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표종

검색결과 1,026건 처리시간 0.038초

진해만산 버들갯지렁이과 (Polychaeta, Capitellidae) 4종, Capitella capitata, Heteromastus filiformis 및 Mediomastus californiensis, Notomastus latericeus의 분포 특성

  • 임현식;홍재상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춘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422-423
    • /
    • 2000
  • 해양의 저서동물은 이동성이 없어 오염 지표종으로 사용되는 종류가 많으며, 특히 환형동물문의 다모류 가운데 그 종류가 많다. 대표적인 경우가 버들갯지렁이과 (Capitellidae)에 속하는 종들이며, 이들 가운데 Capitella capitata는 전 세계 유기물 오염해역, 저층 빈산소 수역 (0.2∼2.5 m1/1) 및 유류 오염해역 둥에서 가장 잘 출현하는 종으로 알려져 있다 (Pearson and Rosenberg, 1978). (중략)

  • PDF

마산저수지의 어류 종조성 및 생태 지표 특성 분석 (Analysis of Fish Compositions and Ecological Indicator Characteristic in Masan Reservoir.)

  • 한정호;이의행;안광국
    • 생태와환경
    • /
    • 제42권2호
    • /
    • pp.212-220
    • /
    • 2009
  • 본 연구는 2008년 11월에 마산저수지를 대상으로 어류 종조성 및 섭식길드 및 오염내성길드에 따른 생태지표 특성을 분석하고, 이와 연관된 화학적 수질 특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채집된 어류는 총 12종(6과)으로 나타났고, 주요 우점종은 피라미, 치리, 참붕어 등으로 나타났다. 한국 고유종은 3종만이 출현하였으며, 외래도입종은 떡붕어 1종이 출현하였다. 생태지표 특성 분석에 따르면, 내성종 및 잡식종의 상대풍부도는 각각 98%로 단연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화학적 질적저하 및 물리적 서식지 교란요인에 의한 영향을 반영하고 있었다. 호안에 따른 종분포 특성 분석 결과, 정수식물이 발달한 호안에서 대부분의 어류가 95% 이상이 채집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하상 기질 특성에 따른 분석 결과, 뻘(Silt)로 된 구간에서 가장 많은 종 (11종, 91.7%)이 채집되어, 하상기질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화학적 수질자료 분석에 따르면, 호수 영양상태 지표인 총인(TP) 및 Chl-a의 농도는 모두 과영양상태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호수의 유기물오염의 지표로 사용되는 COD도 평균 10.9 mg $L^{-1}$로 나타났다. 마산저수지의 이러한 수질저하는 어류의 섭식구조(잡식종의 증가) 및 내성종의 증가 등을 통해 반영되었다. 향후 마산저수지의 어류상 및 어류 종조성이 향상을 위해서 수질 개선 및 서식지 복원이 펼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갑장산의 보행성 딱정벌레류 분포에 관한 연구 (Distribution of Ground-beetles (Coleoptera: Carabidae) in Mt. Gabjangsan, Korea)

  • 연화순;박종균;이동운;정구민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7-55
    • /
    • 2005
  • 2004년 8월부터 10월까지 경북 상주의 갑장산에서 고도별에 따른 지표서식 딱정벌레의 군집을 조사하였다. 전 조사지에서 4과 15종 1,439개체의 지표서식 딱정벌레가 채집되었다. 월별 다양성은 9월에 12종 697개에가 채집이 되어 가장 높았으며, 8월에 8종 102개체, 10월에 5종 640개체가 채집이 되었다. 해발 800m 지역은 다양도지수와 균등도지수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풍부도지수는 가장 높게 나타났다. 풍부도지수는 해발 400m 지역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균등도지수는 해발300m 지역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붉은칠납작먼지벌레(Synuchus cycloderus)는 해발 300-800m 지역에서 우점종이었으며 윤납작먼지벌레(Synuchus nitidus)는 해발 200m 지역에서 우점종이었다. 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산림지역 내에 건설 된 골프장에서는 붉은칠납작먼지벌레와 윤납작먼지벌레를 환경 지표종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산림토양 산성화의 생물지표로써 날개응애(Acari: Oribatida) 이용 가능성 (Potential of Using Oribatid mites(Acari: Oribatida) as Biological Indicators of Forest Soil Acidification)

