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진 모멘트

검색결과 274건 처리시간 0.028초

한반도 지진의 지진원 상수 (The Seismic Source Parameters for Earthquakes Occurring in the Korean Peninsula)

  • 김성균;김병철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17-127
    • /
    • 2008
  • 한반도와 그 주변에서 발생한 44개의 지진에 대한 지진원 상수들을 결정하여 그들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모서리 주파수와 지진모멘트의 결정에는 Snoke(1987)의 방법을 적용하였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지진에 대하여 다른 관측소에서 결정된 지진원 상수들은 서로 다른 값을 보여 준다. 이러한 불일치는 지진원에서의 에너지 확산과 전파과정중의 감쇠 및 증폭의 방향별 차이에 대한 불충분한 고려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방향에 따른 효과를 제거하기 위하여 모서리 주파수와 지진모멘트는 평균값을 취했으며, 이 평균값으로부터 다른 지진원 상수들을 결정하였다. 이 연구에서 구한 정적인 응력강하량은 일정한 크기 이상의 지진에 대하여 지진모멘트와 무관한 경향을 보여 준다. 지진모멘트가 대략 $1.0{\times}10^{22}$ dyne-cm($M_L = 4.0$에 대응) 이하인 지진은 지진모멘트가 감소함에 따라 응력강하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준다. 이 사실은 어떤 한계규모 이하의 지진에서 지진원 상수들 사이의 비례법칙이 깨짐을 의미한다.

1994년 7월 25일 발생한 황해남부 지진의 지진원 요수 (Source Parameters of the Southern Yellow Sea Earthquake Occurred on July 25, 1994)

  • 김성균;김민선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2권1호
    • /
    • pp.113-118
    • /
    • 1998
  • 1994년 7월 25일 발생한 황해남부 지진(Mb=5.5)의 지진원 요소들을 결정하였다. 지진원 요소들을 결정하기 위하여 이 지진에 대하여 이전의 연구에서 얻어진 지진발생기구를 사용하였다. 지진발생기구에 의하면, 이 지진은 거의 동서방향의 압축응력장에 주향이동성분이 가미되어 발생한 것을 암시한다. 지진원 요소들은 단주기 및 장주기 P파에 대한 원지장 스펙트럼으로부터 계산되었다. 지진모멘트(M0), 코너주파수(f0), 지진원 반경(r) 및 응력강하량($\Delta$$\sigma$)은 각각 M0 = 3.18$\times$1024 dyne-cm, f0=0.3 Hz, r=3.7km, $\Delta$$\sigma$=27bar로 구해졌다. 지진모멘트로부터 산정한 모멘트 규모는 5.6으로 나타났다.

  • PDF

오대산지진(2007/01/20)의 지진원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Earthquake Parameter of Odaesan Earthquake)

  • 김준경
    • 지질공학
    • /
    • 제17권4호
    • /
    • pp.673-680
    • /
    • 2007
  • 2007년 1월 20일 발생한 오대산지진과 관련된 지진원 상수(지진원기구, 진원깊이, 규모, 지진원 특성 등)를 지진모멘트텐서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3개의 지각속도 모델에 의한 각각의 지각반응을 분석을 위한 그린함수로 이용하였다. 분석된 6개의 지진모멘트텐서 성분을 조합한 결과 오대산지진은 거의 북북동 방향의 주향을 가진 주향단층의 운동에 의해 발생된 것으로 해석된다. 진원깊이는 약 11 km의 값을 가지고 있으며 6개의 지진모멘트 성분을 분석한 결과 CLVD 성분이 약 7%의 값을 가지고 있어 순수 단층면위의 미끄러짐 현상에 의해 발생된 것으로 해석되었다. 지진원기구의 주향이 오대산 단층의 주향과 일치하고 있고, 또한 진앙도 오대산 단층의 지표 연장선과 밀접한 관계를 보여주고 있으므로 오대산 단층이 지진유발 단층인 것으로 해석된다.

