending on the geomorpologic process. To analyz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it was essential to compare and analyze topographical map of 1918 1956 2012 and I pictured estinated line of bedrock and longitudinal section of Nam-dae cheon(Riv) Yeonho cheon(Riv). In addition, I denoted flooded areas through design flood level of Nam-dae cheon(Riv) Yeonho cheon(Riv) and analyzed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deposited sediment due to consider deposit environment.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In conclusion, Yeonho lake is floodbasin which was not researched at river flowing into East Sea. Through this study, my opinion is that floodbasin can be formed in the river that is steep and short. I argue that preservation methods will be seeked by geomorphologic process of floodbasin and development of downtown.

  • PDF

A Predi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Spatial Distribution of Red Soils in Korea Using Terrain Analyses (지형분석을 통한 한국의 적색토 분포 예측 및 해석)

  • PARK, Soo Jin
    •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 /
    • v.19 no.2
    • /
    • pp.81-98
    • /
    • 2012
  • This research aims 1) to analyse the spatial occurrence of red soils, in Korea 2) to predict their spatial distribution using terrain analyses, and 3) to interpret results from the perspective of pedogeomorphological processes. Red soils (often called red-yellow soils) in Korea are frequently found on welldrained plains and gently sloping areas. These soils are widely believed paleo-soils that were formed under hot and humid climatic conditions in the past. The spatial distribution of red soils was derived from the soil map of Korea, and a DEM based soil prediction was developed, based on a continuity equation to depict water and material flows over the landscape. About 64.5% of the red soil occurrence can be explained by the prediction. Close examinations between surveyed and predicted red soil maps show few distinctive spatial features. Granitic erosional plains at the inland of Korea show comparatively low occurrence of red soils, which might indicate active geomorphological processes within the basins. The occurrence of red soils at limestone areas is more abundant than that of the predicted, indicating the influence of parent materials on the formation of red soils. At and around lava plateau at Cheulwon and Youncheon, the occurrence of red soils is underestimated, which might partly be explained by the existence of loess-like surface deposits. There are also distinctive difference of prediction results between northern and southern parts of Korea (divided by a line between Seosan and Pohang).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lls for more detailed field-based investigations to understand forming processes of red soils, focusing on the spatial heterogeneity of pedological processes, the influence of parent materials, and difference in uplift patterns of the Korean peninsula.

Experimental analysis of the behavior of bars and meandering developments in the vegetated channels (식생하도에서 식생밀도 변화에 의한 사주의 거동과 사행의 발달과정 분석)

  • Jang, Chang-Lea;Kang, Tae 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4
    • /
    • 2021
  • 하도 식생은 하천의 지형변화에 많은 영향을 준다. 식생밀도가 증가하면, 하안의 안정성이 증가하고 하안침식이 감소하며, 사주의 형상과 거동에 영향을 준다. 특히, 사주의 이동은 저수로의 변화에 영향을 주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식생하도에서 사주의 이동과 사행의 발달과정을 실내실험과 수치모의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하안의 안정성은 홍수터의 하도식생의 밀도에 영향을 받게 된다. 하안의 안정성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실제 식생인 알팔파 밀도를 조절하여 성장시켰다. 초기에 하안침식이 발생하고, 하폭이 증가하였다. 시간이 증가하면서 상류에서 교호사주 발생하고, 하류로 이동하면서 선택적으로 하안이 침식하였다.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하폭은 증가하고 사주의 이동속도는 감소하며 사주의 파장도 증가하였다. 홍수터 식생이 없는 조건에서는 하안침식이 빠르고 사행의 발달이 크지 않았다. 그러나 식생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하안에서 부분 침식이 발달하였다. 식생이 없는 조건에서는 곡률반경 대 하폭의 비인 무차원곡률반경과 하안침식속도에 영향을 주지 않지만, 식생의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무차원곡률반경과 하안침식속도가 증가하였다. 사주의 이동이 정지됨에 따라, 식생이 없는 조건에서는 사행의 만곡부에서 저수로의 폭이 크지만, 홍수터 식생이 있는 조건에서는 저수로의 폭이 일정하게 유지된 상태로 사행이 발달하였다. 이는 식생 식생이 없는 조건에서 유출되는 유사량은 불규칙하게 배출되었으며, 이는 하안침식과 사주의 이동에 의하여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그러나 식생이 있는 하도에서 유사유출량은 감소하고 상대적으로 일정하게 배출되었다. 이는 저수로 폭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사주의 발달도 크지 않아서 발달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