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하

Search Result 9,218,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Restriction of groundwater drawdown levels in one representative drought-prone zone (상습가뭄지역 지하수위 한계치 설정 연구)

  • Lee, Byung Sun;Myoung, Wooho;Lee, Gyu Sang;Song, Sung-Ho;Ha, Kyoo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1-31
    • /
    • 2020
  • 가뭄 발생 시 국내 농어촌 지자체 대부분은 추가 수원공 확보를 위한 긴급 대책으로 신규 관정을 개발하거나, 저수지와 하천을 준설하여 가뭄 수요에 대응하는 편이다. 이러한 방법은 즉시 대응에는 효과가 있지만, 고가의 비용이 소요되고, 무엇보다도 국지적으로 가뭄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지역에는 적용에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최근 기설 관정을 연계 이용하여 지하수 공급 극대화를 도모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그런데 기설 관정 연계 이용 시 가장 중요한 사항은 모든 관정에서 최대 양수량을 유지하며 지하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관리해야 하는 점이며, 특히 암반관정의 과잉양수로 인한 간섭현상으로 충적관정이 고갈되어 공급가능한 지하수 수량이 오히려 감소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여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가뭄 발생 시 암반관정(양수정)에서 최대로 양수했을 때에도 주변 충적관정의 양수능이 유지되는 최소 지하수위를 「지하수위 저하 한계치」로 지정하여 관정 연계 이용의 최적화를 도모하였다. 지하수위 저하 한계치 산정을 위하여, Theis의 자유면 대수층 정상류 우물수리 방정식과 지하수영향반겅 설정에 관한 경험식(Schultz, Weber, Kozeny 및 Jacob 경험식)을 이용하였다. 그런데 지정된 지하수위 저하 한계치는 충적관정의 지하수위이므로, 암반관측공만 소재하는 지역에 대해서는 충적층 지하수위 변동과 암반층 지하수위 변동 간의 상관분석을 통해 암반 관측공의 지하수위 저하 한계치를 추정하였다. 이후, 양수시험 자료(양수정과 주변 관측공의 수위변동 자료)를 이용하여 지하수 대수층의 이방성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암반관정의 양수에 따른 간섭을 크게 받는 충적관정과 그렇치 않은 충적관정을 구분하여 이방성에 따른 지하수위 저하 한계치를 수정하고, 상습가뭄 발생지역의 암반관정과 충적관정의 최적 지하수 양수를 도모하였다.

  • PDF

Aseismic analysis for large underground structure (대형 지하구조물의 내진해석)

  • Choi, Seung-Ho;Pam, Inn-Joon;Kim, Sang-Hwan
    •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
    • v.11 no.2
    • /
    • pp.163-174
    • /
    • 2009
  • The large underground structure under earthquake is affected more by soil dynamic characteristic and volume of structure than by structural dynamic characteristic itself. Therefore, it is the purpose of research that the aseismic analysis for caverns including various aseismic analysis factors (rock quality-Q value, soil dynamic characteristic, shape ratio $&$ volume, underground structural dynamic characteristic, and aseismic level) are applied by using the numerical analysis program (SAUS; seismic analysis of underground structures). The result of research is stated that maximum strain, maximum moment, and maximum shear are not sensitive with respect to shape ratio. However those values are sensitive with respect to Q value, volume of underground structure and aseismic level.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e assessment for the influence factors of aseismic analysis for large underground structure could be possible.

A numerical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mall underground cavities in the surrounding old water supply and sewer pipeline (노후 상하수관 주변지반의 소규모 지하공동 형상 특성을 고려한 수치해석에 관한 연구)

  • An, Joon-Sang;Kang, Kyung-Nam;Song, Ki-Il;Kim, Byung-Chan
    •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
    • v.20 no.2
    • /
    • pp.287-303
    • /
    • 2018
  • In recent years, the occurrence of ground subsidence phenomenon is frequent in Korea. The Korean government has enacted a special law on underground safety and the law will be enforced from January 1, 2018. Under this new law, underground excavation should be assessed for underground safety impacts. After excavation construction, periodic geophysical surveys should b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occurrence of underground cavities. When underground cavities were discovered, the underground safety was assessed through numerical analysis. However, it is controversial because the method of numerical modeling the discovered underground cavity is due to be established. In this study, the effect of the depth of the underground cavity from the shape of the underground cavity to the underground cavity was studied using a continuum analysis program. In this study, a method to reflect the shape of the underground cavity to the numerical modeling is presen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hape and depth of the underground cavity, and the factor of safety calculated by the shear strength reduction method (SSR) is presen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form the basic data on underground safety impact assessment.

