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하수수질 모델링

Search Result 37,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Monitoring/Modeling of Hydrology, Water Quality, and Agroecological Environment at Small Watersheds : A Pilot Study Program (농업유역의 수문.수질.생태환경 모니터링/모델링 연구)

  • Park, Seung-U;Lee, Hye-Won;Im, Sa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Conference
    • /
    • 1996.03a
    • /
    • pp.17-20
    • /
    • 1996
  • 지난 20여년 동안 급격한 도시화, 산업화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대기와 물의 오염, 쓰레기 공해 등 자연환경의 훼손과 피폐화가 심각한 상태에 이르렀다. 또한, 과다한 농약. 비료의 투입과 농사료에 의한 축산으로 높은 농업 생산성을 이룩하였으나, 이로 인하여 토양오염과 하천과 지하수 수질오염, 식생, 곤충 등 생태계 파괴 등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최근, 수자원 함양, 수질 정화 등의 순기능으로 농업의 환경 기여 효과가 큰 것으로 발표되었다. 논으로 부터의 오염부하는 생활 오수나 공장폐수 등에 비하여 정성적으로는 미미한 것이 사실이며, 실제로 관개수로 유입되는 영양물질이 작물에 의하여 흡수되므로 물질 수지적 측면에서 수질정화 효과를 나타낸다는 개념이다. 그러나, 오염된 관개수와 함께 유입되는 물질과 영농 목적으로 투입되는 다량의 비료와 농약, 제초제 등의 독성 물질 등에 의한 생태 환경의 변화 등에 대한 영향 등에 관한 종합적 관점에서의 효과는 불분명한 것이 현실이다. 특히, 폭우시 농경지로부터 유출에 의한 토사유실과 영양 물질이 손실 등에 대한 정량적 평가가 부족하며, 이로 인한 유역에서의 수문, 수질, 생태환경 등을 정량적 분석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농업유역에서의 수문과 물질순환과정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주요 오염원을 파악하고, 효과적인 조절방법 등을 위한 유역수질관리 기술개발과 함께, 경지와 주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등을 극소화할 수 있는 종합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관개시설 등 농업기반조성사업에 따른 인위적인 수문환경으로 인한 농경지내에서의 수문.물질순환 기작의 변화 등을 고려한 수질 및 생태환경에 판한 종합적인 모니터링, 모델링 등의 접근이 필요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95 농림수산특정연구 중 첨단연구과제로 추진 중인 농업생태환경 및 종합적 환경관리 시스템 개발연구의 목표와 내용, 범위 등을 소개하고, 농촌지역에서의 건전한 환경관리를 위한 유역관리기술 개발의 방향 등을 정리하도록 한다.

  • PDF

Comparison between the Spatially Integrated Model and the Spatially Distributed Model in the Nonpoint Source Contaminants of Groundwater (지하수 분산오염원에 대한 공간적분모형과 공간분포모형의 비교)

  • Lee, Do-Hun;Lee, Eun-Tae;Jeong, Sang-Ma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1 no.2
    • /
    • pp.177-187
    • /
    • 1998
  • The spatially integrated model (SIM) which can evaluate temporal variation of groundwater quality is proposed in the stream-aquifer setting entered by nonpoint source contaminants. And the developed SIM included unsaturated soil zone and was tested against the spatially distributed model (SDM) of the coupled advection-dispersion and Richards equations for the various hydrologic and aquifer simulating conditions.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showed that the average concentration responses of saturated aquifer and groundwater outflow between the SIM and the SDM was in good agreement, except for the case of the large dispersivity ratio and thick aquifer system. And it is shown that for the cases of the large dispersivity ratio and thick aquifer system the performance of the nonlinear SIM is better than that of the linear SIM for evaluating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groundwater outflow response.

