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형류

Search Result 693,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Estimation of Geostrophic Current Calculated from Sea Surface Topography in East Sea (동해의 해면지형 계산에 의한 지형류의 흐름 추정)

  • Yun Hong-Sic;Lee Dong-Ha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4 no.2
    • /
    • pp.159-165
    • /
    • 2006
  • This paper deals with the estimation of geostrophic current using the sea surface topography calculated from the geoidal height from EGM96 geopotential model and the mean sea surface height from CLS_SHOM mean sea surface model. The CLS_SHOM model was developed using the altimetry data set. The estimation of geostrophic current is available in the characteristic research of ocean in many country, while for East Sea a few studies were done. The goal of this study is basically to provide the characteristics of geostrophic current in East Sea. The results show that the mean sea surface topography (SST) in East Sea is about 0.37 m and the mean geostrophic velocity is -0.028 m/sec. The Pacific water enters into the East Sea through the Korea Strait and after passing the strait, this inflow splits into two branches: one flows northward along the Korean coast and another outflows into Pacific ocean through Tsugaru and Soya strait passing the east-northeastward along the Japanese outer shelf, and outflows into Okhotsk ocean.

Development of the Topography Restoration Method for Debris Flow Area Using Airborne LiDAR Data (항공 라이다 자료를 이용한 토석류 발생지역의 지형복원기법 개발)

  • Woo, Choong-Shik;Youn, Ho-Joong;Lee, Chang-Woo;Lee, Kyu-S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4 no.3
    • /
    • pp.174-187
    • /
    • 2011
  • The flowed soil is able to be estimated from topographic data of before and after the debris flow. However, it is often difficult to obtain airborne LiDAR data before the debris flow area. Thus, this study tries to develop a topographic restoration method that can provide spatial distribution of flowed soil and reconstruct the topography before the debris flow using airborne LiDAR data. The topographic restoration method can express a numerical formula induced from a Gaussian mixture model after extracting the cross sections of linear or non-linear in debris flowed area. The topographic restoration method was verified by two ways using airborne LiDAR data of before and after the debris flow. First, each cross section extracted from the debris flow sites to restore the topography was compared with airborne LiDAR data of before the debris flow. Also, the topographic data produced after the topographic restoration method applied to the debris flow sites was verified by airborne LiDAR DEM. Verifying the results of the topographic restoration method, overall fitting accuracy showed high accuracy close to 0.5m.

Analysis of Flow Characteristics of Debris Flow in the Topography Considering Buildings (건물을 고려한 지형에서의 토석류 유동특성 분석)

  • Kang, Bae Dong;Jun, Kye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28-228
    • /
    • 2022
  • 최근 이상기후로 인해 단시간에 다량의 강우가 내리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급경사면의 지반을 포화시켜 붕괴에 이르게 하여 유수와 붕괴된 토사가 계곡을 따라 흐르는 토석류 재해로 이어진다. 토석류는 빠른 속도로 유하하여 인명과 주거 및 도로 등의 시설에 피해를 발생시킨다. 토석류를 해석하기 위한 연구방법에는 피해지역의 현장조사와 모형실험을 이용하는 방법, 수치모형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현장조사와 모형실험에는 고가의 장비와 많은 인력 및 비용이 소요되어 수치모형을 이용한 연구가 주로 이뤄지고 있으며, 피해지역의 건물, 도로 등의 시설물을 고려한 지형을 제작하여 토석류 수치모형에 적용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태풍 미탁의 영향으로 시간당 최대 110mm/hr, 누적강수량 487mm로 인해 토석류 재해가 발생한 강원도 삼척시 원덕읍을 연구대상지로 선정하였으며, 토석류 해석 시 침식과 퇴적작용을 고려할 수 있는 Hyper KANAKO 모형을 적용하였다. 토석류 수치모의 시 건물의 유무를 고려하여 지형자료를 구축하고 Hyper KANAKO 모형을 적용하였다. 건물이 미고려된 지형에서는 실제 토석류가 이동한 거리와 피해면적에 비해 과다하게 모의 되는 특징이 나타났으나, 건물이 고려된 지형에서는 실제 피해와 유사한 이동거리, 유동심 및 피해면적을 나타내었다. 이는 토석류 발생 위험지역에 대한 모의 시 건물을 고려함으로써 피해범위와 규모를 건물 미고려시 보다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어 토석류 저감계획 수립 및 피해지 분석시 활용성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stimation of Spatial Soil Distribution Changed by Debris Flow using Airborne Lidar Data and the Topography Restoration Method (항공 Lidar 자료와 지형복원기법을 이용한 토석류 토사변화 공간분포 추정)

