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하공간정보통합지도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3초

지하공간통합지도 관리 시스템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공간 데이터 갱신 방법 (Spatial Data Update Method for Efficient Operation of the Integrated Underground Geospatial Map Management System)

  • 이봉준;고훈준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7호
    • /
    • pp.57-64
    • /
    • 2022
  • 지하공간에는 다양한 구조물들이 있고 그 구조물들의 지하공간 데이터는 지하공간통합지도 관리 시스템(IUGMMS)에서 3D 데이터로 관리되고 있다. 작업자는 준공도서 제출 프로그램으로 변경된 지하공간 데이터를 반영한 통합지도 전체를 IUGMMS에 전송하여 갱신하고 있다. 그러나 통합지도 파일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전송하고 갱신하는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변경된 통합지도와 IUGMMS에 저장되어 있는 통합지도에서 공간특성정보를 각각 구하고 비교해서 변경된 지하정보 데이터가 있는 통합지도만 추출하여 전송하고자 한다. 실험 결과, 기존 방법은 전송하려는 통합지도의 영역이 넓을수록 통합지도를 전송하는 시간과 갱신하는 시간이 파일 크기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지만, 제안한 방법은 변경된 지하공간 데이터가 포함된 통합지도만 전송하기 때문에 전송 시간이 짧았고 갱신하는 시간도 짧았다. 그 결과 변경된 통합지도를 전송하고 갱신할 때 발생하는 시간의 지연을 줄일 수 있었다.

모바일 지하 대용량 3D 공간정보 타일링 전송 프로토콜 개발 (Mobile Underground High-capacity 3D Spatial Information Tiling Transfer Protocol Development)

  • 이태형;조원제;김현우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491-496
    • /
    • 2021
  • 지하시설물에 따른 안전과 지하정보의 활용이 점차 부각되고 있는 현대 시대에 맞추어, 국가는 더욱 정밀하고 정확한 지하공간정보 확보 및 활용을 추진하고 있다. 앞으로는 국토교통부에서 구축 중인 15종(지하시설물 6종, 지하구조물 6종, 지반 3종) 지하공간통합지도를 적극 활용하여, 국가안전 및 지하공사 편의성 향상을 위해 많은 기여를 할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현장담당자가 모바일기기로 지하공간통합지도를 요청할 때, 대용량의 지하공간통합지도가 무선구간에서 빠르게 전송되어 서비스되지 않는다면, 현장담당자에게 불편을 초래하고, 업무 지연을 유발한다. 본 논문에서는 현장담당자가 최소한의 정보교환으로 타일링된 지하공간통합지도를 신속하게 전송 서비스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고속 모바일용 지하공간통합지도 전송을 위한 데이터셋에 맞춤으로 타일링체계를 구성한다. 아울러 모바일용 지하공간통합지도 데이터에 대한 전송체계를 설정하고, 현장 지하공간통합지도 전용 TCP/I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Internet Protocol) 기반 공간정보 타일링 전송 프로토콜을 개발한다.

항만구조물 안전관리를 위한 지하공간통합지도 구축 방안 연구 (A Study on Establishing the Under Space Integrated Map for Safety Management of Harbor Structures)

  • 박동현;장용구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39-140
    • /
    • 2016
  • 최근 대도심지를 중심으로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지반침하, 지반함몰, 도로붕괴 등의 지하안전사고로 인해 정부는 지하안전 대책 수립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특히, 국토교통부는 지하공간통합지도 구축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본사업에 박차를 가하여 지하공간 안전관리체계를 마련하고자 하고 있다. 그러나 국토교통부에서 구축계획하고 있는 지하공간통합지도는 서울, 부산, 대전 등 대도시를 중심으로하고 있어, 태풍, 집중호우 등에 의한 지반침하 및 함몰 등의 안전사고가 우려되는 항만구조물을 관리하기에는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항만구조물의 안전관리를 위한 지하공간통합지도 구축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현장 GPR 탐사자료와 지하공간통합지도 상호위치 정확도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Positional Accuracy between the GPR Survey Data and Underground Space Integration Map)

