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형공간정보

Search Result 1,489,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Korean Geospatial Data Clearinghouse (한국형 지형공간 데이타 Clearinghouse의 설계 및 구현)

  • Baek, In-Gu;Lee, Kang-Jun;Han, Ki-Joon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1999.06a
    • /
    • pp.131-145
    • /
    • 1999
  • 최근 정보화 사회에서 정보의 처리와 공유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지만 기존 지리정보시스템(GIS)이 갖고 있던 상호 이질적인 지형공간데이타 포맷을 가지고는 효율적인 정보의 처리와 공유가 어려운 형편이다. 이러한 지형공간데이타 포맷의 문제로 인해 지형공간 데이터의 중복수집의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또한 많은 시간과 경비가 중복 투자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형공간 데이타 중복수집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고, 이미 구축되어 있는 지형공간 데이타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과 공유하고 유통하기 위하여 KGDC(Korean Geospatial Data Clearinghouse)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KGDC를 통하여 ESRI와 Intergraph사의 상용 지리정보시스템들의 데이타를 별도의 처리과정 없이 공유할 수 있으며, 또한 OGC(OpenGIS Consortium)의 OpenGIS 구현명세에 기술되어 있는 표준 OpenGIS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지형공간 데이타 서버의 데이타도 효과적으로 공유할 수 있다. 특히, KGDC는 다양한 검색 기능과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여 손쉬운 지형공간 데이타의 공유 및 유통을 가능하게 하며, 검색을 위한 정보와 검색의 결과로 이용하기 위해 ISO/TC211 표준 메타데이타를 부분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Electronic Commerce System for Geospatial Data (지형공간 데이터를 위한 전자상거래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서의석;장염승;윤재관;한기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a
    • /
    • pp.123-125
    • /
    • 1999
  • 최근 들어 WWW의 등장과 함께 인터넷 사용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가운데 많은 사람들이 인터넷을 통하여 쉽게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또한, 기존의 지리정보시스템(GIS)도 WWW과 연동되면서 사용자들이 좀 더 쉽게 인터넷을 통하여 지형공간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 지형공간 데이터를 인터넷상에서 접근하기 위해서는 각 기관이나 단체에서 이미 구축해놓은 지형공간 데이터가 인터넷상에 등록 및 공개되어 있어야 한다. 그러나, 지적 재산인 지형공간데이타를 인터넷상에 전적으로 공개하고 있는 사례는 그다지 많지 않다. 만약, 이미 구축되어 있는 지형공간 데이터를 무조건 공개하는 것이 아니라 정당한 대가로 판매할 수 있다면 다양한 양질의 지형공간 데이터의 유통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WWW상에서 지형공간 데이터를 등록하고 필요로 하는 사람에게 판매할 수 있는 전자상거래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 설계 및 구현하는 WWW과 연동하는 지형공간 데이터 전자상거래 시스템에서는 지도 공급자가 가지고 있는 지형공간 데이터를 전자상거래 서버에 등록하고, 지도 구매자들은 지도 공급자가 등록해 놓은 지도에 대해 다양한 정보와 미리 보기 등을 통하여 구입 의사를 결정하여 구매할 수 있다. 본 시스템은 온라인상에서의 파일전송을 지원하기 때문에 지형공간 데이터를 신뢰성있게 전송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다른 일반적인 Web 기반 GIS 시스템과 달리 지불 결과에 대하여 충분한 신뢰성을 제공하며, 또한 다양한 지형공간 데이터를 지원할 수 있는 확장성도 지원한다.

  • PDF

The Establishment Plan of Knowledge-Based Community through the 3-D National Underground Information DB Design and Utilization Review (3차원 국토지하정보 DB설계 및 활용성 검토를 통한 지식기반 커뮤니티 구축 방안)

  • Song, Seok-Jin;Jang, Yong-Gu;Kang, In-Jo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9 no.1
    • /
    • pp.63-70
    • /
    • 2011
  • The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systems project which is promoted by our country has been extended from existing 2-D geographic information to 3-D spatial information as the basic geo-spatial Information. Most of the construction of the ground geo-spatial information are completed or underway, on the other hand, the construction of the subsurface geo-spatial information has difficulty caused by the lack of the drilling data characterizing the subsurface. In terms of the construction of the geo-spatial information of the subsurface, the subsurface information is constructed and managed by the domestic institutions, but the subsurface information which is possessed by the institutions was not shared mutually so it is managed inefficiently. This study presented the 3-D national underground information DB design by dividing with the ground DB item which configures the state of the ground and the soil DB item which configures the state of the soil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construction of the subsurface spatial information. The implementation & utilization of the national underground information application technology was reviewed by applying the constructed DB to the actual model area, and the national underground information knowledge-based community establishment plan was presented.

Geospatial Information Extraction by using Digital Photogrammetry (수치사진측량을 이용한 지형공간정보 추출)

  • Yeu, Bock-Mo;Kim, Won-Dae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7 no.2 s.14
    • /
    • pp.81-91
    • /
    • 1999
  • The study on the updating of the database of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that is necessary condition to GSIS operation have executed actively. In this study, digital orthophotos were produced by using the product of digital photogrammetry process and then multiscale digital orthophoto maps were generated tv the concept of image pyramids. The produced digital orthophoto has 2.092 meters accuracy compared to 1:5,000 topographic map. This digital orthophoto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providing valuable spatial reference for other objects in the databas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