  • Woo, Choongshik;Youn, Hojoong;Lee, Changwoo;Lee, Kyus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1 no.1
    • /
    • pp.20-27
    • /
    • 2012
  • The flowed soil volume is able to be estimated simply from topographic data of before and after the debris flow. However, it is often difficult to obtain high resolution topographic data before debris flow because debris flow was occurred in mountainous area and airborne Lidar data was mainly surveyed in urban area. For this reason, Woo(2011) developed the topographic restoration method that can reconstruct the topography before the debris flow using airborne Lidar data. In this study, we applied the topographic restoration method on Inje county, Bongwha county and Jecheon city, produced topography data before debris flow that RMSE is from 0.16 to 0.34 m. Also, a soil variation was analyzed by topography data before and after debris flow, and it was used to estimate a real soil volume flowed to downstream and a spatial distribution showing collapses, flows, sedimentations appeared to debris flow.

Sensitivity Analysis of Debris Flow Simulation in Flo-2D Using Flow Discharge and Topographic Information (유량과 지형조건에 따른 Flo-2D에서의 토석류 확산 민감도 분석)

  • Kim, Namgyun;Jun, Byonghee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32 no.4
    • /
    • pp.547-558
    • /
    • 2022
  • In August 2020, a debris flow occurred in Gokseon, Jeollanam-do, that resulted in the death of five residents. In this study area, high-resolution 0.03 m topographic information was generated through photogrammetry, and the amount of soil movement/loss was measured. In addition, sensitivity analysis was performed for flow depth, flow velocity, and debris flow area with the program Flo-2D using the difference in simulation parameter that discharge and topographic information. Wth increasing debris flow input discharge, increases were seen in flow depth, flow velocity, and debris flow area, as ell as in the gap in results from high-resolution topographic information and low-resolution topographic information. Also, when high-resolution topographic information was used, the results were similar to the actual (measured) flow direction of the debris flow. Therefore, the application of high-resolution topographic information increases the accuracy of the debris flow analysis results compared with low-resolution information. Results could be further imporved in the future by considering geological information such as yield stress and viscosity.

Analysis of Topographical Change using Monitoring of damaged areas of Debris flow (토석류 피해지역 모니터링을 이용한 지형변화 분석)

  • Tak, Won Jun;Jun, Kye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27-227
    • /
    • 2020
  • 최근 국내에서는 이상기온으로 인한 국지성 폭우와 여름철 태풍과 집중호우로 인해 다양한 재해 유형 중 산악지역을 중심으로 산지재해의 피해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본 논문에서는 토석류 피해지역 중 토석류가 발생한 메인계류와 해당 하류지역을 대상으로 연간지형변화 및 침·퇴적분석에 대해 기술하였다. 대상지역은 2012년 루사로 인해 토석류 피해가 발생한 인제군(설악산 국립공원)지역으로 거주하는 인원이 없어 민가나 생활시설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지만 하류지역에 교량 및 도로가 위치하고 있어 토석류가 재발생시 위험한 지역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에 2012 ~ 2020년까지 LiDAR 촬영을 이용한 현장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다. 모니터링 데이터를 종합하여 년도별 지형자료를 구축하였으며 인명피해 위험성이 적어 복구가 늦어지거나 계획이 없는 자연사면지역에서의 지형변화를 살펴보았다. 또한 토석류 계류지역과 하류부를 중심으로 침·퇴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계류지역에서는 횡 넓이, 유동심, 크게는 방향, 식생 등에 대한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하류부에 위치한 교량 및 도로 등 구조물, 시설물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 PDF

Characterization of Debris Flow at Various Topographical Division Sizes (지형분할 격자크기에 따른 토석류 흐름 특성)