  • 송석진;조해용;한담혜;김성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08-216
    • /
    • 2020
  • 최근의 도심지에서 발생하고 있는 지반함몰 및 침하, 노후 지하시설물 파손 등의 지하 안전에 관한 이슈가 증가하고 있어 보다 정확한 지하시설물의 관리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장에서 취득하는 GPR 탐사 성과로부터 취득한 지하시설물 공간정보와 지하공간통합지도의 공간정보를 상호 비교하는 기법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지하공간통합지도 연계 현장활용 서비스 프로토타입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강남역 주변 일부 구간에 대하여 현장 활용성 검증을 위한 GPR 탐사성과와 지하공간통합지도의 위치 정보를 비교한 결과 최대 0.879m, 최소 0.101m, 평균 오차는 0.625m로 나타났다. GPR탐사 성과의 정확도가 보장될 경우 지하공간통합지도의 위치정확도 개선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지하공간통합지도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한 제도 개선 방향 연구 (Research on the direction of laws improvement integrated maps of underground space for systematic management)

  • 류지송;장용구;박동현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17-26
    • /
    • 2023
  • 지하공간통합지도는 7종의 지하시설물, 6종의 지하구조물, 3종의 지반을 포함한 16종이 하나로 통합된 3차원의 지도이다. 지하공간통합지도의 체계적인 구축·관리·활용을 위해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으로 제도화 되었다. 그러나 지하공간통합지도 갱신 자동화 기술 등 새로운 기술의 개발과 지하공간통합지도 활용성 확대를 위한 제도적 장치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하공간통합지도의 현황을 살펴보고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의 개정방안과 세부 운영관리규정(안)을 통해 현행 제도의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했다. 개선방향은 크게 3가지로 지하공간통합지도의 제출 창구를 명시화 하고 운영관리규정을 통해 절차를 세분화함으로써 업무의 혼란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지하공간통합지도 활용 의무대상 사업의 공간적 제약에 대한 내용을 삭제함으로써 모든 굴착공사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개선 사항이 제도적으로 반영된다면 디지털트윈 국토의 핵심정보로 지속적인 활용이 될 수 있을 것이다.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obile 3D Visualization Service System on the Integrated Underground Geospatial Information Map

  • Cho, Sook-Kyoung;Kim, Yong-Tae;Choi, Ja-Yo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12호
    • /
    • pp.173-186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지하공간 통합지도를 탐사 현장에서 활용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기용 서비스 시스템을 설계 구현한다. 모바일 단말기용 현장활용 서비스 시스템은 지하공간 통합지도 관리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타일맵, 3차원 지형정보, 지하구조물, 지하시설물, 지반정보 등을 현재 위치에 따라 3차원으로 가시화하도록 설계되었고, 현장 탐사로 얻어진 결과를 실시간으로 반영하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제안된 시스템은 모바일 단말기의 무선 네트워크 및 기기 특성에 따른 제약 문제로 지하공간 통합지도를 glTF 포맷 형태로 전송 후 가시화 하도록 구현하였다. 구현된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은 지하공간 탐사 현장에서 3차원으로 지도 및 공간 객체들을 가시화하여 사용자에게 정확하고 통합된 지하공간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탐사 현장에서의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갱신된 지하공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지하공간 통합지도 관리 시스템에 전송하여 최신성과 정확성을 유지할 수 있다.

지하공간통합지도 품질관리 개선방안 연구 - 관로형 지하시설물을 중심으로 - (Research on Improving Quality Management for Underground Space Integration Map - Focusing on pipe-type underground facilities -)

  • 배상근;김상민;유은진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50권2호
    • /
    • pp.221-235
    • /
    • 2020
  • 인구증가 및 산업화에 따른 급속한 도시화로 인해 지표 중심의 토지이용에 한계가 나타남에 따라 지하공간에 대한 개발과 활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한정된 국토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한다는 측면에서 큰 장점을 가지는 반면 이로 인해 싱크홀, 지하시설물 파손과 같은 재난재해가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도 가지고 있다. 2014년도에 전국 각지에서 발생했던 싱크홀을 계기로 2015년부터 15종의 지하정보를 통합한 지하공간통합지도가 구축되고 있으나, 그 이후에도 고양시 온수관 파열, 서울 아현동 통신구 화재 등이 지속됨에 따라 지하정보의 품질 향상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지하공간통합지도의 품질 향상을 위해 공간데이터 품질과 관련된 표준, 규정 및 지침 등을 분석하여 지하공간통합지도 제작 작업규정 내 명시된 품질검사 기준 및 방법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특히 지하공간통합지도를 통해 관리되는 15종의 지하정보 중 사고 발생의 가장 큰 원인이자, 국민들의 일상생활에 반드시 필요해 라이프 라인(life line)이라고도 불리는 관로형 지하시설물을 대상으로 데이터 품질관리를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모바일용 지하공간통합지도 제공 플랫폼 활용을 위한 기반 기술 연구 (Reserch On The Fundamental Technology To Utilization Of Platform To Providing Mobile Underground Geospatial Infomation Map)

