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하수 정화

Search Result 370,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Enhancement of Biodegradation Rate of Petroleum Hydrocarbons-contaminated Soil with Addition of Organic Composite Nutrients and a Chemical Oxidation (유기성 영양분 첨가 및 화학적 산화 연계를 통한 유류오염 토양의 생물학적 정화효율 향상에 관한 연구)

  • Kim, Guk-Jin;Oh, Seung-Taek;Lee, Cheol-Hyo;Seo, Sang-Ki;Kang, Chang-Hwan;Chang, Youn-Young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
    • v.13 no.3
    • /
    • pp.59-66
    • /
    • 2008
  • A biological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nhancement of landfarming of soil contaminated with petroleum hydrocarbon (TPH) applying organic composite nutrients and a chemical oxidation during bioremediation. The target value of soil TPH after treatment was 500 mg/kg TPH. Addition of an organic compost and liquid swine manure for the removal of soil THP showed higher efficiency as 84.4% and 92.2% respectively than inorganic nutrients of 80.2%. In addition to the removal of non-biodegradable portion of residual hydrocarbons in soil, a chemical oxidation was applied during tailing period of the biological remediation, which showed high remediation efficiency as 98.1% compared with single bioremediation efficiency of 84.7%.

Life Cycle Assessment on Pump and Treatment Remediation of Contaminated Groundwater (오염 지하수 양수 및 처리 공정에 대한 전과정평가)

  • Cho, Jong-S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3 no.6
    • /
    • pp.405-412
    • /
    • 2011
  • Environmental impact by proposed pump and treatment remediation of groundwater contaminated with TCE over 0.6 mg/L down to 0.005 mg/L was assessed for 30 years operation in an industrial park. Total amount of groundwater treated was $2.96{\times}10^7m^3$ and the amount of TCE removed was 17.6 kg at most. The life cycle assessment was used to estimate the environmental cost and environmental benefit and their effects on the environment could be analyzed. Most of the environmental cost was accrued from electricity generation for 30 years pump operation, which includes energy consumption, resources consumption such as coal, crude oil, emission of global warming gas and acid gas into air, waste water production, and waste generation. Environmental impact could be quantified with a Life Cycle Assessment (LCA) model for soil and groundwater remediation and normalized based upon consumption and emission quantities per capita in the world. Among the normalized values, acidification material release was the most significant.

$H_2$$O_2$Enhanced Washing of Lubricant-Contaminated Soil ($H_2$$O_2$를 이용한 윤활유 오염토양 세척 효율 향상에 관한 연구)

  • 정민정;최상일;장윤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1999.10a
    • /
    • pp.99-102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물리 화학적 토양정화방법인 토양세척기법의 효율증진을 위하여, Fe를 다량 함유한 고농도 윤활유 오염토양을 대상으로 알카리 용액과 산성용액의 세척효율을 비교 검토하고, 과산화수소의 첨가에 따른 세척효율의 향상효과를 알아보았다. 세척용제인 NaOH와 HCl를 이용하여 세척효율 검토 결과 NaOH를 이용한 경우에 약 60% 의 세척효율을 나타냈다. 또한 NaOH 농도에 따른 정화 효율은 각각 0.5% > 1% $\geq$ 2% 순서로 증가하였다. 기존의 세척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과산화수소를 첨가하고 오염토양의 정화효율을 비교 검토한 결과 NaOH용액에서는 과산화수소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정화효율이 증가하였으나 NaOH의 농도증가에 대해서는 큰 영향을 보이지 않았으며, NaOH 3%의 농도에서 과산화수소 1%를 첨가했을 때 85%의 정화효율을 나타냈다. 또한 과산화수소 주입시기에 따른 영향을 검토한 결과 세척 후 과산화수소를 주입한 경우에 정화효율이 높았다. 반면에 HCl의 경우는 HCl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정화효율이 증가하였고, 세척하지 않고 과산화수소를 주입한 경우에 정화효율이 증가하였다. 고농도의 윤활유 오염토양의 세척효율을 증진시키기 위한 처리로서 과산화수소의 주입은 NaOH 상태에서 그 효율이 약 15%정도 증진되었으며, 일정시간에 이르면 정화효율이 평형에 도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HCl 상태에서는 25%의 정화효율이 증진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Remedial Action Technologies for the Contaminated Soil and Groundwater, and its Usage (오염부지 정화기술과 그 이용기법)

  • 이민효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oundwater Environment
    • /
    • v.3 no.2
    • /
    • pp.60-69
    • /
    • 1996
  • Along with rapid industrial development, toxic chemicals have been discharged extensively into the environment. Many of them have flowed into the soil which is final acceptor of environmental pollutants. As a result, they have deteriorated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Once the soil and groundwater were contaminated by pollutants, these media can not be easily restored without artificial remediation. Foreign countries which accomplished earlier industrialization compared to our country have invested enormous capital for the remediation of contaminated sites and the development of relevant technology. In our country the reserch on the development of remediation technology has been conducted for several years, but it is still in its initial stage. This report represents remediation technologies, their adaptability and clean up procedure etc. which are being used for the managenent of contaminated site in advanced countries.

