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하수체계

Search Result 248,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 study of the integration of the 2D ground water model WHPA with Desktop GIS for ground water well development by basic survey stage (지하수 관정개발 기초조사사업 업무지원을 위한 Desktop GIS와 2D 지하수 모델 WHPA 통합 연구)

  • Kim, Man-Kyu;Jung, Byong-Ho;Lim, Chang-Young;Park, Jong-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2.10a
    • /
    • pp.257-260
    • /
    • 2002
  • This study develops a GIS-based system which examines the adequacy of the Groundwater development project before the actual designing of the project. Using the system developed here, we can transfer simulation results obtained by WHPA regarding Groundwater levels in new development projects into GIS. We can also judge whether a Groundwater development project should be permitted through examining overlaps of the effects of the development and comparing with other pollutants. Since a two-tiered system which shares DB using inter- and intranets is developed, all the departments in the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 and the agriculture base corporation can share accurate, reliable and latest information related to Groundwater.

  • PDF

Development study of ground water management system making use of GIS ( Well analysis program, connection program of ground water modeling ) (GIS를 이용한 지하수관리시스템 개발 연구 (관정분석 프로그램, 지하수모델링 연계프로그램))

  • 이병호;김양빈;설민구;송양권;송무영
    • Proceedings of the KSEG Conference
    • /
    • 2002.04a
    • /
    • pp.235-248
    • /
    • 2002
  • Ground water development skill growth and life circumstances improvement increase ground water use. So managerial difficulties and various problems about ground water occur. Poor ground water management organization, lack of management person, thoughtless development add ground water pollution and lack of water volume. And local excessive developments or abandoned well occur. This paper presents ground water management system model making use of GIS and helps effective management by realizing necessary analysis functions in ground water management system and ground management methods. Local information of ground water recorded and development data, site examination data made D/B. And linearment analysis data making use of a satellite image data, hydraulic test data, the quality of water examination data, these local characteristic values made out thematic maps and making use of these data can form elementary data of ground water modeling It makes easy to understand environmental development conditions and pollution source conditions about new ground water development location, linearment growth, DRASTIC, the quality of water examination. Ground water management system making use of these functions can choose right location of ground water.

  • PDF

Building a Classification Scheme of Soil and Groundwater Contamination Sources in Korea: 2. Construction of Classification System and Applications of Attribute Data (토양.지하수오염원 분류체계 구축방안: 2. 분류체계 구축 및 속성자료 활용방안)

  • An, Jeong-Yi;Shin, Kyung-Hee;Hwang, Sang-Il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
    • v.15 no.6
    • /
    • pp.122-127
    • /
    • 2010
  • Constructing the national inventory that can be used as a tool to identify and assess existing or potential contamination is necessary for efficiently managing the soil and groundwater contamination. In order to start this construction, the first step is how we define and classify potential contamination sources of soil and groundwater. After selecting the basic classification model of contamination sources from developed countries, we suggested the classification and list of the potential contamination sources of soil and groundwater which are appropriate for specific conditions of South Korea. In addition, we investigated several databases to confirm the existence of available data sources and then examined established attribute data through chemical accident response information system (CARIS) and water information system (WIS) in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min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MGIS) in Mine Reclamation Corporation. All sorts of attribute data in the existing databases can be utilized as significant assessment factors for determining the management priority of potential contamination sources in the future. Therefore, it is required the expanded investigation of additional database sources and the continual modification so that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potential contamination sources can be improved.

