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질보전

Search Result 77, Processing Time 0.02 seconds

A Measure on the Conservation of Geological Heritages : Geological Survey and Evaluation Forms for Geologic Outcrops (지질유산 보전방안 : 지질노두 조사표와 평가표의 작성과 활용)

  • Sagong, Hee;Lee, Soo-Jae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3 no.2
    • /
    • pp.145-152
    • /
    • 2014
  • Geological heritages can be defined conveniently as geological records worthy of conservation, and are represented in most cases by geological outcrops. So survey and evaluation of geologic outcrops are necessary for better conservation of geological heritages. As a measure to prevent potential destruction of geological heritages from various development projects, I propose construction of database based on survey and evaluation forms of geological outcrop, which can also be used for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The geological survey form consists of survey area, category, subcategory, location, dimension, geologic features, photo, description, and investigator. The evaluation form consists of evaluation category, detailed evaluation, comprehensive evaluation, and evaluation grade. The evaluation category is divided into academic aspect, education effect and landscape. The detailed evaluation items for academic aspects and education effect are representativeness, rarity, diversity and typicality, while those for geomorphology and landscape are peculiarity, aesthetics and naturalness. The evaluation grades are divided into five, where the first grade means a must of conservation.

강원도 영월지역의 지질다양성과 활용

  • Kim, Tae-Hyeong;Gong, Dal-Yong;Choe, Don-Won;Im, Jong-Deok;Jo, Jong-Hyeon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4a
    • /
    • pp.65-65
    • /
    • 2010
  • 지구상의 광물, 암석, 화석 그리고 지질구조, 지형 등의 개개의 지형 지질학적 요소의 특성과 다른 대상과의 상호관계를 지질다양성이라고 한다. 지질다양성은 지형 지질에 내재되어 있는 본질적, 문화적, 심미적, 경제적, 기능적, 연구 및 교육적 가치를 이해하고 보전함으로써 유지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지질다양성에 대한 흥미와 이해를 높이기 위해 학술적 보전 가치가 있는 강원도 영월지역을 선정하여 그 특징을 분석하고 지질다양성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강원도 영월지역의 지질다양성에 대한 조사는 지형경관 자원과 지질특성의 희소성, 대표성, 학문적 가치 및 활용가치에 중점을 두고 전문가와 협의하여 보존가치가 있고 지리적으로 접근하기 편리한 노두 8곳을 선별하였다. 선별된 8곳의 노두는 고생대의 암석과 지층, 뚜렷한 퇴적구조, 화석, 규모가 크고 전형적인 하천지형이 나타나는 곳으로 지질유산(지형 지질)의 내재적 가치와 지구과학적 이해를 도울 수 있는 대상지이다. 대상지의 지질다양성에 대한 조사를 토대로 야외 지질학습장과 지질공원 및 지질명소, 과학적 특별흥미지역 등을 개발하여 제공함으로써 지형 지질에 대한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신장과 지구과학에 대한 흥미와 이해를 증진시키는 장을 마련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과학적 가치와 더불어 사회적, 문화적 가치를 부여하여 보전함으로써 지질유산(지형 지질)에 대한 새로운 시각이 생길 것이다.

  • PDF

외국 동굴의 이용과 환경 보전

  • 홍시환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1996.09a
    • /
    • pp.67-74
    • /
    • 1996
  • 동굴이 오랫동안의 세월을 걸치면서 그 지역의 지질 구조나 지형, 그리고 지표면의 기상 조건과 식생 환경들에 의하여 동굴 나름대로의 특성을 지니고 있음은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바이다. 이번 발표에서는 일반적으로 여태까지 개발 이용되어 온 동굴의 환경 변화를 언급하면서 이와 같은 공개된 동굴들이 외국에서는 어떻게 이용되어 왔는가, 그리고 이 동굴들은 어떻게 환경보전 대책을 세우고 있는가 등에 대한 몇 개소의 사례를 들어 설명하고자 한다.(중략)

  • PDF

A Study on the Diagnosis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of Cheongok - Cave (천곡동굴의 환경보전 진단에 관한 연구)

