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체

Search Result 1,542,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Increase of Intersection Approach Delay By Mid-Block Crosswalk Signal (단일로 횡단신호의 교차로 접근지체에 대한 영향 분석)

  • 김정현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Conference
    • /
    • 1999.10a
    • /
    • pp.87-92
    • /
    • 1999
  • 교차로 접근지체의 산정은 간선도로의 서비스수준 평가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교차로 접근지체는 상류부 교차로에서 진입하는 교통에 대한 균일지체와 그 이외 단일로 상에 존재하는 세가로등에서 유입되는 교통에 대한 무작위지체, 1회의 신호주기에 교차로를 통과하지 못한 교통에 대한 잔여지체 등과 연동보정계수를 이용하여 산정된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미국에서 차량의 지체와 연동보정계수를 이용하여 개발된 교차로 접근지체 산정식의 구조를 그대로 수용하고 있다. 그러나 도심부 신호교차로 사이의 단일로에 보행자를 위한 횡단신호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이러한 단일로 횡단신호가 하류부 교차로의 접근지체에 미치는 영향이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미국과는 달리 신호교차로간의 간격이 크고, 단일로 상에 보행자용 횡단시호 설치가 빈번한 우리나라의 실정에서는 이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여 교차로 접근지체 산정 시 이를 반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에서는 단일로 횡단신호가 하류부 신호교차로에서의 접근지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상류부 교차로와 단일로 중간부 횡단보도와의 거리, v/c 비, 신호 offset 등 상황을 설정하여 TRANSYT-7F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 의하면 단이로 중간의 횡단신호가 상류부 교차로의 신호와 연동되지 않는 경우에는 하류부 교차로의 접근지체에 미치는 영향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동 시에는 상류부 교차로와의 거리, v/c 비, 신호 offset 등에 따라 최고 80% 이상 까지 접근지체가 증가하였다. 일반적으로 신호 offset이 40%에서 60% 사이로 연동상태가 불량할수록 하류부 교차로에서의 접근지체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에 변수에 대하여서도 신호 offset에 따라 다른 정도로 접근지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현재 우리나라의 신도시 개발 시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대규모 구획(super block)과 이로 인하여 불가피한 단일로 중간부의 횡단신호의 설치는 교통운영 측면에서 재고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velopment of Shock Wave Delay Estimation Model for Mixed Traffic at Unsaturated Signalized Intersection (충격파를 이용한 신호교차로 지체산정 모형 개발 (비포화 2차로 신호교차로 상에서의 버스혼합교통류 지체산정모형))

  • Kim, Won-Gyu;Kim, Byeong-Jong;Park, Myeong-Gyu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8 no.6
    • /
    • pp.75-84
    • /
    • 2010
  • Controlled traffic intersection is critical point in terms of transportation network performance, where the most of traffic congestion arises. One of the most important and favorable measure of effectiveness in the signal controlled intersection is approach delay. Although lots of efforts to develop traffic delay estimation models have been made throughout the years, most of them were focusing on homogeneous traffic flow.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traffic delay estimation model for traffic flow mixed with bus based on the horizontal shockwave theory. Traffic simulation is performed to test the adaptation level of the model in generic environment. The result shows that the delay increases with increasing bus traffic. Overall model accuracy comparing simulation result is acceptable, that shows the error range around 10 percent.

Vehicle Routing Problem with Delay Time in the Downtown (도심지의 지체 시간을 고려한 차량 경로 계획에 관한 연구)

  • Yun, Tae-Sik;Kim, Kyung-Sup;Jeong, Suk-Jae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 /
    • v.16 no.1
    • /
    • pp.39-47
    • /
    • 2007
  • The travel speed between two locations within the downtown differs according to time horizon and district. Also, There is delay time on numerous traffic signals and bottle neck areas. It has an influence on planning the vehicle routing. However, there are almost no studies focusing on delay time for distance and travel time between two locations among the existing researches for vehicle routing problem (VRP). In this paper, we approach the real VRP by designing the model which estimates the delay time for traffic signal and bottle neck areas. The results of computation experiment demonstrate that proposed method performs well and have better solution than other method not considering the delay time.