  • Chuleui Jung;Joon-Ho Lee;Seong-Sik Choi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213-218
    • /
    • 2002
  • 국제 기구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생물 지표를 이용한 환경 모니터링에 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다. 생물 지표는 자국의 국지환경 변화에 잘 반응해야 하므로, 토착 생물지표의 개발은 생태계 복원 및 평가에서 매우 중요한 시발점이다. 환경 스트레스를 달리 받고 있는 남산과 광릉 활엽수림 지역에서 조사된 날개응애 중에서 토양 및 부엽 산도(pH)와 밀접한 관계를 보이는 종을 회귀분석을 통하여 잠재적 생물 지표종으로 선발하였다. 선발된 종은 다음과 같다; Lasiobelba remota, Ceratozetes sp. Tectocepheus velatus, Neogymnobates sp. and Oppia sp.3. 또한 군집구성 및 기능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핵심종(keystone species)으로는, 남산 활엽수림지역에서는 Lohmannia coreana, Ceratozetes sp., Rostrozetes pulcherrimus, Lasiobelba remota 그리고 광릉지역에서는 Neugymnobates sp., Neogymnobates donghaksaensis, Cultroribula tridentata로 나타났다. 생물지표를 이용한 환경 모니터링의 장단점에 대해 고찰하였다.

제주도 사계 해안사구의 식생과 식물상 (Vegetation and Flora of Sagye Coastal Sand Dunes on Jeju Island)

  • 강선탁;오홍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21
    • /
    • 2024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최남단에 위치한 제주특별자치도 사계 해안사구의 식생에 따른 군락분포와 식물상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는 2020년 4월부터 2021년 10월까지 총 20회에 걸쳐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상관식생형은 해안 염습지식생, 해안정선 일이 년생 초본식생, 해안사구 초본식생, 해안사구 관목식생, 임연식생, 인공조림식생 6개의 상관식생형으로 분류되었다. 군락은 43개 군락이 분포하며, 전체 출현 식물은 62과 166속 191종 15변종 3아종 3품종으로 총 212분류군이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환경부지정 멸종위기 II급 식물인 대홍란을 포함하여 희귀식물 5분류군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식물구계학적 특정 식물종은 V등급 2분류군, IV등급 5분류군, III등급 15분류군, II등급 14분류군, I등급이 19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기후변화 생물 지표종은 지표종 11종 후보종 2종이 분포하여 전체 지표종의 33.3%, 후보종은 15.4%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귀화식물은 16과 43속 52분류군으로 귀화율 21.1%이며, 도시화지수는 24.5%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해안사구의 기후변화에 따른 생물다양성의 보전과 관리 방안을 마련하는 데 필요한 자료로 널리 활용될 것이 기대된다.

한국 의학학술지의 SCI영향력지표 계량측정 연구 : 1991년-1999년 (A Scientometric Study SCI Impact Factors of Major Korean Medical Jernals: 1991-1999)

  • 이춘실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85-104
    • /
    • 2001
  • A Scientometric Study SCI Impact Factors of Major Korean Medical Jernals: 1991-1999 본 연구에서는 SCI학술지가 아니라서 Journal Citation Reports(JCR)를 통하여 영향력지표 값을 쉽기 알 수 없는 학술지들의 영향력지표값을 JCR 방식으로 산출함으로서, 한국 의학 학술지들의 구체적인 학술지 평가지표를 제시하고 국제적인 위상을 객관적으로 파악하였다. 1969년부터 1998년까지 10년간 의학분야의 국내학술지 8종에 발표된 7,779편의 논문을 대상 으로 SCI검색을 하여 연도별로 인용빈도를 측정하고 1991년부터 1999년까지의 학술지 영향 력지표를 JCR과 동일한 방식으로 계량하여 분서하였다. 한글학술지 4종의 경우에는 국내학 자들이 SCI논문을 많이 발표하는 분야의 대표적인 학술지임에도 불구하고, SCI 인용을 거 의 찾아볼 수 없었다. 영문학술지 4종에 대한 SCI 인용빈도는 1994년경부터 계속 늘어나고 있으며, 특히 1997,8년경부터는 인용주기가 짧아져서 최근 2,3년간 발표된 논문에 대한 인용 이 급증하고 있고, 따라서 영향력지표값이 높아지고 있는 것은 매우 고무적이다. 한국 의학 학술지들의 10년치 영향력지표값 평균은 0.002에서 0.126까지 분포하였으며, YMJ의 1999년 도 영항력 지표값이 0.331로 가장 높았다. 한글학술지들의 영향력지표값을 같은 분야의 SCI 학술지들과 비교하여 보면, 모두 SCI 등재학술지의 최하위 영향력지표겂보다 낮았고, 영문 학술지는 대개 최하위권이어서 한국학술지의 국제적 위상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 국 의학학술지 3종은 1990년대 후반 영향력지표값이 0.2 정도가 되었을 때 SCI에 등재되기 시작하였는데, 이들은 모두 영문학술지들이다. 영문으로 발행되는 현재 MEDLINE 학술지인 KJP는 1999년의 영향력지표값이 0.198로서 SCI등재 가능성이 있는 학술지로 판단된다.