한반도 및 인근 지역 계기지진의 지진모멘트 환산(Ⅰ):$m_b$또는 $m_s$에서$m_0$ (Seismic Moment Conversion of instrumented Earthquakes in an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Ⅰ):from$m_b$or$m_s$to$m_0$)

  • 노명현;이상국;최강룡
    • 지구물리
    • /
    • 제4권1호
    • /
    • pp.47-55
    • /
    • 2001
  • 한반도를 중심으로 32~44°N, 123~133°E 사이에서 발생한 지진 중 M_0와 함께 m_b 또는 M_s가 결정된 50개의 계기지진을 이용하여 실체파(m_b), 표면파(M_b), 또는 둘 다로부터 지진 모멘트(M_0)를 계산하는 환산식을 개발하였다. 진원깊이 70km 이상은 심발지진으로, 이하는 천발지진으로 분류하였으며, M_0의 단위는 dyne-cm이다. 표면파규모의 경우 심발지진이 천발지진보다 큰 지진모멘트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발지진과 천발지진 환산식에 수반된 표준편차는 모멘트 규모로 각각 0.25과 0.16이며 그 관계식은 각각 다음과 같다. (심발지진) (천발지진) 실체파규모의 경우 환산식은 진원깊이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산식에 수반된 표준편차는 모멘트 규모로 0.28이며 그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실체파와 표면파가 동시에 결정된 경우 새로운 규모 을 정의하여 별도의 환산식을 구했다. 천발지진만이 분석에 이용되었으며, 환산식에 수반된 표준편차는 모멘트 규모로 0.14이고 그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이상의 분석결과는 한반도 및 인근 지역의 지진 크기를 하나의 지진규모, 즉 모멘트 규모로 통일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 PDF

한반도 남부 지역의 지역규모와 모멘트규모의 관계 (The Relation Between Local Magnitude and Moment Magnitude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 최호선;노명현;최강룡
    • 지구물리
    • /
    • 제7권3호
    • /
    • pp.185-192
    • /
    • 2004
  • 2001년 1월부터 2004년 2월까지 한반도 남부 지역에서 발생한 지진의 모멘트규모를 계산하여 기상청과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지역규모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기상청의 지역규모는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지역규모에 비해 모멘트규모와의 상관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발표된 지역규모와 계산된 모멘트규모의 회귀 분석을 통해 모멘트규모 환산식을 유도하였다 유도된 모멘트규모 환산식은 지진목록의 규모 단일화에 이용될 수 있고 규모가 단일화된 지진목록은 지진활동 특성 분석 지진재해도나 감쇄식 등에 필요한 인자로서 활용될 수 있다

  • PDF

한반도의 소규모지진 모멘트 텐서 역산의 응용 (Application of Moment Tensor Inversion to Small Local Earthquakes in the Korean Peninsula)

  • 김소구;판티김반;이승규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권3호
    • /
    • pp.123-136
    • /
    • 2001
  • 모멘트 텐서 역산의 응용 목적은 지진 메커니즘, 지진 모멘트, 한반도에서 국지적으로 발생하는 규모 5.5 이하의 소규모 지진의 진원깊이 등의 진원인자를 결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광범위한 지형에서 발생하는 지진들은 어느 지역에서의 활동적인 지체구조를 밝혀내는 실마리를 제공해 준다. 더욱이 소규모 지진의 지진 메커니즘 연구를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한반도에서 최근에 발생한 규모 3.3 - 4.8의 14개 지진을 모멘트 역산방법 (TDMT_INV)을 이용하여 지진 메커니즘 분석 결과를 소개하고 있다. 단층들의 주향은 북동-남서, 북서-남동 방향으로 주향이동 또는 소규모 역단층의 주향이동 단층을 보이고 있다. 응력장의 압축방향은 몇몇 단층을 제외하고는 동-서 또는 동북동-서남서 방향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영남 육괴와 원산 지역에 분포하는 지진들은 남-북 또는 북북서-남남동 방향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지진모멘트 Tensor와 전환 : 개요 (Seismic Moment Tensor and Its Inversion : An Overview)

  • 김소구;우종량
    • 지질공학
    • /
    • 제5권2호
    • /
    • pp.215-231
    • /
    • 1995
  • 지진 모멘트 tensor와 진원함수가 물리학자 방식으로 소개된다. 1970년도 이후에 개발된 지진모멘트 텐사와 진원 함수는 현대지진학에서의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여 왔다. 현대 지진학 언어로 지진 진원 기술은 지하인공폭발, 광산 암석 붕괴, 저수지 유도지진과 같은 인공지진은 물론 공유 지진의 물리현상을 연구하게 하여 왔다. 더우기 고전 지진학에서 중요하지 않았고 고전 지진학에 포함되어 있지 않았던 새로운 개념, 디지털 지진학 관측은 더욱 중요성을 띄게 되었다. 지진학의 기초, 특히 지진진원의 물리학을 응용물리학의 일부분으로 다룰 때가 왔다고 본다.