  • PDF

Analysis on the delay time of groundwater recharge in Jeju region (제주지역 지하수 함양 지체시간 분석)

  • Jung, Il-Moon;Na, Han-N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433-433
    • /
    • 2012
  • 제주지역의 지하수 함양 지체시간을 분석하기 위해 18개 지점의 지하수 관측자료를 기초로 강수-지하수위 자료를 강수사상별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지하수 함양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는 인자로 지하수위의 대수층 두께와 지점의 투수계수를 설정하였다. 대체로 고도가 낮은 지역에서는 지하수 함양 지체가 짧았으나 고도가 높아질 수록 대수층 두께도 증가하여 지하수 함양지체시간은 길게 나타났다. 하지만 대수층 두께만으로 지체시간이 결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에 투수계수 자료를 함께 분석해야만 타당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여 대수층 두께와 지점 투수계수를 변수로 두고 관측된 지하수 함양지체시간과의 관계를 다중선형회귀분석을 통해 구하였다. 다중상관계수는 0.9정도로 높게 나타났으며, 대수층 두께에 대한 통계학적 유의성도 적합하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결정된 회귀식은 향후 지하수 함양지체시간의 공간분포를 결정함에 있어 활용이 가능하며 분포형 수문모형과 연계시킬 경우 통합모델링에 적절하게 반영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velopment of Classified Congestion Functions (도로유형별 지체함수 정립에 관한 연구)

  • 강호익;박창호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6 no.2
    • /
    • pp.117-131
    • /
    • 1998
  • 지체함수는 교통량과 속도의 관계를 단조 증가함수로 단순화하여 교통수요예측의 교통배정모형에 사용되게 된다. 이 지체함수를 구하는 방법은 두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첫째는 교통배정을 통해 구해지는 추정 링크통행량과 실측 교통량을 비교해 가면서 정산하는 방법이고 둘째는 교통량-속도 관계로부터 직접 구하는 방법이다. 첫째 방법은 구해진 O/D 통행량표의 부정확성과 모형에 내재하는 오류가 이 지체함수에 포함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통량-속도 관계로부터 직접 도로유형별 지체함수를 구하여 교통배정에 적용하는 새로운 방법을 정입하였다. 교통망 전체에 대하여 단일 지체함수를 적용하는 기존의 방법은, 교통량 변화에 따른 통행시 간의 변화가 보다 둔감한 고급도로에 변화는 고급도로일수록 둔감하게 나타나며, 교통배정에 도로유형별 지체함수를 적용할 경우 단일 지체함수 적용시에 비하여 고급도로에 더 많은 교통량이 배정되게 된다. 본 연구의 결과, 교통망상에서 보다 현실적인 도로유형별 분담을 이룰 수 있는 방안이 정립됨으로써, 지금까지 교통배정에 있어 상대적으로 과소평가되어 왔던 고속도? 등 고급도로의 실제 타당성을 반영할 수 있게 되어 도로의 기능적 배차구조가 확립된 효율적인 교통망을 구성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Improvement of the HCM Delay Estimation Model for Exclusive Permitted Left Turns (비보호 좌회전 지체도 추정모형의 개선)

  • 김진태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1 no.2
    • /
    • pp.107-118
    • /
    • 2003
  • Highway Capacity Manual (HCM) provides an analytical delay estimation model to assist the evaluation of traffic at a signalized intersection. The model revised and included in the HCM published in the year 2000 reflects the results of recent studies and is utilized in various fields of transportation studie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model in the case of permitted left turns, the HCM supplement provides a computational procedure to adjust the saturation flow rate of permitted left toms. The model however, is originally designed for a protected movement and thus underestimates the delay of permitted left turns due to its difference right-of-way nature. This document describes (1) a review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HCM delay estimation model, (2) problems embedded in the model for the delay estimation of permitted left turns, (3) a proposed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to improve the delay estimation for permitted left turns and (4) a set of verification tests. In order to reflect various traffic and control conditions in the test, simulation studies were performed to by using the field data based on 120 different permitted left-turn scenarios. Comparison studies conducted between sets of delays estimated by the HCM and the proposed models against a set of the CORSIM delays and showed that the proposed model improved the estimation of the permitted left-turn delays. The explanatory variabl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CM delay and the simulation delay was 0.47 and the one between the delay estimated by the proposed model and the simulation delay was 0.77.

A Development of a Model for Estimating Traffic Delay in No-Passing Zone (추월금지구간의 지체시간 산정모형 개발)