  • PDF

강원도 방태산의 지표성 딱정벌레류(딱정벌레목: 딱정벌레과)의 군집구조 및 분포 (Community Structure and Distribution of Ground Beetles (Coleoptera: Carabidae) of Mt. Bangtaesan in Gangwon-do, Korea)

  • 정종국;김승태;이수연;유정선;이준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07-317
    • /
    • 2011
  • 강원도 인제군 소재 방태산 자연휴양림 일대에서 2010년 6월부터 10월까지 채집한 1,041개체의 지표성 딱정벌레류는 7아과 18속 34종으로 동정되었다. 아과별 종 수(species richness)는 길쭉먼지벌레아과 15종(44.1%), 딱정벌레아과 7종(20.6%), 먼지벌레아과 4종(11.8%), 가슴먼지벌레아과 3종(8.8%) 및 기타 아과 5종(14.7%) 등의 순이었다. 우점종은 Synuchs속 일종(260개체, 25.0%), 민줄딱정벌레(218개체, 20.9%) 및 수도길쭉먼지벌레(205개체, 19.7%)이었다. 고유종은 11종 564개체가 채집되었다. Principal component analysis(PCA) 결과, 서식처의 식생 및 주변 환경의 특성에 따라 종 구성 및 발생 밀도에 차이가 있었다. 특히 딱정벌레아과 및 길쭉먼지벌레아과와 같은 산지에 서식하는 지표성 딱정벌레들은 방태산 자연휴양림 내의 활엽수림 및 침엽수림을 선호한 반면, 무늬먼지벌레아과 및 먼지벌레아과 대부분은 초지와 인접한 지점에서만 출현하여 숲과 인접한 초지의 유무 등 서식환경의 차이가 지표성 딱정벌레류 분포에 중요한 요인이었다. 산림에서의 지표성 딱정벌레 군집 및 분포에 관한 분석 결과는 앞으로 환경변화에 따른 장기모니터링 및 산지 보존프로그램을 수립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제공될 것이다.

고해상 전산화단층촬영을 이용한 폐기종의 정량적 분석: 폐기능 검사와의 비교 (Objective in Vivo Quantification of Emphysema by Thin-Section CT: Correlation with Physiologic Findings)

  • 이지영;이계영;최은경;김상준;최영희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5권5호
    • /
    • pp.992-999
    • /
    • 1998
  • 연구배경: CT상 폐기종의 정량적 분석을 위해서 "Density mask"를 이용하거나 육안적으로 관찰하여 폐기종 지수를 구하고, 폐기종 지수와 폐기능 검사 지표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는 지를 알아보았으며, 폐기종 지수를 구하는 여러 방법을 비교하여 보다 간단하고 객관적인 방법을 구하고자 하였다. 방 법: 17명의 폐기종 환자를 대상으로 고해상 전산화 단층 촬영을 시행하였고(모두 남자 환자임, 평균연령 62세), 모든 환자에서 폐확산능과 폐기능 검사를 시행하였다. 환자마다 전체 폐를 포함하는 모든 스캔에서 "Density mask"를 이용하여 -400HU를 기준으로 한 전체 폐용적에 대한 -880, -900, -920HU를 기준으로 한 폐기종 영역의 비를 각각 구하여 폐기종 지수(ESW)를 얻었다. 또 대동맥궁 첨부에서 4cm 간격으로 5-단면을 선택하여 "Density mask"를 이용한 폐기종 지수(ESR)를 구하고, 육안적으로 관찰하여 폐기종 지수(ESV)를 구하였다. 각각의 폐기종 지수를 폐기능 검사지표와 비교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 보았으며, 폐기종 지수를(ESW, ESR, ESV)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곁 과: 폐기종 환자에서 "Density mask"로 전체 폐를 이용하여 얻은 폐기종 지수(ESW)는 폐확산능 (r=0.61)과 $FEV_1/FVC$(r=0.51) 등의 안정시 폐기능 검사지표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880, -900, -920HU로 기준치를 달리 하여 얻은 각각의 ESW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5-단면을 이용하여 얻은 ESR는 ESW와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상기한 폐기능 검사지표와도 좋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육안적 폐기종 지수는 DLCO(r=0.71)와 physiologic dead space ratio(r=0.58)를 제외한 모든 폐기능 검사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p<0.05). 결 론: CT상 "Density mask"를 이용해 폐기종을 정량분석한 폐기종 지수 (ESW, ESR)와 폐기능 검사지표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폐기종의 중증도의 평가에 유용한 방법으로 생각되며, 또한 폐기능 검사 지표에 대해 ESW가 육안적으로 구한 폐기종 지수(ESV)보다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대표적인 5-단면에서 얻은 폐기종 지수(ESR)는 간단하고 정확하여 실제 임상에 권장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