  • PDF

Groundwater Flow Modeling in a Riverbank Filtration Area, Deasan-Myeon, Changwon City (창원시 대산면 강변여과수 취수부지 주변의 지하수 유동 모델링)

  • Hamm, Se-Yeong;Cheong, Jae-Yeol;Kim, Hyoung-Su;Hahn, Jeong-Sang;Cha, Yong-Hoon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38 no.1
    • /
    • pp.67-78
    • /
    • 2005
  • Riverbank filtration has been used in advanced countries for 150 years. In Korea, investigations for producing riverbank filtrate started in the Han River, Nakdong River, Geum River, Yeongsan River and Seomjin River basins in the 1990s. The lower part of the Nakdong River has a poorer water quality than the upper part of the river. A water balance analysis and groundwater flow modeling were conducted for the riverbanks of the Nakdong River in Daesan-Myeon, Changwon City. The results of the water balance analysis revealed the groundwater infiltration rate into the aquifer to be 245.26 mm/year (19.68% of the average annual precipitation, 1,251.32 mm). Direct runoff accounts for 153.49 mm/year, evapotranspiration is 723.95 mm/year and baseflow is 127.63 mm/year. According to the groundwater flow modeling, 65% of the total inflow to the pumping wells originates from the Nakdong River, 13% originates from the aquifer in the rectilinear direction, and 22% originates from the aquifer in the parallel direction. The particle tracking model shows that a particle moving from the river toward the pumping wells travels 100 m in 50 days and a particle from the aquifer toward the pumping wells travels 100 m in 100 days.

Analysis of the effect of seawater intrusion in groundwater level change using SEAWAT model (SEAWAT 모델을 이용한 지하수위 변화에 따른 해수침투 영향 분석)

  • Nam, Jae Jun;Yang, Jeong Seok;Kim, Il 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295-295
    • /
    • 2015
  • 강우의 시 공간적 불균형이 심한 우리나라는 수자원 확보 및 관리가 어려움에 따라 신규 수자원 확보와 기존 수자원 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최근 대체수자원으로서 대두되고 있는 지하수는 지표수에 비해 이용지점에서 바로 취수하여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오염이 진행되면 복구에 상당한 기간과 비용이 소요됨에 따라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특히 해안지역 수자원의 경우, 내륙지역에 비해 하천이 발달해 있지 않아 지하수에 대한 높은 의존도에 따른 수량적 문제와 해수와 접해있는 면적이 많음에 따라 지하수와 해수간의 유동으로 인한 수질적 문제로 지하수 관리가 더욱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지하수유동해석프로그램인 Visual MODFLOW의 SEAWAT model을 이용하여 지하수위 변화에 따른 해수침투의 영향을 판단하고자 하였다. 연구지역은 태안지역의 근흥1, 근흥2 관측소의 지하수위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2008 ~ 2014년 까지 매년 지하수위 변동에 따라 해수침투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해수침투 영향 판단 인자인 EC, TDS는 각 관측소 데이터를 통한 환산 및 분석 진행하고, $Cl/HCO_3$ 몰비는 참고문헌을 인용하여 모델링에 의한 해수침투 영향과 관측자료 및 이온분석을 통한 영향을 비교하였다.

  • PDF

Analysis of hydrological effect by the Daecheong Dam and the Yongdam Dam of the Geum River Basin (금강유역의 대청댐과 용담댐에 의한 수문학적 영향 분석)

  • Kim, Chul-Gyum;Kim, Nam-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89-389
    • /
    • 2011
  • 과거의 무분별한 수자원 개발에 따른 자연환경파괴로 인해 점차 대규모 다목적댐의 건설과 같은 신규 수자원 개발이 쉽지 않은 상황이지만, 여전히 댐은 유한의 수자원을 적극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가장 대표적인 방법으로서, 안정적인 용수 확보를 통한 물부족의 해소와 효율적인 운영을 통한 홍수와 가뭄 피해 예방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해오고 있다. 댐의 건설로 인해 하류측 본류에서는 과거와 같은 유량의 극심한 계절적인 편차는 감소되었으며, 가뭄이나 홍수에 대한 피해 규모도 저감되었다고 볼 수 있다. 댐 건설에 따른 수문학적 변화에 대한 분석은 실제 댐 건설 전후의 장기적인 관측자료를 비교하는 것이 가장 정확한 방법이나, 대부분 관측자료가 전무하거나 충분하지 못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모델링을 통해 장기간의 유출자료를 추정한 후 이를 기반으로 그 영향을 평가하고 있다. 모델링 방법으로는 과거부터 오랫동안 국내 수자원 해석 및 계획에 폭넓게 활용되고 있는 TANK 모형을 비롯하여, SSARR, NWS-PC, TOPMODEL, HSPF, PRMS, SLURP, SWAT, MIKE-SHE 등 다양한 모형들이 적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SWAT은 유역의 수문 수질의 시공간적인 해석 및 관리, 그리고 미래 유역환경변화에 따른 영향 평가 등을 위해 국내는 물론 국제적으로도 많이 적용되고 있는 모형이다. 본 연구에서는 SWAT 모형을 국내 유역 특성에 적합하도록 개선한 SWAT-K 모형을 이용하여, 금강유역에서의 대청댐 및 용담댐의 운영과 인위적인 용수 이용에 따른 유출량, 증발산량 및 지하수 함양량 등의 수문성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대청댐의 건설과 유역내 용수 이용으로 인해 하류측 공주지점에서의 유출량은 자연상태에 비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하수 함양량과 증발산량은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Hydrogeochemistry of Groundwaters at the Gogum island area in Jeonnam, Korea (전남 고금도 지역 지하수의 수리지구화학)

