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형구조

Search Result 1,304, Processing Time 0.04 seconds

Geomorphing Crack Elimination Technique for Improving Terrain Rendering Quality (지형렌더링 품질향상을 위한 기하모핑 크랙 제거 기법)

  • 주진천;김상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b
    • /
    • pp.709-711
    • /
    • 2003
  • 위성기술의 발달로 대규모의 고해상도 지형정보 생성이 가속화되고, 사실적 지형묘사 요구는 더욱 높아지고 있으므로 대규모 지형자료를 효율적으로 처리하여 실제감(realism)을 주는 실시간 렌더링 기법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형 셀의 쿼드트리 구조를 기반으로 시각 거슬림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연속적인 다단계 상세도 기법 및 기하모핑 기법을 적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기하모핑 크랙을 제거하기 위한 확장된 기법을 제안한다.

  • PDF

카르스트 지형의 환경 보전

  • 오종우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1996.09a
    • /
    • pp.77-78
    • /
    • 1996
  • 카르스트는 특이한 수문학적 용식지형이며, 암석의 높은 용식성으로 인해 발달된 암석의 공극(1차적 삼투)과 암석의 구조적 변형인 절리면, 균열면, 단층면, 층리면 등(2차적 삼투)의 확장으로 인하여 발생되어진 경관을 총칭한 것이다. 암석의 용식성만으로 카르스트가 형성된다는 것을 설명하기는 쉽지 않다. 왜냐하면 암석의 구조적인 특성이 중요한 인자이기 때문이다.(중략)

  • PDF

위험작업을 위한 원격조종용 로봇 ROBHAZ-DT3

  • 이우섭;강성철;이성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25-25
    • /
    • 2004
  • 이 논문에서 다루는 주제는 수동 기구부에 의해 자동으로 지면 적응이 가능한 이중 트랙 구조를 가진 ROBHAZ-DT3에 대한 설계 및 구성이다. 이 로봇은 기본적으로 군사용과 민간용으로 동시에 사용 가능하게 설계되어 있다. 이 로봇에 사용된 이중 트랙 구조는 앞쪽과 뒤쪽 트랙 사이에 수동적인 회전 조인트를 설치한 것으로 이 구조에 의해서 로봇의 트랙은 주행을 하면서 지면에 중력방향으로 순응하면서 형상이 변형되어 계단과 같은 험한 비평탄 지형에서도 높은 지형적응력을 보여주어 주행성능을 높여준다.(중략)

  • PDF

Prediction of train noise propagation from a embanked rail road (성토 선로구조에서 철도소음의 전파예측)

  • ;;Tachibana, H.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7.10a
    • /
    • pp.302-307
    • /
    • 1997
  • 철도는 평탄부, 고가부 및 성토부.절토부 등의 다양한 지형구조에 걸쳐서 뻗어 있으며, 지금까지는 평탄부와 고가부를 대상으로 하여 철도소음의 전파예측에 대한 검토를 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유한 임피던스의 흡음성 Wedge 구조를 갖는 성토부 선로의 주행열차를 대상으로 소음전파 예측모델의 작성 및 소음전파 측정을 통하여 성토 선로구조에서의 철도소음 전파예측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 PDF

Development on Location Analysis Model of GIS in Torrential Stream (GIS기법을 이용한 야계사방 입지해석 모델 개발)

  • Kim, Ki-Heung;Jung, Hea-Reyn;Park, Sang-Heyn;Ma, Ho-Seop;Park, Jae-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822-1826
    • /
    • 2010
  • 본 연구의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한 야계의 입지해석모델 개발은 사방댐 하류 야계에 대한 야계사방사업의 위치 선정, 하도계획 및 구조물 계획 등을 기 구축되어 있는 국가 DB와 강우 강도 산정, 홍수유출해석 및 수리계산 소프트웨어를 연계하여 체계적으로 표준화된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목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강우, 지형 지질 토지이용 자료를 이용하여 홍수유출해석을 통해 기본 홍수량을 산정하고, 홍수량과 수치지형도 및 항공사진으로부터 추출한 야계의 종단, 평면 및 횡단지형정보를 기본자료로 HEC-RAS의 지형자료(geometry data) 및 흐름자료(flow data)를 구축하여 수리계산을 수행하였다. 수리계산 결과를 토대로 종단, 평면, 횡단의 하도계획과 호안, 수제 및 하상유지공 등 구조물 계획 등에 필요한 야계입지해석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강우, 지형 지질 토지이용, 항공사진 자료 등 국가 DB자료만을 이용하여 야계입지를 해석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1 : 5000의 수치지형도 및 항공사진으로부터 야계부분에 대한 지형도를 분리하여 1m 간격의 등고선으로 된 수치지형도에서 야계의 종단, 평면 및 횡단지형정보를 기본자료로 수리계산을 위한 HEC-RAS의 지형자료(geometry data)를 구축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또한 수리계산 결과를 토대로 최심하상고, 수위, 수심, 유속, 소류력, Froude수 등 종단, 평면, 횡단의 하도계획과 호안, 수제 및 하상유지공 등 야계 구조물 계획 등에 필요한 수리학적 인자를 추출할 수 있었으며, 시험유역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검토한 결과 야계사방사업의 입지선정을 위한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음를 제시하였다.