  • 손봉수;한상진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6 no.2
    • /
    • pp.133-144
    • /
    • 1998
  • 양방향 2차로 도로는 우리나라 전체 포장도로 연자의 84%를 차지하고 있다. 양방향 2차로 도로의 효율성 및 교통류의 운영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서비스 수준 척도로 지체시간의 백분율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지체시간의 산정은 특정 도로 설계구간을 추원금지구간으로 설계할 것이지, 예산을 더 투자하여 선형을 개선함으로써 추원가능 구간으로 설계할 것인지에 대한 판단 기준을 제시할 수 있기 때문에 도로설계과정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저속차량의 확률적 분포를 고려하여 추원금지구간에서 발생하는 지체시간을 산정할 수 있는 모형을 제시하였다. 모형식이 기존에 확률적 분포를 고려하여 추월금지구간에서 발생하는 지체시간을 산정할 수 있는 모형을 제시하였다. 모형식이 기존에 개발된 거시적 수학적 모형에 비해 비교적 단순하고 입력변수도 수집이 용이한 점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모형의 신뢰성을 현장데이터를 이용하여 검증한 결과, 모혀으이 예측값이 근사적으로 츠덩한 실제 지체시간을 포함하는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러나 모형의 예측값 범위가 넓어 실용적인 MOE로 사용하기에 다소 무리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므로, 개략적인 평가기준으로 모형이 예측한 값의 평균값을 보정하여 사용할 것을 제안한다. 모형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가정한 확률분포식에 대한 추가적인 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실제 상황을 표현하는데 있어 확률적 개념의 도입과 이러한 새로운 접근방법의 기초를 마련한 측면에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양방향 2차로 도로에서의 지체시간은 실제 소요시간과 자유운행시 즉 다른 차량의 영향을 받지 않았을 때의 속도 및 운영시간과의 차이로 정의한 바, 실제 지체시간을 현장자료를 통해 구하기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제약점을 극복할 수 있는 근사적인 지체시간을 계산하는 방법을 제시한 점에서 의미를 갖을 수 있다.

  • PDF

The Study on Effects Caused by the Initial Queue to the Total Delay Estimation in Analyzing Signalized Intersection (신호교차로 분석시 초기대기행렬이 총지체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Park, Soon-Pyo;Kim, Ki-Hyuk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9 no.5D
    • /
    • pp.563-570
    • /
    • 2009
  • This study is aimed to analyze the overall effects of the additional delay caused by the vehicle in front of the queue, at the signal, to the total delay estimation. To estimate the average vehicle delay at the signalized intersection, as survey of the queue length at the intersection and traffic counts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all of the three delay estimation methods turned out to be similar in that the estimation of the average delay for the test vehicle was less than 60 sec/vehicle. However, the average delay time for the vehicle in front of the queue only, was estimated at 60-70 sec/vehicle which is similar to the average delay of the test vehicle.

The Improvement of Signal Timing Model with Mixed Integer Linear Programming for Coordinated Arterials (혼합정수선형계획법을 응용한 간선도로 신호연동화모형 개선에 관한 연구)

  • 신언교;김영찬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5 no.3
    • /
    • pp.53-74
    • /
    • 1997
  • 신호연동화모형에서 통과폭모형은 지체를 최소화하지 못하고 지체도모형은 좌회전현시순서를 최적화하지 못한다. 이러한 모형의 단점을 극복하고자 개발된 KS_SIGNAL은 지체를 최소화하는 신호연동화모형이지만 지체를 산정하는데 있어 많은 한계를 갖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개발된 KS_SIGNAL의 지체모형을 개선하여 보다 우수한 연동신호시간과 현시순서를 산정해주는 신호최적화모형(KS_SIGNAL II)을 개발하여 FORTRAN 언어로 전산화하였다. 개발된 모형은 다양한 평가를 통하여 기존 모형들보다 전반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본 모형을 통하여 차량 출발 및 도착형태에 따른 대기차량 소거시간을 고려하는 옵셋 산정이 가능해져 지체를 최소화하는 간선도로의 신호최적화모형으로 활용될 경우 도로기능제고 및 지체도 감소에 의한 편익을 얻을 수 있다.

  • PDF

The Optimization of Left-Turn Phase Sequences on Signalized Arterials for Minimum Delay (지체최소화를 위한 도시간선도로 좌회전현시체계 최적화에 관한 연구)

  • 김영찬;신언교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5 no.1
    • /
    • pp.157-174
    • /
    • 1997
  • 도시간선도로의 신호시간요소를 계획하는 방법은 크게 3가지로 나뉜다. 이들은 통 과폭 최대화모형, 지체도 최소화 모형 그리고 이들 두 가지 모형의 통합모형으로 구분된다. 기존의 통합모형은 지체를 줄이기 위하여 최대 통과폭 모형인 PASSER-II로 최적화된 좌회 전현시순서를 TRANSYT-7F에 사용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통과폭 최대모형과 기존의 통합 모형은 지체를 최소화해주지 못하고, 반면에 지체도 최소화모형인 TRANSYT-7F는 좌회전 현시순서를 최적화 시켜주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 모 형들의 갖고 있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좌회전현시를 최적화하면서 지체를 최소화해줄 수 있는 새로운 모형(KS_SIGNAL)을 개발하는데 있다. 개발된 모형은 MAXBAND 등과 같은 최대통과폭모형을 발전시킨 혼합정수계획법 형태를 갖는다. 평가결과에 의하면 개발된 모형 으로 최적화된 좌회전현시순서를 TRANSYT-7F에 사용할 경우 TRANSYT-7F나 PASSER-II 와 TRANSYT-7F를 통합한 기존 모형들보다 지체를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