  • Park, Cheon-Young;Ahan, Kun-Sang;Jeong, Youn-Joong;Shin, In-Hyun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3 no.6
    • /
    • pp.474-485
    • /
    • 2002
  •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tamination degree and the interpretation of sea water intrusion phenomena with hydrogeochemical and hydrogen-oxygen stable isotope of coastal aquifer in the Gogum area, Korea.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s is the neutral pH condition and transitional Redox environments, and groundwater is affected by sea water & surface water. The chemical properties of groundwaters are showing an increase in contamination owing to the sea water intrusion, waste water from the surface and agricultural chemicals. In the case of chloride, 6 samples of the groundwater in the study area are in excess of the drinking water standard. The Piper diagram shows the contamination in GG-4 and 14 by sea water intrusion. GG-3, 7 and 13 dominate the Na-HCO$_{3}$ type water and regional (GG-14) is indicated to dominate the Na-Cl type water such as sea water. According to the Sl (saturation index), sea water is oversaturated with respect to calcite and dolomite, GG-3, 14 and 18 are approaching the saturation state. The hydrogen-oxygen stable isotope ratio of groundwaters originates in the meteoric water, and groundwaters of GG-1, 5 and 14 display high oxygen isotope value due to surface water trespass and sea water intru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GG-14 is contaminated by sea water intrusion, groundwaters expected GG-3, 7 and 13 is in progress to artificial pollution and sea water intrusion.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Integrated Watershed Soundness Index (통합 유역건전성 평가지수 개발 및 평가)

  • Ahn, So Ra;Jung, Chung Gil;Lee, Ji Wan;Kim, Seong 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320-32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자연환경, 수생태환경과 관련된 모니터링자료 및 수문/수질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모델링 자료를 이용하여 유역건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지수를 개발하고, 한강유역($34,148km^2$)을 대상으로 표준유역단위 유역건전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 EPA(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의 유역건전성 분석 사례를 개선하여 우리나라에 유역 특성에 맞는 통합 유역건전성 평가지수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하고자 하는 유역건전성은 유역이 본래 가지고 있는 자연적인 건전성을 평가하고자 하는 것으로, 평가를 위한 지표로 자연토지피복, 하천환경, 수문, 수질, 서식지, 수생태 관련 요소를 각각 선정하였다. 자연토지피복 및 하천, 서식지 유역건전성 평가를 위해서 DEM, 토지이용도, 하천도, 저수지, 습지자료를 이용하였고, 수생태 유역건전성 평가를 위해서는 6년간(2008년~2013년) 모니터링 된 TDI, BMI, FAI 자료로 이용하였다. 수문/수질 유역건전성 평가를 위해서는 SWAT 모형의 장기모의 결과를 활용하였으며, 30년간(1985년-2014년) 모의된 강수량, 총유출, 지표유출, 침투, 토양수분, 중간유출, 침루, 지하수 충진, 기저유출, Sediment, T-N, T-P 결과를 이용하였다. 각 평가지표로부터 표준유역별 sub-index를 도출하였으며, 6가지 sub-index를 이용하여 통합 유역건전성 지수를 산정하였다. 산정된 지수는 0부터 1까지의 값으로 나타나며, 1에 가까울수록 유역건전성이 좋은 유역을 의미한다. 연구결과 한강유역의 통합 유역건전성은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건전성이 안 좋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특정 표준유역에 대하여 자연환경, 수문, 수질, 수생태환경 각각의 유역건전성을 평가할 수 있었다.