  • PDF

The Study of Soil Environmental Policy in Netherland (네덜란드의 토양환경 정책연구)

  • 송창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1997.05a
    • /
    • pp.101-104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네덜란드에서 시행하고 있는 토양환경정책을 정리하고, 국내의 적용성에 대해서 검토해 보았다. 네덜란드의 토양환경관리의 목표점은 토양의 다기능성을 유지시키고자 한 것으로서 다기능성의 회복에 토양정화의 주목적이 있다. 네덜란드의 토양법체계는 토양보호법을 기점으로 주변에 환경관리법, 건축법등을 통해 토양환경의 보전을 하고 있으며, 공장지대나 주유소는 토양보호법의 테두리안에서 별도의 명령을 통해 관리되고 있다. 아울러 정화의 책임을 명확히 하였으며, 정화의 책임순서로는 오염원인자, 소유자, 권리행사자 순으로 되어 있으며. 정화는 오염자 스스로 정화를 하도록 유도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정부가 돈을 투자하여 정화를 행하고 있다. 아울러 건축물을 짓고자 할 경우에는 토양에 관한 조사를 하도록 하고 있으며, 토지를 사고 파는 과정에서는 반드시 토양의 질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도록 행하고 있다.

  • PDF

나노크기 미세철입자를 이용한 지하수중의 NO3-고속탈질처리에 관한 연구

  • 최승희;장윤영;김지형;황경엽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1998.11a
    • /
    • pp.52-56
    • /
    • 1998
  • 최근 들어 국외에서는 오염된 지하수의 정화기술로써 0가 금속을 이용한 방법이 높은 잠재력을 가진 신기술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0가 금속중 나노크기(1-100nm)를 가진 0가 철입자를 이용하여 수중의 NO$_3$ ̄를 탈질처리하는 실험을 행하였다. 본 실험에서 제조한 나노크기 0가 철입자는 상온상압의 환원적 조건에서 50, 100, 200, 400mg/$\ell$의 NO$_3$ ̄와 반응하여 반응시간 30분안에 95%이상 제거되는 높은 반응성을 보여주었다. 기존의 상업용 철입자(10-100$\mu\textrm{m}$)를 이용한 NO$_3$ ̄의 제거결과에서 보여주는 다량의 철사용, 낮은 적용 오염농도, 그리고 낮은 반응속도등의 문제점에 비하여 나노크기 철 입자는 높은 오염농도범위에서도 적은 철 주입량과 짧은 반응시간 내에 매우 높은 제거효율(10-100배)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 수중의 NO$_3$ ̄의 고속 탈질반응속도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변수는 반응에 참여하는 철 입자의 비표면적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얻은 batch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NO$_3$ ̄로 오염된 지하수의 정화를 위한 현장 적용을 목표로 연속처리 공정의 설계를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PDF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불균질 매질에서의 유기오염물(NAPL)의 정화효율에 관한 실험

  • 서형기;이민희;정상용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1.09a
    • /
    • pp.176-179
    • /
    • 2001
  • 비 수용성 유기오염물(NAPL; non-aqueous phase liquid)로 오염된 불균질 토양을 계면활 성제를 이용하여 정화할 경우 효율성을 알아보기 위해 칼럼 및 박스 실험을 실시하였다. 불 균질한 지하 내부구조는 정화효과에 커다란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비한 형편이다. 2차원 불균질 분포를 잘 나타내주는 박스실험을 통하여 실제 지하매질에 가까운 조건에서 실험을 실시하였다. PCE(tetrachloroethylene)와 xylene이 NAPL로 올리에마이드(01eamide)가 비이온-계면활성제로 이용되었으며, 1%용액과 증류수를 주입하여 NAPL을 세정하였고 가스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NAPL의 농도를 분석하였다. 계면활성제를 주입할 경우가 증류수를 주입할 때보다 최대유출농도가 약 200배 정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빠른 시간 내에 대부분의 NAPL이 정화되었다. 본 실험을 통하여, 불균질 매질에서의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토양세정방법의 효율성이 정량화 되었으며,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채수주입법의 현장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