Consideration of the Groundwater Recharge Based on Environmental Isotopic Characteristics of the Small Basin in the Yeosu Area (환경동위원소를 이용한 여수지역 소유역에서의 지하수함양특성 고찰)

  • 고용권;배대석;김천수;김경수;정형재;김성용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
    • v.6 no.3
    • /
    • pp.93-106
    • /
    • 2001
  • The processes and rates of groundwater recharge were studied by long-term monitoring of groundwater level and isotopic compositions of precipitation, surface water and groundwater in the Yeosu area. The isotopic compositions of surface water and groundwater were directly related to the precipitation event. It is also shown that the minimum amount of precipitation for infiltration to groundwater is about 20mm. The isotopic variations of groundwater shows that the Isotopic composition of groundwater changed by each precipitation event between June and Sep. 2000 is gradually changed without input of precipitation again. It indicates that the groundwater recharged from the upper part is mixed with the groundwater in reservoir. The infiltration rate of first precipitation event after a dry season is estimated to be 16.5% using isotopic mixing equations. It is expected that the groundwater recharge rate could be estimated more quantitavely, if the isotopic method is combined with the conservative methods.

  • PDF

Groundwater Recharge According to Land Cover Change in Urban Area (도시지역의 토지피복 변화에 따른 지하수 함양량)

  • Lee, Seung-Hyun;Bae, Sang-K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913-1917
    • /
    • 2009
  • 국제사회의 분위기와 더불어 국내에서도 에너지 자원의 지속적인 개발과 이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 중 수자원의 지속적인 확보와 개발은 가장 현실적이고 우선적인 문제로 인식되고 있으며 수자원확보/환경/개발 및 이용 등의 여러 분야에서 그간의 정량적 성과가 하나 둘씩 도출되어 적용 단계에 이르기도 하였다. 하지만 지하수의 경우 기초자료의 미흡과 불확실성, 함양량 및 개발가능량에 대한 산정기법의 적용성 문제, 체계화된 개발 및 이용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도시지역의 경우는 인구의 증가로 인하여 지하수이용량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잠재적 지하수오염 가능성이 높아져 지하수환경의 악화를 초래하고 이로 인하여 하천 환경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지하수개발가능량의 평가 및 체계적인 이용과 관리가 반드시 필요하나 지하수함양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토지피복상태가 지속적으로 변화하여 지하수함양량에도 매년 변화가 있으며 이에 따라 개발가능량도 변하고 있어 지하수 개발과 관리 및 이용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부산광역시 수영구 일대를 대상으로 도시화 현상으로 변화하는 토지피복상태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반영하여 1961년부터 2007년까지의 지하수함양량 및 함양률을 산정하였다. 연구대상지역의 토지피복상태는 1975년 이전까지는 시가화지역이 18.6%, 농업지역이 30.0%, 산림이 48.8%, 초지가 0.1%, 나지가 2.0%, 수역이 0.5%를 차지하고 있었으나 1980년${\sim}$1985년에 농업지역이 18.3% 감소하고 시가화지역이 15.0% 증가하는 큰 변화가 나타났으며 1995년${\sim}$2000년에도 농업지역이 5.5% 감소하고 시가화지역이 5.4% 증가하는 변화를 나타냈다. 전 연도에 걸쳐 산림지역과 초지, 나지, 수역에서의 변화는 크지 않았다. 연구대상지역의 평균 강우량은 1509.3mm이고 지하수평균함양량은 216.0mm이며 지하수평균함양률은 14.3%로 나타났다. 연최대함양량은 강우량이 2138.1mm인 1970년에 408.9mm이며 연최대함양률은 강우량이 1492.6mm인 1984년에 19.8%이다. 연최소함양량은 강우량이 901.5mm인 1988년에 71.9mm이며 연최소함양률은 같은해에 8.0%로 나타났다. 또한 연도의 증가에 따라 강우량은 증가하였으나 지하수함양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Development of Well Network System Platform against Drought (가뭄 대응 기존 관정 활용을 위한 관정 연계 플랫폼 개발)