  • Jin, Hyunwoo;Hwang, Youngcheol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6 no.3
    • /
    • pp.49-55
    • /
    • 2015
  • The rainfall pattern, rainfall intensity as well as topographical conditions used for the analysis of debris flow affect, in general, the magnitude of debris flow and flow velocity, when debris flow occurs. The consideration of topographical conditions implies that the topography is equally divided into grids and the slope of inside the grid is computed as an average, leading to, in turn, obtain the closer results to the reality as the grid is smaller in the case of the severely bended topography. Although the size of grid should be as small as possible so as for more accurate analysis of debris flow, the analysis of debris flow has been so far conducted by using sparsely divided grids due to the limitation of analysis algorithm, computational ability and running time. So, it is necessary to suggest an appropriate grid size for the practical approaches. Therefore, this study presents the evaluation of the effect of the size of a grid on the debris flow besides the factors which referred to the previous studies such as accumulated rainfall, rainfall intensity and rainfall duration time. From this, it enables to suggest a rational and practical grid size for topography to be divided.

Application of LiDAR Data and Site Surveys of Damaged Field by Debris Flow Disaster (토석류 피해지 현장조사 및 LiDAR 자료의 활용)

  • Oh, Chae Yeon;Jun, Kye Won;Jun, Byong 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279-279
    • /
    • 2015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이상기후 현상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산사태나 토석류와 같은 산재재해가 발생하여 인근 도심에까지 영향을 끼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마다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산지 토사재해의 피해저감과 원인분석을 위하여 과거 강원도 인제군에서 발생한 산사태 및 토석류가 발생 현장을 조사하였고 발생유역의 특징을 분석하기 위해 GIS기법을 이용하여 기후, 지질, 지형, 토양 등의 공간자료를 구축하고 보다 정밀한 지형인자 추출을 위하여 지상 LiDAR를 활용하여 토석류 발생현장을 스캔하고 3D 지형자료를 구축하였다. 추후 공간자료와 3D지형자료를 활용하여 토석류 발생량 추적이나 확산 범위등 정밀 분석의 기초자료로 활용 될 것이다.

  • PDF

Analysis of Mountainous Watershed Risk Considering the Topography Characteristics (지형 특성을 고려한 산지유역 위험도 분석)

  • Oh, Chae Yeon;Jun, Kye Won;Jun, Byong 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27-427
    • /
    • 2018
  • 최근 집중호우나 극한 강우사상으로 인하여 산사태나 토석류와 같은 산지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는 지형 특성상 주거지역이 산지와 인접해 있는 경우가 많아 재해발생 시 피해를 가중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산지재해는 예측하기가 어렵고 산지에서 발생한 토석류가 계곡을 따라 흘러 내려와 도심지 및 산지와 인접한 도로나 주택지에 많은 피해를 발생 시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마다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산사태나 토석류와 같은 재해의 피해저감과 원인분석을 위하여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일대를 대상지역으로 선정하고 산지유역의 위험성 분석을 위하여 사면안정성 예측 모델인 SINMAP 모형을 사용하여 산지재해가 발생 가능한 위험지역 및 안전한 구간을 분석하고 지형분류기법 중의 하나인 Topographic Position Index(TPI) 분석방법을 통해 대상지역의 지형위치지수를 계산하여 위험지형을 분류하였다.

  • PDF

A study on comparative analysis of debris flow damage area using FLO-2D (FLO-2D를 이용한 토석류 피해지역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 Jo, Hang Il;Jun, Kye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29-229
    • /
    • 2022
  • 우리나라의 지형 특성상 국토의 약 64%가 산지 지형이며 최근 10년 기준으로 연평균 강우량의 약 51%인 651.9mm가 여름철에 집중되고 있으며, 급격한 기후변화로 인한 집중호우와 태풍에 의한 영향으로 산사태와 토석류에 의한 생활권 주변의 도로나 주택가에 많은 피해를 발생시키고 있다. 따라서 무엇보다 토석류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재해 발생 예상지역이나 피해 정도 및 규모에 대한 예측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토석류 수치모의를 통해 토석류의 피해지역을 예측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태풍 미탁으로 인해 토석류가 발생한 강원도 삼척시 원덕읍을 대상으로 토석류 피해지역을 해석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2차원 토석류 해석이 가능한 FLO-2D를 적용하여 토석류의 이동, 퇴적 및 하류부 피해해석을 수행하였다. 피해지역의 수치지도와 실측자료를 활용하여 지형자료를 구축하고 FLO-2D 모형을 이용하여 토석류 발생이 하류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토석류 유동특성을 분석하여 피해지역의 실측자료와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모형을 통해 모의된 부분과 피해면적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