Development of Drawing Processing Tool Program and Establishment Strategy of 3D Underground Structures based on Standardized Drawings (표준도 기반의 3차원 지하구조물 구축 방안 및 도면가공 툴 프로그램 개발)

  • LEE, Min-Kyu;HAN, Sang-Hoon;KIM, Sung-Su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4 no.4
    • /
    • pp.1-25
    • /
    • 2021
  • In order to respond and prevent underground safety accidents, the Korean government has been preparing a submitting completion drawing web system project for converting the current manual-based 3D Underground Geospatial Map construction and its update system to an automation-based 3D underground information construction. However, research on standard drawings required for the automatic update of 3D underground structures is insufficient, so detailed research is needed. In this research paper, a standard map-based 3D underground structure construction plan was presented for the six types of underground structures constituting the 3D Underground Geospatial Map, enabling rapid and accurate drawing data creation and systematically 3D underground structure drawing data could be managed. In addition, we developed a 3D construction drawing tool that can be used in underground information practice so that ordinary CAD program users can easily produce processing drawings.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paper are expected to be major reference materials for the establishment of standard frameworks and practical application guidelines for the construction of 3D underground structures in the future.

Mobile Underground High-capacity 3D Spatial Information Tiling Transfer Protocol Development (모바일 지하 대용량 3D 공간정보 타일링 전송 프로토콜 개발)

  • Lee, Tae Hyung;Jo, Won Je;Kim, Hyun W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39 no.6
    • /
    • pp.491-496
    • /
    • 2021
  • In line with the modern era in which the safety of underground facilities and the use of underground information are increasingly emphasized, the state is pushing for more precise and accurate underground spatial information to be secured and utilized. Therefore, we need to pay more attention to subsurface geospatial data. In the future,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will actively utilize the 15 types of Integrated Underground Geospatial Information Map(6 types of underground facilities, 6 types of underground structures, 3 types of ground) that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is building as three-dimensional underground spatial information, and contribute greatly to improving national safety and convenience in underground construction. expected to do However, when a site manager requests an Integrated Underground Geospatial Information Map with a mobile device, if the large-capacity integrated underground space map is not quickly transmitted over the wireless section and is not serviced, it causes inconvenience to the site manager and delays work. In this paper,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enable field managers to quickly receive a tiled Integrated Underground Geospatial Information Map with minimal information exchange. Therefore, the tiling system is configured according to the dataset for high-speed Mobile Integrated Underground Geospatial Information Map transmission. In addition, a transmission system for the Mobile Integrated Underground Geospatial Information Map is established, and a TCP/I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based spatial information tiling transmission protocol dedicated to the on-site Integrated Underground Geospatial Information Map is developed.

A comparative study on stability evaluation of caverns by 2D continuum analysis in terms of shape factor (2차원 연속체 해석에 의한 지하공동 형상비별 안정성 평가 비교)

  • You, Kwang-Ho;Jung, Ji-Sung
    •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
    • v.10 no.2
    • /
    • pp.193-205
    • /
    • 2008
  • The construction of underground structures such as oil and food storage caverns are recently increasing in our country. The stability of those underground caverns are greatly influenced by their shape and size. In this study therefore, the effect that the shape of an underground cavern have on its stability were analyzed in terms of safety factor. To this end, caverns with 5 different shapes were investigated and sensitivity analyses were performed based on rock class, overburden, and lateral earth pressure coefficient. The proper amount of shotcrete and rockbolt as supports of a cavern was also assumed based on the shape and site of the cavern and rock condition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helpful in designing and evaluating the stability of caverns in future.

  • PDF

지하수위 변동 특성 분석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국가 지하수 관측망 자료에의 적용

  • 강인옥;구민호;원종호;백건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4.04a
    • /
    • pp.92-96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위 변동 분석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건설교통부에서 설치, 운영하고 있는 169개 국가 지하수 관측소의 264개 지하수관측정에서 측정된 지하수위자료에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암반대수층과 충적층대수층의 평균수위 및 변동양상이 대체적으로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이는 관측소 설치 지역의 대부분에서 충적층(10m 내외)과 암반층(70m 내외)이 수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6시간 간격의 지하수위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지하수위가 상승하는 횟수, 상승량의 합계 산정 등 변동양상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해양 및 지구 조석의 영향을 받는 관측정의 경우 지하수위 상승 개수가 450개/yr 이상이 대부분이며, 수위 변동량은 0.1 ~ 1m 정도이고, 수위변동 자료를 시계열로 나타내 보면 하루에 약 2번의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는 수위변동 형태를 볼 수 있었다. 양수의 영향이 우세한 관측정에서는 수위 상승 개수가 약 360개/yr, 수위 변동량은 1m 이상의 값이 우세하게 나타났다. 지하수위 상승량은 암반/충적 관측정 모든 관측정에서 전반적으로 강수량과의 상관계수가 높았으며, 같은 관측정의 .자료라도 6시간 간격의 관측 자료보다, 12시간 및 24시간 관측 간격으로 분석한 결과에서 상관관계가 더 높게 나타났다. 12시간 및 24시간 관측 간격으로 분석할 경우 조석 및 양수에 의해 발생된 주기적인 지하수위 변동 성분이 제거되면서 강수에 대한 지하수위 반응의 상관도가 높아진 것으로 해석된다.