  • Kyoochul H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1-11
    • /
    • 2023
  • 2020년 기준 우리나라 전체 지하수 시설은 총 1,659천개소, 이용량은 2,916백만m3/년, 년간 지하수 개발가능량은 130억m3대비 22.3%이다(환경부 등, 2021). 단위면적당 지하수 시설수와 이용량은 16.8개소/km2, 29,168m3/년/km2(81.1m3/일/km2)이다. 이러한 자료는 가뭄 대응시 신규 관정 개발도 필요하지만, 기존에 개발된 관정들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관정들을 상호 연계하게 되면 여러 개의 관정에서 나오는 물을 합하여 총량을 늘릴 수 있기 때문에, 가뭄 등 비상시에 일시적으로 다량의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평상시에도 적절한 양수량 조절을 통해 지하수 자원의 손실을 막고 수위 저하에 의한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관정연계시스템(well network system, WNS)은 기존 관정들을 가상의(virtually) 또는 물리적(physical) 연계를 하여, 최적의 지하수를 공급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정의할 수 있다. 가뭄 대응 및 효율적 지하수 자원 활용을 위한 관정연계시스템 개발과 실증을 위해 홍성군 서부면 양곡리 일대에 양수제어, 관로시설, 물탱크 등 물리적인 시설을 시험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또한, 관정연계시스템은 ICT 기술과 지하수관리 기법을 연동하여 지하수 관정들을 연계하고 최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하나의 의사결정시스템으로서 관정연계 플랫폼을 개발하였다. 관정연계 플랫폼은 웹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대수층의 수리지질 특성, 수요에 기반한 물공급량 평가, 관정 연계 시나리오 및 최적 운영 알고리즘, 지하수 모델링 등이 가능하도록 각각의 모듈들이 구성 및 통합·운영 되도록 설계되었다. 본 시스템 개발을 통해 가뭄 발생시 현장에서 신속히 지하수로 물을 공급할 수 있으며, 신규 관정 개발에 드는 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기존 시설을 활용하기 때문에 새로운 수자원 건설 인프라 구축 비용도 절감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개별관정에 대한 이용률 제고와 지하수관리도 보다 체계적, 과학적으로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하지만, 이러한 시스템이 제대로 운영 및 보급되기 위해서는 관정연계와 관련한 법제도적 보완과 함께, 지역사회의 공적자원으로서의 지하수에 대한 인식개선과 지하수의 개발 및 보전, 적합한 합리적 배분·이용 등 적극적인 협조가 이루어져야 한다.

  • PDF

Characterization of the Spatial Distribution of Fracture System at the Rock Block Scale in the Granitic Area (화강암지역의 암반블록규모 단열체계 분포특성 연구)

  • 김경수;배대석;김천수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12 no.3
    • /
    • pp.198-209
    • /
    • 2002
  • To assess deep geological environment for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hish-level radioactive waste disposal, six boreholes of 3" in diameter were installed in two granitic areas. An areal extent of the rock block scale in the study sites was estimated by the lineament analysis from satellite images and shaded relief maps. The characterization of fracture system developed in rock block scale was carried out based on the acoustic televiewer logging in deep boreholes. In the Yuseong site, the granite rock mass was divided into the upper and lower zones at around -160m based on the probabilistic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geometric parameters such as orientation, fracture frequency, spacing and aperture size. Since the groundwater flow is dependent on the fracture system in a fractured rock mass, the correlation of the fracture frequency and cumulative aperture size to the hydraulic conductivity was also discussed.

A Study of Numerical Analysis on Hydrogeological Influence by Groundwater Development around Underground Oil Storage Cavern (지하 석유비축기지 주변의 지하수 개발에 의한 수리지질학적 영향의 수치해석 연구)

  • 정현영;송무영;이경주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11 no.1
    • /
    • pp.37-50
    • /
    • 2001
  • Through the modeting study on the groundwater now system around the underground stockpile site of crude oil near Seoul, we carried out the research on the influence of the groundwater yield near the site, the effect of the water curtain construction in order to reduce the influence of water yield, and the realized case study by measuring the water level change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water curtain. For the simu1ation of the water yield and the water curtain, the nwnerical analysis code, MODFLOW has been utilized. Groundwater levels of the observation wells which were established to observe the hydraulic head around underground oil storage cavern of the study area have been changed in the range of from EL.+30 to +60 meter, while the simulation study revealed that groundwater levels changed in the range of from EL.+20 to +5Om. The hydrogeological condition of the underground oil storage cavern becomes stable by injection water to maintain the groundwater level around the cavern. The result shows the proper input of the hydrogeological factors helps the management to be effective for the oil stockpile site.

