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하 궁전

Search Result 4, Processing Time 0.015 seconds

Gravity Prospecting of Underground Palace of Ming Tombs, China

  • Hao, Tianyao;Wang, Qianshen;Suh, Man-Cheol
    • Journal of the Korean Geophysical Society
    • /
    • v.3 no.3
    • /
    • pp.185-192
    • /
    • 2000
  • Microgravimetry is a rising and important branch developed on the foundation of classical gravimetry. In this paper, methods, techniques and application of microgravimetry for underground Palace are introduced. Some survey curves show agreeable result compared with the theoretical calculation of models. It can be a useful method for looking for underground palace and catacombs.

  • PDF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Conservation of Hwaam - Cave (화암동굴의 환경보전에 관한 연구)

  • 권동희;유영준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46 no.47
    • /
    • pp.35-47
    • /
    • 1996
  • 동굴의 환경파괴는 환경의 변화에서 오는 경우와 동굴 개발에 따른 인위적인 파괴 등에 의한 것이라고 하겠다. 동굴이 개발되면 그 당시부터 동굴의 파괴, 오손 및 오염은 시작된다. 물론 동굴이 개발되어 관광객의 출입이 많은 동굴에서는 개발 이전의 동굴환경이 그대로 보존되고 있을 리 만무하다. 그러나 이런 피해를 최소한으로 하고, 좋은 환경을 지속적으로 보완하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화암동굴에 대한 환경보전을 위해 지질구조, 통로시설, 일반시설, 전기 및 조명, 생태환경, 운영관리 분야 둥에서 안전진단을 한 결과 여러 분야에서 동굴 개발 이후 미흡한 점이 지적되어 이에 대한 보완이 시급하다고 지적되었다. 동굴의 환경은 그 원칙이 암흑세계여야 한다. 더구나 항상 어둡고 동굴내의 온도와 습도가 크게 변하지 않는 원래의 동굴환경이 있어야 특수한 지하생물, 즉 동굴생물도 서식하게 되고 동굴 내의 이차생성물도 정상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동굴의 환경보전은 가능하면 동굴 속의 이차생성물을 계속적으로 성장시켜 이른바 지하궁전 또는 지하복마전의 화려하고 무시무시한 동굴환경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원리로 화암동굴 벽면의 종유벽(유석, 황금종유벽)과 대석주, 대석순, 그리고 벽면과 바닥의 석순 등이 이루어졌으므로 동굴환경의 유지는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이다.

  • PDF

A study of geographical environment around Ocdong-cave area in Yong-Wol (영월 옥동굴 지역의 지리환경에 관한 연구)

  • 변대준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41 no.42
    • /
    • pp.69-82
    • /
    • 1995
  • 옥 동굴은 자연동굴에 속하는 석회동굴이다. 글자 그대로 땅속 깊이 고이 묻혀 있었던 지하 복마응전인 셈이다. 이 동굴은 태백산지 서쪽 기슭 분지에 있는 동굴로 개인 사유지땅에 간직 되어온 지하 궁전이다. 이 옥 동굴에 관한 각 분야에 걸친 조사 발표는 이미 끝났고 또한 이 동굴의 학술적 가치판단과 개발타당성 그리고 개발계획은 학교법인 "유신학원"(수원소재)의 주관 아래 모든 학술조사가 본 학회의 주도 아래 실시되었던 것은 주지하는 바와 같다. 실제로 "유신학원"은 그 유명한 천연기념물 256호의 "고수동굴"의 개발운영 법인체이며 청소년 자연 관찰의 학습현장으로 매우 타당성 있는 동굴지역이므로 이미 발표되었던 필자의 연구 논문을 보완, 재정리하여 여기에 수록하는 바이다.(중략)문을 보완, 재정리하여 여기에 수록하는 바이다.(중략)

  • PDF

Characteristics and Status of Roof Tile Buildings of Pungnaptoseong Fortress (풍납토성 기와건물지의 성격과 위상)

  • SO Jaeyun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56 no.3
    • /
    • pp.46-59
    • /
    • 2023
  • Various Baekje ground-level building sites have been identified, in Pungnaptoseong Fortress, including Mirae Village's site E-1. However, building site E-1 is the only one with excavated roof tiles that are directly connected to the building site. As for building sites E-2, D-1, and D-2, which are comparable to site E-1, it is very possible that they had tiles on the roof based on their jeoksim (blocking facilities for roof slopes) and building structures. Also, although they are semi-underground pit structures, pit building sites A-30 and modern apartment site A-5, as well as the No.44 remains of Gyeongdang District, which is closer to a ground-level type, the buildings with tiles may have been constructed in the form of partial tile roofs rather than full-face tile roofs. Therefore, there may be several reasons behind the use of tiles on roofs in the early days, but the primary background of the building's authoritative function would have been considered first. Considering that China and Japan started using tiles on nationally important buildings such as palaces, temples, and ritual buildings, it may be presumed that Baekje began using tiles from the time it centralized power. It is believed that Baekje's early roof tile buildings evolved from rudimentary residential architecture to advanced public architecture, taking into consideration fire prevention and structural stability in large buildings. It is difficult to find similar cases in Korea with structural features such as the elevated foundations or underground stone foundations that can be found in Mirae Village building site E-1. Rather, similar architectural techniques can be found in China and Japan. In China, similar construction techniques were discovered in buildings of worship that were primarily built in the palace surroundings, such as Jangan Castle. Based on this, it appears that roof tile building sites, such as site E-1, that have been discovered have a strong correlation with the characteristics of buildings of worship, and ground type buildings, such as sites D-1 and D-2, are important facilities that are related to important public facilities such as state-run warehouses. This provides many implications regarding the early Baekje city stru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