  • 이태형;김현우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173-183
    • /
    • 2020
  • 도심지 지하시설물 노후화가 진행되고, 도로 굴착 안전사고에 불안이 형성되고 있는 가운데, 국토교통부에서는 「지반침하 예방대책」과 지하공간의 효율적 활용방안의 일환으로 2015년부터 지하공간통합지도를 구축하기 시작하여 그 범위를 매년 확산하고 있다. 현행 지하공간통합지도 정보는 웹기반으로 데스크탑 환경에서 운용되고 있는 바, 굴착 공사장과 같은 현장 환경에서의 활용에는 제한되는 부분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웹기반 환경에서 구축 운영되고 있는 지하공간통합지도는 대용량 3차원 데이터이다. 따라서 데이터를 현장으로 지체 없이 전송하여 서비스하기 위해서는 지하공간통합지도 데이터를 가볍게 할 방안이 필요하다. 또한 현재 지하공간통합지도는 3DS, COLLADA등 데이터포맷이 일원화 되어있지 않으며, 좌표체계 방식도 상대좌표, 절대좌표 등으로 상이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선행연구와 기술적용 사례를 분석하여 모바일용 지하공간통합지도 데이터포맷 및 경량화 방법을 제시하고, 제시된 포맷의 모바일용 지하공간통합지도를 생성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을 실시하였다. 또한 현장에서 빠르게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도록 3차원 데이터 압축기술을 적용하여 경량화율을 테스트해 보았으며, 현장에서 압축된 3D 데이터를 해제하여 활용할 수 있는 기술개발을 하였다. 아울러 향후 본 연구에서 실험적으로 개발한 기술을 보완하고 추가 연구실시하여 굴착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로 제작하여 활용에 쓰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보안을 고려한 지하공간통합지도의 가시화 필터링 설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Visual Filtering for Integrated Underground Map Security)

  • 김용태;박찬섭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477-482
    • /
    • 2021
  • 지하공간통합지도는 보안이 요구되는 기간시설 정보이나 지하공사 현장에서 굴착 공사 시 파열 사고 예방을 위하여 현장에 대한 모든 지하시설물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정보의 제공은 사용자에게 관심대상 이외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보안 데이터의 정보유출에 대한 위험성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현장에서 지하공간통합지도 가시화시 작업자의 관심 대상 지하시설물에 대해서는 전체 가시화를 진행하시만 그렇지 않은 지하시설물은 가시화를 최소화 하여 보안 데이터 정보유출의 위험성을 최소화하는 가시화 필터링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이를 위하여 관심대상 지하시설물들 각각에 대한 일정거리의 가시화 영역을 생성하고, 이를 공간 합집합 연산을 통해 통합된 가시화 필터를 생성하였다. 지하공간통합지도를 화면에 출력할 때 생성된 필터 정보를 사용하여 필터영역 안에 위치한 객체만 가시화를 하고, 밖에 존재하는 객체는 가시화를 하지 않음으로써 사용자에게 정보제공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지하공간 통합지도 관리를 위한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 설계 (A Design of Mobile Service System on the Integrated Underground Geospatial Information Map)

  • 조숙경;조영지;김용태;최자영;장용구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년도 제62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8권2호
    • /
    • pp.557-558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단말기에서 지하공간 통합지도 관리를 위한 서비스 시스템을 설계한다. 설계된 시스템은 현장에서 수집된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에서 직접 확인 후 정합성을 검증할 수 있는 기능과 허가된 사용자만이 지도 및 지하공간 정보에 접근하여 확인 및 수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설계된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 모바일 클라이언트 모듈/현장 지원 시스템, 관리자 UI 모듈/현장 데이터 반영 모듈 간 흐름을 다이어그램으로 표현하여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