  • PDF

The First Step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Analysis and Design for Underground BOX-Type Structures (BOX형 지하구조물 해석 및 설계 표준화 연구(1차 연구))

  • Han, Man-Yeop;Park, Hong-Kee;Son, Eun-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Conference
    • /
    • 2008.11a
    • /
    • pp.883-886
    • /
    • 2008
  • KCI Committee 107 is "Underground Structures Research Committee". The Committee 107completed the first step study on the analysis and design for underground BOX type structures by 2005. In the study, the committee attempted to the standardization of the analysis and design procedure. This is the introduction and summary of the study and the prospective plan on this subject.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based 3-D Management System for Underground Utilities (웹 기반 3차원 지하시설물 관리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Oh, Seung;Lee, Yun;Kim, In-Hyun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0.06a
    • /
    • pp.125-136
    • /
    • 2000
  • 최근 웹 기반 GIS는 자료의 공유가 폐쇄적인 로컬 GIS 시스템에서 벗어나 대용량의 자료를 손쉽게 인터넷을 통하여 서로 주고 받을 수 있어서 이용속도가 아주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웹 상에서 작동되는 GIS 시스템은 2차원 매핑(mapping)이나, 위치정보 안내서비스 위주의 시스템으로, 실제 업무에 적용하기 위한 자료의 전송 및 분석에 제약이 많다. 특히, 본 연구에서 대상으로 하는 지하시설물은 지하공간의 불가시성으로 인해 기존의 2차원적인 관리로는 효과적인 관리가 어렵기 때문에, 지하시설물을 3차원으로 시각화하고, 분석, 관리해주는 도구가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까지의 인터넷 GIS기술과 지하시설물의 관리에 대한 현황 및 문제점을 먼저 기술하고, 기존의 상용 GIS 시스템에 구축된 지하시설물 데이터를 웹 상에서 3차원으로 시각화 및 분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3차원 데이터 구조를 설계하고, 네트워크 상에서 3차원 데이터 및 공간 분석 결과를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3차원 공간 데이터 서버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또한 JAVA와 VRML 등의 인터넷 기술을 응용하여 웹 상에서 지하시설물 데이터의 3차원 시각화 및 능동적인 조작 및 관리, 분석이 가능한 3차원 지하시설물 관리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 PDF

Analysis of Reduction Effect of Seawater intrusion Zone through Groundwater Management in Yeo-su Region (여수지역의 지하수위 관리를 통한 해수침투 영역 저감 효과 분석)

  • Kim, Il-Hwan;Yang, Jeo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19-119
    • /
    • 2017
  • 기후 온난화로 인하여 빙하의 해빙과 해수의 팽창으로 해수면의 상승 속도는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2.48mm/yr로 상승하고 있으며, 특히 남해는 2.89mm/yr로 가장 크게 상승하고 있다. 해수면의 상승과 더불어 해수침투 영역 확장을 방지할 수 있는 지하수위 또한 낮아지고 있어 해수침투에 대한 피해를 점차 늘어나고 있다. 해수침투로 인한 피해는 연안지역에서부터 시작하여 점점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해수침투 피해는 직접적으로 토지의 염수화로 지하수의 오염, 농작물의 염수 피해, 주변 생태계의 교란 등으로 나타나고 한 번 염수화가 진행된 지역을 되돌리는 것은 많은 노력과 재화가 들어가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해수침투 범위가 증가하는 것이 해수면의 상승도 큰 영향을 미치지만, 해수침투 쐐기를 구성하는 담수 지하수위가 낮아지면 더욱 가속화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남해안의 여수지역을 SEAWAT으로 구성하여, 현재의 상황을 나타내고 지하수위, 해수면, 지하수 이용량, 함양량 등을 대상으로 선형적인 상승 혹은 하강으로 미래의 상황을 나타내었다. 적용된 시나리오에 지하수위 관리 방안을 적용하여 해수침투 영역 저감 효과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지하수위 관리 방안으로는 지하수위 하강 시기에 지하수 이용량 규제, 도심지에서 LID(Low Impact Development) 시설물 중 침투 증진 시설 보강 등을 이용하였으며, 각각의 시나리오를 통해 해수침투 영역 저감 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지하수위의 관리는 해수침투에 대한 피해 방지와 더불어 지속가능한 지하수 이용을 위한 정책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