  • 유영준;변태근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46 no.47
    • /
    • pp.49-58
    • /
    • 1996
  • 동굴 안전진단의 목적은 동굴의 생태환경보전, 그리고 동굴 내부시설들에 대한 안전진단 확인에 있음은 재언을 요하지 않는다. 천곡동굴의 경우는 한 마디로 말한다면 동굴 내부의 생태환경이 동굴 외부로부터 영향을 많이 받고 있는 동굴이라고 하겠다. 그것은 첫째 동굴의 입구 공간이 너무 쉽기 때문이다. 둘째 지표면과 동굴과의 지작 두께가 비교적 얕게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셋째로 동굴 길이에 비해 동굴 공간이 넓은 동굴이므로 다른 동굴보다도 붕락, 파괴가 용이하다고 볼 수 있다. 요컨대 천곡동굴은 그 동굴을 배태하고 있는 지층과 지질구조가 매우 불안정하고 동굴의 성장과 파괴가 다른 동굴보다도 빨리 진전되고 있는 동굴이라고 본다. 따라서 천곡동굴은 계속적인 환경보전과 동굴 관리대책을 강구해야 할 동굴이라고 판단된다.

  • PDF

The Research on the Management Plan of Geological Heritage in Korea using GIS (지리정보를 활용한 한국의 지질유산 정보화 구축 및 관리방안 제시)

  • Lee, SooJae;Lee, MoungJin
    •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 /
    • v.14 no.4
    • /
    • pp.103-123
    • /
    • 2015
  • To provide effective management policy of geo-heritages, concept of Korean geo-heritage has been organized based on geo-diversity, geo-conservation, geo-tourism, and earth-heritage. In addition, current status of geo-heritage in Korea has been grasped, and categorized. In case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coordinates exist, spatial information was constructed as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eo-heritages were classified into a total of six categories of natural monument, scenic site, coastal sand-dune, natural cave, world nature heritage, and other types of geo-heritage. By mapping 991 geo-heritages scattered nationwide using geographical information, all statuses can now be readily identified and enable the analysis of the distribution tendencies and correlation with topography. This study was aimed at searching the political connection based on quantitatively organized and analyzed geo-heritages, which have not been mapped thus far. In addition, this study organized data that have existed only in literature, and presented example verification. Moreover, these can be used as guidelines for the future search, discovery, registration and management of geo-heritage. If additional geo-heritages are discovered in field studies or with satellite images, then more correlations may be identified and help facilitate the research on geo-heritages management plans.

  • PDF

Geoheritage Values and Geotourism of the Igidae-Oryukdo Geosites in the Busan National Geopark, Korea (부산국가지질공원 이기대·오륙도 지질명소에 분포하는 지질유산의 가치평가와 이를 활용한 지오투어리즘)

  • Kim, Sunwoong;Kang, Karyoung;Son, Moon;Paik, Insung;Lim, Hyounsoo;Kim, Jinseop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6 no.2
    • /
    • pp.99-112
    • /
    • 2017
  • Geoheritage is designated to preserve geodiversity of geological and geomorphological cases. Geotourism is an extensive activity that aims at the understanding of geology and earth's history for the geoheritage and for developing regions through preserving the geodiveristy of geoheritage. Igidae-Oryukdo is geosite of Busan National Geopark and its visitors are expected to grow rapidly. Accordingly, for the effective use of the geosites,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geotourism is required. This study suggests that tuffacious sedimentary rocks, hornblende megacrysts-bearing dike, copper mine, marine potholes should designated as the central points for advanced learning stage; volcanic breccia, sea caves, sea cliffs, wavecut platform, tor and islands as the central points for basic learning stage. Based on this central points, this study established concepts for getourism in this study area at basic and expert level for individual and family tourists, and also small or large groups such as school students.