  • PDF

1996년 12월 13일 ML 4.5 영월 지진의 지진원 상수 (Source parameters for the December 13 1996 ML 4.5 Earthquake in Yeongwol, South Korea)

  • 최호선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13권5호
    • /
    • pp.23-29
    • /
    • 2009
  • 1996년 12월 13일 강원도 영월군 지역에서 국지규모(M$_L$) 4.5의 지진이 발생하였다. 진앙은 37.2545$^{\circ}$N, 128.7277$^{\circ}$E이며, 지체구조구상 옥천습곡대에 해당한다. 지진자료의 필터링 대역에 따라 파형역산을 수행하였는데, 0.02$\sim$0.2 Hz 필터링 대역을 적용할 경우 진원 깊이는 6 km, 지진모멘트는 1.3$\times$10$^{16}$ N$\cdot$m로 추정되었다. 이 지진모멘트는 모멘트규모(M$_W$) 4.7에 해당한다. 파형역산과 P파의 초동 극성 분석을 통한 영월 지진의 발진기구는 역단층 성분을 포함한 주향이동단층 특성을 보이며, 주응력 방향은 동북동-서남서 방향이다. 스펙트럼 분석을 통해 추정된 모멘트규모는 4.8이며, 이는 파형역산에 의해 추정된 모멘트규모와 비슷하다. 평균 응력강하는 14.3 MPa로 추정되었다.

질량비정형을 갖는 강 모멘트 저항 골조의 지진에너지 반응 (Seismic Energy Response of Steel Moment Resisting Frames with Mass Irregularity)

  • Choi, Byong-Jeong;Song, In-Hawn
    • 한국지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진공학회 2003년도 추계 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213-220
    • /
    • 2003
  • 고층의 강 모멘트저항골조에 대한 지진 반응을 살펴보기 위해서 동적해석을 실시하였다. 구조물은 세가지의 다른 설계절차로 의도적으로 설계하였고 그 세가지의 개념은 강도 지배설계, 강기둥-약보 지배설계, 횡변위 지배설계이다. 그렇게 설계한 구조물이 각각 질량비정형이 존재하도록 하여 힁변위, 소성힌지, 이력에너지 입력 및 요구응력에 대해서 토론하였다. 미래에 설계에의 응용을 위해서 최대 지반가속도로 표현한 두 등급의 지진 하중을 이용해서 이력에너지 입력요구 곡선을 제시하였다.

  • PDF

광대역 지진자료의 P파를 이용한 모멘트 규모 결정 (Moment Magnitude Determination Using P wave of Broadband Data)

  • 황의봉;이우동;조봉곤;조범준
    • 지구물리
    • /
    • 제10권1호
    • /
    • pp.1-12
    • /
    • 2007
  • 지진해일을 발생 시킬 수 있는 중거리, 원거리 지진 대해서 광대역 자료를 이용한 모멘트 규모(Mwp)를 신속하게 추정하는 방법을 기존 연구와 다른 관측환경을 가지고 있는 한반도에 적용가능한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2000년부터 2006년까지 한반도 주변에서 발생한 규모 5이상의 지진을 대상으로 테스트를 실시하였으며, 시간 영역에서 수직성분의 변위자료를 적분한 후 P파 구간에서 최댓값을 이용해 모멘트 규모를 계산할 수 있다. P파 도달 후 S파를 포함한 다른 파를 제외하기 위해서 자료처리를 위한 시간창의 크기를 설정하였다. 계산에 필요한 입력 자료로 한반도의 지각속도구조에서 제시된 P파의 속도, 밀도를 사용하였다. 서로 다른 관측 환경에 의한 영향을 보기 위해 계기 보정에 의한 효과를 비교하였다. 관측 장비에 의한 영향을 제거하기 위해 계기보정을 실시하였으며 계기보정 후에 계산된 평균 모멘트 규모가 보정 전 보다 약 0.1정도 크게 나왔다. 하지만 그 결과는 일본 기상청과 Havard CMT 목록에서 제시된 모멘트 규모와 매우 유사하였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 테스트한 Mwp 모멘트 규모는 한반도 주변에서 발생한 대규모 지진이 국내에 영향을 줄 가능성에 대비해 빠르게 지진의 규모를 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양에서 발생한 지진일경우 지진해일 경보 시스템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 PDF