  • PDF

Installation of observation wells to monitor the effect of weir opening on the water level of the Nakdong River (낙동강 보 개방 모니터링을 위한 관측정 설치)

  • Choi, Doo Houng;Jung, You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53-453
    • /
    • 2022
  • 4대강 유역에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는 보의 개방을 통해 하천의 수질 개선 및 자연성 회복을 추진하고자 하는 정부정책에 따라 2017년부터 낙동강 유역 내 일부 보의 수문을 개방하고 모니터링을 진행 중에 있다. 그러나 보 건설 이후, 하천 주변의 농업형태 및 농업용수 취수 조건이 변화하였고, 보 개방에 따른 하천 주변 지역 지하수위 변화로 인한 농업용수 부족 현상이 발생하였다. 정부에서는 보 주변의 농업 현황 조사, 지하수 현황 조사 및 용수 공급 지원 등을 추진하고 있으나, 하천 주변의 농민들은 보 개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농업용수부족 및 이에 따른 농업피해에 대한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지하수의 지열을 사용하여 겨울철 시설재배 농작물의 보온을 하는 '수막재배' 방법을 활용하는 농가의 경우 지하수위 저하에 따른 난방비 증가 및 농작물 냉해 피해가 발생함에 따라 보 개방에 대한 반대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하천 주변에 분포하는 지하수는 하천의 영향을 받으며, 지표수와 지하수는 기저유출 등을 통해 상호영향을 받는 물 순환의 구성요소이므로, 보 개방으로 인한 하천수위 변화에 따른 주변지역 지하수위의 변화 패턴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와 분석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보 개방 모니터링을 위한 관측정 설치의 필요성을 조사/분석하고 최적의 관측지점에 설치하여 지속적으로 모니터링을 수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보 개방에 따른 주변지역 지하수 영향에 대한 조사 및 분석이 보 개방 모니터링 전후로 수행되어, 보 개방에 따른 지하수 환경 내 영향 분석, 농업형태에 따른 지하수 활용 영향 및 지하수 장애 발생 시 임시대책/항구대책 제시 등을 추진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따라 정부와 Kwater는 보 개방에 따른 현장조사 및 분석을 통한 지하수 관측정을 설치하고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추진하고 있다. 2019년 현재, 낙동강 유역에는 총 194개소의 지하수 관측정이 있으며, 향후 수막재배를 많이 활용하고 있는 시설재배 농업단지 등을 보 개방에 따른 지하수 이용장애 민원 우려지역을 중심으로 지하수 관측정을 추가로 설치하여 보 개방에 따른 지하수 영향 분석 및 이에 대한 용수공급 대책 마련 등을 위한 기초자료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Reviews on the Studies of MTBE Contaminants in Groundwater

  • 이지훈;이진용;천정용;이강근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oundwater Environment
    • /
    • v.7 no.1
    • /
    • pp.55-58
    • /
    • 2000
  • Methyl tertiary butyl ether (MTBE) is a gasoline additive that boosts the oxygen content in fuel (an oxygenate), resulting in less air-polluting carbon monoxide being released from vehicle exhaust systems. Then, groundwater contamination problems have been developed in areas where the chemical is used. Common sources of water contamination by MTBE include leaking underground gasoline storage tanks and leaks and spills from above ground fuel storage tanks, etc.. Studies on the chemical and these problems are going on abroad vigorously. These studies should be performed in our country as well more actively. This paper reviews on articles on these studies and focuses on the identification of the chemical as a groundwater contamination sour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