Geological Heritage Value and Appropriate Conservation/Utilization of the Seokgaejae Early Paleozoic Sedimentary Stratal Section (석개재 전기 고생대 퇴적층 단면의 지질유산적 가치와 보전 및 활용방안)

  • Lee, Seung-Bae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50 no.3
    • /
    • pp.126-145
    • /
    • 2017
  • The Seokgaejae section is located along a timber access road and a driveway across Bonghwa County, North Gyeongsang Province, and Samcheog city, Gangwon Province. Its stratigraphic column shows all of the ten strata of the lower Paleozoic Taebaek Group, Joseon Supergroup. The Seokgaejae section is proved to be scientifically important. Thirty-eight domestic/international journal papers have been published on this early Paleozoic stratigraphic site, and many distinguished researchers over the world have visited the site. However, the section has never been considered to be designated as a national natural monument and was not included in the adjacent Gangwon Paleozoic National Geopark due to management or administrative issues. Although the Seokgaejae section sufficiently satisfies many of the national natural monument criteria, designation for the natural monument may not be justified because of the facts that the outcrop was artificially exposed by road construction; the chance of destruction of the outcrop is relatively few; demage on the outcrop to some extent does not impair the intrinsic value of the section; and the geomorphological/landscape value of the section is low. The application of the recently modified geological heritage assessment model to the Seokgaejae section shows very high scores on the scientific/educational, intrinsic, and functional values. Based on the improved geological heritage grade standard, the Seokgaejae section conforms to the national-level protection criteria. It is strongly recommended to manage the Seokgaejae section as a principal geosite by including it in the Gangwon Paleozoic National Geopark. This case study on the Seokgaejae section also suggests that the process of application and endorsement of a national geopark need further improvement. As well as the improvement of the system or policy related to geological heritages, further efforts of the experts in various fields of geoscience are required in order for other geological heritages not to be neglected from now on.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Conservation of Hwaam - Cave (화암동굴의 환경보전에 관한 연구)

  • 권동희;유영준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46 no.47
    • /
    • pp.35-47
    • /
    • 1996
  • 동굴의 환경파괴는 환경의 변화에서 오는 경우와 동굴 개발에 따른 인위적인 파괴 등에 의한 것이라고 하겠다. 동굴이 개발되면 그 당시부터 동굴의 파괴, 오손 및 오염은 시작된다. 물론 동굴이 개발되어 관광객의 출입이 많은 동굴에서는 개발 이전의 동굴환경이 그대로 보존되고 있을 리 만무하다. 그러나 이런 피해를 최소한으로 하고, 좋은 환경을 지속적으로 보완하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화암동굴에 대한 환경보전을 위해 지질구조, 통로시설, 일반시설, 전기 및 조명, 생태환경, 운영관리 분야 둥에서 안전진단을 한 결과 여러 분야에서 동굴 개발 이후 미흡한 점이 지적되어 이에 대한 보완이 시급하다고 지적되었다. 동굴의 환경은 그 원칙이 암흑세계여야 한다. 더구나 항상 어둡고 동굴내의 온도와 습도가 크게 변하지 않는 원래의 동굴환경이 있어야 특수한 지하생물, 즉 동굴생물도 서식하게 되고 동굴 내의 이차생성물도 정상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동굴의 환경보전은 가능하면 동굴 속의 이차생성물을 계속적으로 성장시켜 이른바 지하궁전 또는 지하복마전의 화려하고 무시무시한 동굴환경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원리로 화암동굴 벽면의 종유벽(유석, 황금종유벽)과 대석주, 대석순, 그리고 벽면과 바닥의 석순 등이 이루어졌으므로 동굴환경의 유지는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이다.

  • PDF

Domestic and Foreign Case Studies of Virtual Drought Exercise (가상가뭄 훈련의 국내외 사례 연구)

  • Ahn, Sang-Hyun;Kim, Jitae;Chung, Il-Moon;Lee, Jeong Eun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30 no.4
    • /
    • pp.415-421
    • /
    • 2020
  • Drought has repeatedly occurred due to the climate change effect. The government is working on ways to reduce drought damage and is conducting drought exercise. This study analyzed drought literature and exercise cases in the United States, Australia and Korea.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study suggested considerations in selecting exercise types which are workshop, tabletop exercise and functional exercise, and process of the drought exercise.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used as an effective tool to prepare the virtual drought exerci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