  • PDF

Neutralization Processes of Acid Mine Drainage (AMD) from the Abandoned Donghae Coal Mine (동해 폐탄광 일대 산성 광산폐수의 중화처리)

  • 김정엽;전효택;오대균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oundwater Environment
    • /
    • v.2 no.1
    • /
    • pp.38-47
    • /
    • 199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neutralization processes of acid mine drainage (AMD) from the abandoned Donghae coal mine in the Samchuk coalfield. The contents of potentially toxic elements in stream water increase and the level of pH decreases during dry season. Hydrated lime is turned out to be the best neutralizer of the acid mine water from a technical and economic viewpoint. From the results of equilibrium calculation, Fe and Al could be precipitated as FeOOH, and Al(OH)$_3$, respectively, in the neutralization process. The sites of holding basins necessary to equalize quantity and quality of AMD are recommended by GIS analysis, and the capacities of holding basins are determined by hydrological calculation.

  • PDF

Monitoring of Soil Pollutant Loadings in Greenhouse and Conventional Farming Practices (시설재배지와 관행재배 지역의 토양 내 오염부하 모니터링)

  • Hong, Eun-Mi;Choi, Jin-Yong;Yoo, Seung-Hwan;Kang, Moon-Seong;Jang, Jeong-R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448-448
    • /
    • 2012
  • 농경지의 잔류비료나 농약 등의 비점오염원은 강수 또는 관개를 함에 따라 지표 및 지하 유출과 함께 거동함으로써 토양 내에 집적됨과 동시에 지하수 수질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최근 고부가가치 농산물 수요의 증가로 전국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시설재배의 경우 노지재배와는 상이한 유출 및 침투 특성을 가지고 있음과 동시에 과다시비로 인한 오염원의 토양 내 집적이 심각한 수준이나, 이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설재배지와 관행재배 지역의 토양 내 비점오염원 오염부하량을 평가하고 지하침투 과정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설재배지와 관행재배지의 비교 평가가 가능한 포장 및 광역단위 시험포장을 연구대상지역으로 선정하였다. 모니터링 대상지역에서 토양수, 토양수분, 관개량, 기상조건 등을 측정하기 위한 장비를 설치하여 비점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였고, 한달에 두 번 모니터링을 통하여 자료 수집 체계를 확립하였다. 시설재배지 및 관행재배지 토양 및 토양수 수질 분석 결과, 시설재배지 내 영양물질 농도가 관행재배지와 비교하여 전반적으로 높았으며, 특히, 하부토층으로 내려갈수록 영양물질의 농도 및 편차가 크게 나타났다. 향후 본 시험포장에서의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샘플링을 통하여 시설재배지 토양내 비점오염원의 침투 과정을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지하침투 영향 및 오염부하량 모델링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ite Suitability and Developable Amount Assessment for Riverbank Filtration in the Han River (II) (한강에서의 강변여과수 개발을 위한 적지선정 및 개발가능량 산정(II))

  • Lee, Sang-Il;Yoo, Sang-Yeon;Lee, Sang-Si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1 no.8
    • /
    • pp.835-843
    • /
    • 2008
  • In Korea, riverbank filtration has drawn attention since 1990's as an alternative having potential to stably meet the ever-increasing water demand. Some cities located in the Nak-dong River Basin are currently supplying water through riverbank filtration. This research is on the application of riverbank filtration for stable water quality in Seoul. For this purpose, we have evaluated developable amount of water with riverbank filtration for the Han River. This paper focuses on the Kwangnaru site, which was selected through a systematic analysis in the companion paper. We have conducted groundwater modeling for a proposed system of wells and an artificial lake. In the Kwangnaru district, the river length to constitute a well system was identified to be about 1,200m, due to the topography and the field condition such as ecosystem preservation zone. After many design changes, it was found that the maximum developable amount of $23.36\;million\;m^3$/year could be obtained, when 16 pumping wells were built in every 80 meters along with an artificial lake upstre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