  • PDF

Safety Inspection Surveying using Change Detection Technique (Change Detection 기법을 이용한 구조물 안전진단측량)

  • Choi, Chul-Ung;Khak, Jae-Ha;Kang, In-Jo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3 no.2 s.6
    • /
    • pp.151-158
    • /
    • 1995
  • Change detection, image differencing technique, is the most widely used in a variety of image environments. The digital terrain model and digital images have the same data structure. This study applied digital terrain model and change detection technique for inspecting the deflection of the structure. Authors make digital terrain model from triangular irregular network(TIN) by leveling data and suggest to possibility recognize modification part and volumes by digital terrain model and change detection technique. Authors can reduce testing materials and man power, and displayed his modification part.

  • PDF

Comparative analysis of ground settlement and tunnel displacement due to tunnel excavation considering topographic information based on GIS (GIS 기반 지형 정보를 고려한 터널 굴착에 따른 지반침하와 터널 변위 비교 분석)

  • Jae-Eun, Cho;Ye-Rim, Jung;Seong-Min, Song;Ji-Seok, Yun;Sang-Gui, Ha;Han-Kyu, Yoo
    •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
    • v.25 no.1
    • /
    • pp.13-26
    • /
    • 2023
  • Recently, as the development of underground spaces has become active due to rapid urbanization and population density, interest in the ground behavior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of underground spaces is increasing. In large cities with high population density and many buildings, ground subsidence has a great impact on structures and there may be a risk of collapse, so the analysis of ground behavior due to underground construction is essential. Prev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subsidence pattern of the surface and the deformation of the tunnel when constructing the tunnel, but analysis has rarely been conducted by using actual topographic information.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 in ground behavior between the actual topography and the flat topography.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ground settlement occurs at higher elevations, such as in mountainous topography, and when the numerical analysis is performed considering topographical information, the crown settlement of the tunnel is up to about approx. It showed a difference of 10 mm, and it was found that the sensitivity was less in the case of displacement of tunnel wall compared to the crown settlement and ground settlement. The numerical analysis considering the actual GIS-based topographic information presented in this study can be used to obtain more accurate surface subsidence data to understand the behavior of the upper structure due to tunnel excavation.

Kauffman의 NK모형에 따른 기술생태지형연구

  • Jo, Sang-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2.05a
    • /
    • pp.159-170
    • /
    • 2012
  •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분석결과를 제시한다. 먼저 우리나라 10개 산업의 기술생태지형을 결정하는 상호관계 K는 9개로 나타났다. 이러한 주성분요인분석결과는 K=N-1의 기술생태지형 구조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Kauffman NK모형에 따른 우리나라 기술생태지형은 K=N-1인 경우로 다 극점을 존재하는 적응체계로 매우 울퉁불퉁한 기술생태지형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기술생태계경우에 기술 또는 산업의 수 N이 증가함에 따라서 국소 최적 점의 수는 매우 빠르게 증대할 수 있다. 이러한 매우 많은 국소 최적 점을 가진 기술생태지형에서 기술탐색과정은 전체 최적 기술조합 또는 기술개발에 효율적으로 도달하기 어려우며, 역시 기술생태지형은 매우 복잡한 진화 및 발전체계를 갖고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의 기술 정책적 시사점은 우리나라 산업간 그리고 기술간에 보다 상호연관성을 높임으로써, 기술생태지형을 완만하고 매끄럽게 조성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 PDF

Estimation of the Topographic Factor of Wind Speed Using GIS Information (GIS 정보를 이용한 풍속지형계수 산정)

  • Seong, Min-Ho;Choi, Se-Hyu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9 no.5
    • /
    • pp.47-52
    • /
    • 2011
  • Recently damage scale by local winds and typhoon has dramatically increased. Korea has the terrain over 70% of the land and the planning of the wind load is necessary to estimate reflecting appropriately the change of the wind-spe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terrain and in the Korean Building Code(2009), this is stated and it reflects to the design process. However, in order to estimate the topographic factor of the wind speed considering the topographic characteristics in the structure design actually, it has many difficult points including the local topographic survey, etc. In this paper, the Digital Elevation Model(DEM) is created using TIN interpolation method in the form of the digital map and then the interface was designed and implemented which can automatically estimate the topographic factor of wind speed by using ESRI(R)ArcObjectTM and the Visual Basic programing language. By applying it to the terrain which positioned in the downtown area, the practicality of the topographic factor of wind speed estimation interface was check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